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Translation Zone
2019
4K Single Channel Video
27'23”
Translation Zone에는, 작가(코스케 나가타)가 요리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 위에 일본식 억양의 작가의 영어 내레이션이 겹쳐져 있다. 내레이션은 분자 요리와 인류학에서 문화를 번역하는 것, 그리고 “볶음밥”을 다른 언어들로 번역하는 것과 기계 번역과 관련된 취약성과 같은 예시들을 통해 문화의 번역에 수반되는 불화에 대해 논의한다. 이 영상은, 어떻게 다양한 문화들의 혼합이 문화를 창조하는 과정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그 사례로) 싱가포르의 다민족 문화와 일본에서 현지화된 외래 문화를 이야기한다.일본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다른 나라의 요리를 만들거나, 하나의 단어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마다, 어느 정도의 불일치와 불화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영상은 이러한 불일치와 불화에 중점을 두며, 번역이 실패하거나 혼동되는 상황에서 문화적 풍부함의 원천을 찾아낸다.
In Translation Zone, the artist's English narration with a Japanese accent is superimposed on a video of himself cooking. The narration discusses the translation of cultures in molecular cuisine and anthropology, and the friction that accompanies such cultural translation, using examples such as "fried rice" in different languages and the vulnerabilities associated with machine translation. The film discusses the multi-ethnic cultures of Singapore and the localization of foreign cultures in Japan, showing how the mixing of multiple cultures is the process of cultural creation in the first place.
Whenever ingredients available in Japan are used to make a dish from another country, or a word is translated from one language into another, there is bound to be some misalignment and friction. This film focuses on this misalignment and friction, and finds the source of cultural abundance in such situations where translations fail or get mixed up.
작가 소개
코스케 나가타는 1990년 일본 아이치현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가나가와현에 거주하며 작업한다. 그는 예술적 흥미를 바탕으로 다양한 현상을 지각하기 위해 사회 구조, 오늘날의 미디어 기술, 우리의 감각체계와 같은 근본적인 구성 요소를 찾아낸다. 동시에, 작품을 통해 하나의 존재를 또 다른 것과 구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모호함을 발생시킨다. 주요 전시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정(情)'의 시대》(아이치현 미술관, 아이치, 2019), 《Open Space 2018: in transition》(NTT 인터커뮤니케이션 센터, 도쿄, 2018), 《The Yebisu International Festival for Art & Alternative Visions 2018: Mapping the Invisible》(도쿄도 사진 미술관, 도쿄, 2018) 등에 참여한 바 있다. 일본에서 출판된 레프 마노비치의 번역서 『인스타그램과 동시대 이미지』(도쿄: BNN, 2018)에 자신의 에세이 「포토샵 이후의 사진: "사진적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기고하였다.
Born in Aichi, 1990.
Lives and works in Kanagawa.
Locating fundamental components such as social structure, today’s media technology, and our sensory system to perceive various phenomena in his artistic interest, artwork by Kosuke Nagata continues to emerge ambiguity in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one from another.
He has recently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major exhibitions “Aichi Triennale 2019: Taming Y/Our Passion“ (Aichi Prefectural Museum of Art), “Open Space 2018: in transition” (NTT InterCommunication Center), and “The Yebisu International Festival for Art & Alternative Visions 2018: Mapping the Invisible” (TOKYO PHOTOGRAPHIC ART MUSEUM). The essay titled ‘Photography after Photoshop: Software of the “Photographic Apparatus”’ contributed to the Lev Manovich’s Japanese-translated publication “Instagram and Contemporary Image” (Tokyo: BNN,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