14
소인에게 사랑을 A Subaltern Saga
ongoing research project
2022~
다시는 소인을 무시하지 마라
소인과 먹물 사이에서 고민한 이야기입니다. 어릴 때부터 그 고민을 했거든요. 지금은 배운 자의 탈을 쓰고 다니지만 제 안에 반은 분명 쇤네(소인네) 입니다. 하지만 그게 부끄럽거나 하진 않은 게... 인천에서도 변두리 출신인 이야기는 몇 번 드린 것 같죠? 이번엔 그 얘긴 지나가구요, 탈북 실향민인 친가 얘기를 좀 할게요. 전쟁이 끝나고 아버지 쪽 식구들은 가까스로 춘천에 자리잡았습니다. 전후 힘든 시기를 살아온 고모, 삼촌들이 겪어온 세월이 얼마나 험난했는지는 얼핏 들어서만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가족 내에서 할아버지가 누구는 더 이뻐하고, 누구는 덜 이뻐하고 이러다 보니 이러저러했던 과거의 억울함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시더라구요. 오늘날 저의 소인성 함양과 차후 연구에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가만 보면 이 사회는 자존감의 존(尊), 이 리스펙트를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혹은 그 사람들끼리 너무 가차없다고 느낍니다. 사랑과 관심의 결핍은 상상 외로 무섭습니다. 까딱 잘못하면 그나마 국물도 없다는 위기 의식을 어릴 때부터 가지고 살다 온 우리 세계를 우습게 보시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제 비로소 말하기 시작했고 서서히 세를 넓혀가고 있거든요. 배우신 분이라면 혹시 서발턴(subaltern)이라 표현하실 수도 있지만 저는 소인이란 말을 좋아합니다. 왜냐면 조선때부터 절대 다수는 소인이었으니까요. 먼저 우리 소인이 누구인가. 누구인지 이해를 돕고자 몇 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 삼십 여가지(!)의 패턴 중에 간략하게 다섯 가지만 먼저 보여 드리자면,
첫째로 위계에 민감합니다. 심리적, 경제적으로 벼랑 끝에 서 있다 보면 집단 내에서는 나의 위치를 빠르게 확인해야 합니다. 디딜 땅이 있어야 뭐라도 비비듯이 바닥을 다지는 과정입니다. 내 밑에 한 사람이라도 놓기 위해 내가 가진 이점을 남과 급하게 비교합니다. 나이, 성별, 항렬, 재산 등 객관적 수치를 파악하고 나보다 낮은 위치의 사람을 골라냅니다. 그래서 질문은 빠르고 집요한 ‘훅훅 들어오기'를 즐겨합니다.
둘째로는 사랑을 준다 싶은 집단 혹은 네트워크에 빠져듭니다.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이란 노래말이 참 좋지 않습니까? 사이비 집단이나 다단계는 말할 것도 없고 정치를 비롯한 각종 단체나 의문스러운 모임들이 살면서 응당 받았어야 할 여러 욕구를 실현해줍니다. 이걸 비난하거나 동정하기는 쉽겠죠. 하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이런 서비스를 받지 못해서 그런 걸 과연 뭐라 할 수 있을까요?
셋째로 ‘나도 힘들어' 라는 태도입니다. 이는 약자에 대한 냉혈함을 조금은 설명해줍니다. 남에 대한 배려란 배려 받아본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공공교통에서 왜 저리 밀치고 들어갈까 짜증이 나시겠지만 ‘나도 힘들어서' 그렇습니다. 사회적 약자들이 거리에서 시위라도 할라치면 공감보다는 시큰둥해지거나 욕이 나가겠죠. 그 동안 내 얘긴 아무도 안 들어줬으면서.
넷째로는 큰 의제나 담론을 좋아합니다. 집안에서라면 효, 크게는 국가 차원이야기는 더 좋구요. 예전에 개그맨 이수지 씨가 “오빠는 아부지한테 그럼 안돼!”, 틈만 나면 다른 가족한테 일갈하는 이런 캐릭터를 개콘에서 선보였었는데요, 저희 집안에도 그런 사람 한 분 딱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면 편애의 피해자라면 ‘부모가 나한테 해준 게 뭐가 있어?’ 로 나갈 것 같은데 그 반대이니 신선하죠? 효와 충, 애국, 공정성, 모두가 공감하는 좋은 가치나 어떠한 도덕적 의제를 무기로 휘두르며 상대방을 찍어 누르려 할 때는, 아 부엌칼도 쓰임에 따라 무기가 될 수 있구나 생각해봅니다. 집히는 게 이거라 이걸 휘두른다.
다섯째로는 조바심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읽어 보셨으면 낮은 자존감과 위기의식이 자연 조바심으로 연결됨을 이해해주실 것 같습니다. 여유를 가질 겨를이 살면서 별로 없었습니다. 마음과 태도는 함께 불안하고, 과정으로 칭찬받은 적은 없기에 결과에만 전전긍긍합니다.
자, 여기까지 제 얘기를 섞어서 말씀 드렸지만, 어 이거 내 얘기 아니야 하시는 분들, 소인되기가 그리 쉬운 건 아닙니다. 살면서 한 번도 승리의 순간이 없었어야 순혈 소인에 가까운데, 그 정도 박탈을 경험하신 분은 이 글을 읽고 계시지도 않을 거란 말이죠.
그리고 아무래도 이 글, 예술 관련 일을 하시는 분들이 보시리라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도 현대 예술 쪽 분들이요. 저도 이러저러하게 십년 가까이 그 언저리에서 돌고 있는데요, 요즘 부쩍 소인의 반격을 느끼는 중입니다. 제 안의 소인도 깨어나고 있구요. 고고하면서도 빈궁한 편인 대부분 현대 예술판이 소인계와 무슨 관계가 있다고 그러냐고 말씀하시면, 저는 영국 맨체스터 어비스(Urbis exhibition center) 얘기를 잠깐 드리고자 합니다. 1998년에 도시 문화 관련 전시 공간으로 맨체스터시의 프로젝트로 탄생한 이 곳은 유수의 현대미술 전시를 2010년 즈음까지 보여주다 지금은 축구박물관으로 바뀌었습니다. 맨체스터하면 또 축구로 유명한 곳 아니겠습니까. 지역에서 어떤 논의를 거쳐 어떤 과정으로 바뀌었는지는 관심있는 분들은 찾아볼 만한 내용입니다.여기서 길게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단지 저는 하나의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지역 연구를 하며 듣게 되는 광주나 부산 비엔날레에 대한 지역민의 생각, (비엔나 쏘세지로 작년 광주 비엔날레를 홍보하려 했던 광주시 에피소드도 생각나네요), 인천과 대전 등 없어지거나 변화한다는 현대 미술 작가 레지던시와 현대 미술 전시 공간도 저는 소인의 반격 혹은 백래쉬로 이해하려 합니다. 진위를 알 수 없지만 전해 들은 대로 조개구이집이 인천 아트플랫폼에 들어오게 된다면 우리도 맨체스터의 길로 가고 있다고 말해야 할까요? 누가 목소리를 높여가며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그리 크지도 않은 예산을 쓰는 현대 예술을 고깝게 여기고 있는지 저는 알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맨체스터 축구 박물관은 해마다 많은 방문객이 특히 동아시아로부터 와서 쏠쏠한 수입을 시에 올려주고 있다고 합니다.
수 많은 의문이 듭니다. 아르코미술관에서 한적하게 전시를 보고 나서 우연히 코엑스 일러스트 페어에 갔을 때 느꼈던 압도적인 관객수의 차이에 놀랐던 기억에 그 사진을 아직 저장해놓고 가끔 꺼내어 봅니다. 어랏, 미술 시장이 없는 건 아니네? 소셜미디어(쓰레드)에서 제가 주로 팔로우하는 수 많은 ‘비'현대 미술 아티스트들은 또 어떤지 아십니까? 저는 멀티버스 세계 또 다른 스파이더맨들이라 생각하고 연구중인데요, 그 분들의 작업에 대한 깊은 고민이나 승리의 경험을 보고 자연스레 연결된 작업계정들을 보면 제가 아는 미술과는 너무나 생경한 모습에 뭐라 반응해야 할 지 모르겠더라구요. 아마 여러분이 인사동 전시에 굳이 방문하시지 않는다면 보이지 않는 그 벽을 느끼고 계실 것 같습니다. 다른 세계는 같은 시공에 분명 존재하고 있습니다. 저의 추측은, 우리가 의도했건 안했건 간에, 현대예술에서 모종의 모멸감을 느꼈던 소인계를 불편하게 하지 않는 예술은 자생할 수 있나 보다입니다. 잠깐의 부흥을 맛봤던 저 같은 (소인)현대 미술가는 이제 다른 숨을 곳을 찾아야 할 시간이 온 것 같습니다.
제가 왜 몇 년에 걸쳐 소인의 세계에 매혹되어 있는지 말씀드렸습니다. 말씀드렸던 생존의 위협도 물론 있구요, 같은 시대 예술이라 하는데 동시대 미술의 그 시대가 한국에서는 지금은이 아닌가 하는 고민도 있습니다. 서울 외 지역 얘기에 관심을 가지다 보니 저도 모르게 현대 미술이라고 하는 ‘장르'에도 동경과 질시를 동시에 체화하기도 합니다.
“내가 낸 세금 가지고 뭐하는 거야, 지금?” (세금 별로 안 냄)
단순하게 말해서 ‘우리’끼리만 보게 되는 창작의 벽에 살짝 균열을 내고 싶은 것이 제 욕심입니다. 앞으로 저의 소인 연구에 많은 제보와 도움 감히 부탁드려보겠습니다.
Let's never ignore the subalterns.
This story delves into the clash between my subaltern identity and the facade of being knowledgeable. I've been grappling with this issue since childhood. While I currently wear the facade of someone 'educated,' there is undeniably a part of me that still belongs to the subalterns. However, it's not something I find shameful. You've probably heard stories of being from the outskirts of Incheon a few times, right? Let's set that aside for now and delve into the story of my relatives who were North Korean defectors. After the war, my father's side of the family managed to settle in Chuncheon. I have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ing times my aunts and uncles faced. In addition, within the family, there were disparities in how my grandfather was perceived, with some finding him more attractive than others. This led to expressions of injustice from the past in various ways. Today, these experience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haping my sense of empathy and influencing my future studies.
Observing our society, it becomes apparent that those who haven't experienced a sense of respect and self-esteem can be quite unforgiving toward each other. The lack of love and attention is frighteningly isolating. Please don't trivialize our world, where we've carried a sense of crisis from a young age, thinking that there's barely any broth left if one makes a misstep. Because now, we're finally starting to speak up and gradually broadening our perspectives. Some may refer to this as the 'subaltern,' but I prefer the term 'marginalized' because, since the Joseon era, the majority of us have been marginalized. Let's first understand who the marginalized are. To aid in that understanding, let me briefly outline five patterns among the thirty or so that exist.
Firstly, there's a sensitivity to hierarchy. When standing on the edge, both psychologically and economically, within a group, one must quickly assess their position. It's a process of laying the groundwork as if tilling the soil, where I hurriedly compare my advantages to others to ensure that even one person is placed beneath me. Age, gender, rank, wealth – I objectively assess numerical values and selectively pick out those who occupy a lower position than myself. Consequently, questions are posed with a quick and persistent probing, enjoying the art of 'getting right to the point.'
Secondly, there's the inclination to immerse oneself in a group or network that seems to offer love. Isn't the notion of being 'born to receive love' a beautiful idea? Various questionable gatherings, from cults and multi-level marketing schemes to organizations in politics, fulfill the numerous desires one should rightfully have received while living. It might be easy to criticize or sympathize with this, but can we really blame someone for seeking such services if they have never received them anywhere else?
Thirdly, there's an attitude of 'I'm struggling too.' This attitude somewhat explains the indifference towards the weak. Consideration for others can only be shown by someone who has experienced receiving consideration. While it may be irritating when people push and shove in public transportation, they do it because 'I'm struggling too.' If socially vulnerable groups express their hardships through protests on the streets, the response is likely to be more disdain or swearing than empathy. After all, nobody has been listening to their stories for a long time.
Fourthly, there's a preference for grand topics or discourse. Within the family, discussions about household matters are fine, but national-level discussions are even better. It's similar to the character portrayed by comedian Lee Soo-ji in the past, who would say things like, 'It's not allowed if my dad says so!' and constantly point fingers at other families. We have someone similar in our family. While a victim of favoritism might typically say, 'What has my parent ever done for me?' this person takes the opposite stance – a fresh perspective. When wielding values like filial piety, loyalty, patriotism, and fairness as weapons to assert dominance over others, I contemplate how a kitchen knife can also become a weapon depending on its use. In this case, wielding this is their form of victory.
Fifthly, there's impatience. If you've read this far, you might understand that low self-esteem and a sense of crisis naturally lead to impatience. Having the luxury to be patient was rare in my life. Both my mind and attitude are uneasy together, as I've rarely received compliments for the process, only worrying about the results.
Now, I've shared my story mixed with various elements, but for those who think, 'This is my story,' becoming marginalized is not that easy. If one has never experienced a moment of triumph in life, they might be close to being a true-blooded marginalized individual. Those who have experienced such deprivation probably aren't reading this.
And I suspect that those who will read this are likely involved in the arts, particularly contemporary art. I've been around that field for nearly a decade, and lately, I feel the marginalized staging a comeback. The marginalized within me is also awakening. For those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especially those who pursue high ideals while remaining economically challenged, you might wonder how this relates to the marginalized. If you question this, let me briefly mention Urbis exhibition center in Manchester, England. Established in 1998 as a cultural exhibition space for the city, showcasing various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until around 2010, it has now transformed into a football museum. Manchester is well-known for football as well. If anyone is interested in how and why it changed through local discussions and processes, it's worth looking into. I won't elaborate here, but I see it as a phenomenon. While conducting regional research, I often hear the thoughts of locals regarding events like the Gwangju or Busan Biennales, or the changing or disappearing residencies and exhibition spaces for contemporary artists in places like Incheon and Daejeon. I interpret these as the marginalized making a comeback or a backlash. I won't go into details, but I see it as one phenomenon. Whether it's the opinions of locals about the Gwangju Biennale, (remembering an episode about promoting the Gwangju Biennale by making the ‘Vienna Sausage’ video last year), or the changes or closures of contemporary art residencies and exhibition spaces in Incheon and Daejeon, I try to understand it as a backlash from the marginalized. While the authenticity of these claims is uncertain, I lean towards considering them as part of a larger trend. If a clam barbecue restaurant were to enter the Incheon Art Platform, would we say we're heading in the direction of Manchester? I think there are people who hold contemporary art in high regard despite its relatively small budget compared to other art genres. By the way, the Manchester Football Museum reportedly attracts many visitors each year, especially from East Asia,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the city's income.
Many questions arise. I remember the quiet exhibition at the Arko Art Museum and the overwhelming difference in audience numbers when I happened to visit the Coex Illustration Fair. I still have that photo saved and occasionally revisit the memory. Oh, there is an art market after all? Do you know how many 'non-mainstream' contemporary artists I follow on social media (threads)? I consider them like Spideys in a multiverse and am researching their works. However, when I delve into their deeply contemplated pieces or experiences of triumph and observe their connected accounts, I find myself reacting to an art world that looks remarkably unfamiliar from what I know. Perhaps, if you don't find it necessary to visit art exhibitions in Insa-dong, you might be feeling that invisible wall. Another world certainly coexists within the same spacetime.
My speculation is that, whether intended or not, art that doesn't discomfort the marginalized, who have felt some form of humiliation in contemporary art, seems to thrive. As a contemporary artist who experienced a brief revival, it seems like it's time for me to find a different hiding place.
I've explained why I've been fascinated by the world of the marginalized for several years. There was certainly a sense of survival, and I also contemplate whether the current era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is truly in sync with the times. Due to my interest in discussions outside Seoul, I unintentionally find myself both admiring and resenting the 'genre' of contemporary art.
"Why am I contributing taxes to fund such a ludicrous art exhibition?"
->(when they don't incur significant tax expenses for the show.)
In simple terms, my desire is to create a slight crack in the wall of exclusive creativity that we tend to share among ourselves. I humbly request many contributions and assistance for my ongoing exploration of the marginalized.
작가 소개
선박회사에서 하던 일을 그만둔 후에 영국에서 시각 예술 교육을 받았다. 커뮤니티 활동의 기회가 주어진 인천에서 시작해 도시 연구와 예술을 수행하면서 반경을 넓히고 있다. 전쟁 전후의 변화와 군사 문화를 토대로 한 아시아적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거대 담론에 반하는 개인적 활동(농작물 가꾸기, 동네 청소 등)의 체험을 전쟁의 역사가 얽힌 나라의 예술인과 협력하고 직조하는 작업을 만든다. 2022년부터 '유해 업소' 배출을 뒤집어쓴 변두리 삶을 리서치하고 있다.
After resigning from a shipping company, Gemini Kim carried out urban studies and art practice in Incheon. Given opportun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and an interest in the Korean War, neighborhood, and farming, he is trying to weave small and individual narratives in the war history including Japan and Vietnam as well as Korea by participating in local activities. His recent research is on the post-colonial industries in Asia where countries sell and buy machine factories along his personal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