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단위 Credits
노바 스텔라의 세계에서는 화폐를 '크레딧'이라는 단위로 사용합니다.
화폐 가치는 현실 세계에서 여러분들이 느끼는 그것과 동일하며, 환율 역시 1:1 비율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노바 스텔라의 세계에서 한 달 일반 사무직 근무자의 평균 월급을 크레딧으로 환산하면 200~300만 크레딧 정도가 됩니다.
기갑 파츠 Mechanical Parts
노바 스텔라의 세계에 존재하는 기갑들의 특성은 앞서 정리한 '기갑 및 합선' 항목에 클래스별로 나누어져 있지만,
무기나 방어구와 마찬가지로 기갑 역시 제조사에 따라서 특성이 조금씩 다르다는 설정으로,
보다 다양한 우주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나누어 보았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전차 파츠, 배틀 수트 파츠, 함선 파츠 등 기갑 파츠를 통틀어 제작하는 제조사의 특징에 따라 간략히 나누었으며,
각 기갑별 클래스나 기본 스펙에 대한 사항은 기갑 관련 항목 세부 메뉴에서 확인하시면 되오니, 참고해주세요.
모든 메카닉의 스탯은 캐릭터 스탯과는 별개로 출력, 내구, 밸런스, 기동력, 이렇게 네 개의 스탯으로 나뉩니다.
스탯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력
출력은 메카닉의 에너지 출력을 얼만큼 끌어올릴 수 있는 지에 대한 능력치입니다.
주로 근접 공격을 위한 출력과 원거리 공격을 위한 출력 등, 공격 판정에 사용되는 스탯입니다.
내구
내구는 메카닉의 체력과 관련된 능력치입니다. 방어 판정에 사용되는 스탯이며,
내구 능력치 1개당 기갑의 물리 내구 게이지가 하나씩 증가합니다.
밸런스
밸런스는 메카닉의 감지 능력 등 시스템 적인 부분과 관련된 능력치입니다.
상황 판단 및 메카닉 스킬 판정에 사용되는 스탯이며, 밸런스 능력치 1개당 기갑의 시스템 내구 게이지가 하나씩 증가합니다.
기동력
기동력은 메카닉의 기동 능력에 대한 부분입니다. 회피나 이동 관련 판정에 사용됩니다.
메카닉 스탯은 캐릭터 스탯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독립적인 스탯으로 판정되며,
능력 수정치가 따로 없는 관계로 판정에 능력치 자체의 값만큼 더해지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장비로 인한 수치 상승이나, 메카닉을 운용하는 캐릭터의 관련 스킬 수치만큼의 값이 더해져 판정됩니다.
메카닉 스탯은 비용을 들인 업그레이드를 통하거나, 장비 장착을 통해서만 변경 가능합니다.
기갑 역시 '일반 방어구' 페이지의 쉴드와 마찬가지로 쉴드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쉴드 수치와 쉴드 회복률 또한 존재합니다.
또한 기갑 역시 '모듈'을 설치한다면 은폐장 및 디텍터를 설치할 수 있어,
모듈의 중요성 또한 간과할 수 없습니다. 설치할 수 있는 모듈은 '기갑 업그레이드' 항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갑 무기 체계
기갑 무기 체계 역시 일반 무기 체계와 마찬가지로
물리 무기인 실탄 병기와 냉병기, 광선 무기인 레이저 무기와 빔 무기, 입자 무기인 플라즈마 무기로 나뉘며,
물리 무기는 세 가지 계열을 통틀어 순수한 피해량은 가장 높지만 관통력은 상대적으로 모자라며,
광선 무기는 세 가지 계열을 통틀어 관통력은 가장 높지만 순수 피해량은 상대적으로 모자란 편입니다.
입자 무기는 관통력과 피해량 둘 다 우수하나,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가격도 두 계열보다 상당히 비쌉니다.
기갑 특성 상 물리적인 힘의 제약으로 장착할 수 없는 무기 체계는 존재하지 않기에,
어떠한 특성의 무기를 장착하느냐에 따라 성능이나 성향이 달라지기 쉽습니다.
기갑 방어 체계
기갑 방어 체계 역시 직접적인 피해에 대응하는 방어력인 장갑과, 장갑에 닿기 전 데미지를 미리 막는 쉴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쉴드는 피해를 받게되면 그만큼 HP 대신 닳게 되지만, 수치가 온전히 닳지 않거나 쉴드 기능이 망가지지 않는 이상
일정 턴만큼의 선언이나 행동 기회마다 1씩 계속해서 회복되는 임시 방어막이며,
장갑은 방어구 자체의 강도로, 쉴드가 무너지거나 방어구 자체에 피해를 받을 때 장갑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상쇄시킵니다.
따라서, 장갑 수치 이하의 데미지는 해당 기갑에게 어떠한 피해도 주지 못합니다.
장갑은 상황에 따라 방어구가 손상되면 수치가 떨어지기도 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쉴드 회복력이 높은 방어구의 경우, 점차적으로 회복되는 쉴드 수치가 높거나, 쉴드가 회복되는 주기가 빨라지기도 합니다.
은폐장과 디텍터
모듈에 따라 '은폐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들이 존재합니다.
이 은폐장은 ESP 효과를 통해 기척을 감추는 것이 아니라, 기술력을 통해 시각 및 체온 등의 기척을 왜곡시키는 것으로,
시전자의 모습과 기척을 지워줍니다. 이 은폐장은 발동 난이도가 따로 없지만 상황에 따라 발동 난이도를 마스터가 제시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 이유에서 은폐장이 해제된다면 다시 은폐장을 연이어 발동시키기란 어려운 편입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마스터의 난이도 제시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은폐장'을 감지할 수 있는 '디텍터' 기능을 가진 모듈 역시 존재합니다.
디텍터 사용 역시 발동 난이도의 제약은 따로 없지만, 상황에 따라 발동 난이도를 마스터가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은폐장 효과 모듈이나 디텍터 모듈은 그만큼 값이 비싼 편입니다.
추가 파츠의 다양한 효과
추가 파츠 특성에 따라 보조적으로 자체 수리 장치가 있거나, 특정 공격에 대한 내성이 있거나,
ESP 효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등 저마다 효과가 다양한 추가 파츠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추가 파츠 효과들은 파츠 교체를 통해 기존 파츠가 있던 자리에 장착하거나,
주문 제작을 통해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한 번에 너무 많은 효과를 부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파츠 하나에 부여할 수 있는 효과의 갯수는 마스터 재량하에 결정합니다.
파츠별 등급
파츠를 나누는 등급 역시 기본적으로 9개 등급으로 나누어지며, 이것은 양산형 파츠를 나누는 기준이기에,
커스텀 제작을 하는 경우라면 등급으로 나누는 것이 무의미한 경우도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로, 각각의 등급은 등급이 높아질수록 그 성능과 비례하여 가격도 비쌉니다.
나누어지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베이직 : 가장 기초적인 등급의 파츠입니다. 주로 일상 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단계가 이 등급입니다.
- 레귤러 : 보편적인 파츠 등급으로, 베이직 파츠보다 향상된 기술력을 보입니다. 기동 순찰대에서도 쓰이는 등급의 파츠입니다.
- 어드밴스드 : 조금 더 발달한 체계의 파츠로, 본격적인 치안 유지 집단이나 공사 현장 등 보다 전문적인 상황에서 쓰입니다.
- 프로페셔널 : 이 단계부터는 사설 경호업체나 용병단 등 무력을 업으로 삼는 집단에게 어울리는 상급 등급입니다.
무역함선이나 장거리 민간 순양함 등에서도 안정성을 위해 자주 쓰이는 등급이기도 합니다.
- 베테랑 : 여기서부터는 정규군급의 무력 집단이나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용병단들에게 애용되는 등급이며,
재력을 기반으로 한 민간업체에서도 애용하는 등급이기도 합니다.
- 엘리트 : 보다 상급의 정규군 집단이나. 정예 용병단, 대기업 등에서 쓰는 등급으로, 그에 걸맞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 슈프림 : 엘리드 팬저 사단, 우주 기업 등에서나 볼 수 있는 파츠로,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확실히 구입하기 어렵습니다.
- 마스터 : 좀처럼 보기 드문 희귀한 등급의 파츠로, 가격은 비싸지만 확실하고 강력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 얼티밋 : 기술력이 총집결된 가장 상위 등급으로, 그만큼 찾아보기도 힘들고 값도 어마어마합니다.
기갑 무기별 특징
각 제조사별로 나누어 설명하기 이전에, 간략한 기갑 무기별 특성도 함께 적어보겠습니다.
설명되지 않은 무기별 특성은 마스터 재량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배틀수트용 근접 무기
배틀 수트용 한손 무기
주로 절삭 무기나 둔기 등 근거리에서 타격을 줄만한 무기들의 한손 무기 총 집합으로,
쌍수로 들고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해당 배틀수트를 조종하는 파일럿이 '쌍수 무기 마스터리'를 갖추어야 합니다.
배틀 수트용 양손 무기
양손 무기는 그만큼 데미지도 크고 강력한 만큼 가격이 더 나가는 편입니다.
하지만 관통력 역시 상당하므로, 양손 근접 무기를 애용하는 파일럿들도 여럿 존재합니다.
배틀 수트용 원거리 무기
배틀 수트용 핸드건
핸드건 계열은 가볍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인 위력은 원거리 무기류 중에서 가장 떨어지는 편입니다.
탄창은 총기에 따라 주로 8~16발 정도로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핸드건의 최대 장점은 탄창을 가는 시간이 거의 소모되지 않는다 점 때문에
별다른 재장전 선언 없이 탄창만 있다면 재장전 후 바로 연이어서 사격할 수 있습니다.
'연사'나 '점사'가 가능하며, '연사' 및 '점사' 공격 선언 시에 1d4 를 굴려 나온 값만큼 추가 탄환을 소모하고,
추가로 소모한 탄환 한 발 당 데미지에 1d2 씩 추가로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쌍수 무기 마스터리'가 없는 경우라면 핸드건을 양손에 들고 싸울 수 없습니다. 그리고 쌍수로 이용할 시에는 탄환 소모가 두 배가 됩니다.
쌍수로 다룰 경우 각 무기별 성능이 서로 더해진 만큼의 효과를 봅니다.
배틀 수트용 어썰트 라이플
균형 잡힌 사거리와 데미지가 잘 어우러진 원거리 무기입니다.
탄창은 주로 총기에 따라 20~30발 정도로 넉넉한 편이며, '연사'나 '점사'가 가능합니다.
'연사' 및 '점사' 공격 선언 시에 1d4 를 굴려 나온 값만큼 추가 탄환을 소모하고,
추가로 소모한 탄환 한 발 당 데미지에 1d2 씩 추가로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쌍수로 다룰 경우 각 무기별 성능이 서로 더해진 만큼의 효과를 봅니다.
'쌍수 무기 마스터리'가 없는 경우라면 어썰트 라이플을 양손에 들고 싸울 수 없습니다. 그리고 쌍수로 이용할 시에는 탄환 소모가 두 배가 됩니다.
탄창에 든 탄약이 다 떨어지면, 한 턴을 들여 재장전을 위한 선언을 하여 재장전을 하고, 그 다음 턴부터 다시 공격이 가능합니다.
배틀 수트용 스나이퍼 라이플
스나이퍼 라이플은 장거리에서 강력한 위력으로 적 한 기 한 기를 단숨에 제압하는데 탁월한 원거리 무기입니다.
중거리나 근거리에서도 사격이 가능하긴 하지만 총기류 특성 상 한 발을 쏘고 난 뒤에 반드시 재장전을 해야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불리한 감이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모든 배틀 수트용 총기류 중 가장 강력한 데미지와 관통력을 지니고 있고,
장거리에서 시야 확보만 잘 된다면 적이 접근하기도 전에 제압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이점이 있습니다.
탄창은 주로 총기에 따라 8~12발 정도로 적은 편이고, 상기 설명한 것처럼, 한 발을 쏘고나면 재장전을 위해 한 턴을 사용해야 합니다.
스나이퍼 라이플은 쌍수로 들고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배틀 수트용 중화기
중화기는 저마다의 특색을 지닌 강력한 총기류입니다.
미사일 런처부터 시작해서, 화염 방사기, 입자포, 그레네이드 런처, 미니건 등등 설계된 디자인과 목적에 따라 저마다 다르지만,
모든 총기류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화력을 보장합니다.
탄환의 수나, 데미지를 입히는 방식 역시 중화기별로 제각각이며, 그 특색에 따라 다양한 전략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중화기는 쌍수로 들고 사용할 수 없으며, 기본적으로 '헤비 웨폰 서포터 모듈'이 해당 기갑에 설치되어있어야 중화기를 쓸 수 있습니다.
전차, 함선용 원거리 무기
캐논
캐논은 강력한 단발 데미지를 자랑하지만, 연달아서 쏘게 되면 과열 효과로 인해 냉각 사이클이 돌아갈 동안 잠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포격 텀을 두고 안정적으로 쏘거나, 그에 따른 강력한 성능의 쿨러를 이용해 장비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한 번 쏘고나서 2d2-1 횟수만큼의 턴을 통한 쿨다운이 필요합니다.
단발로 쏜다는 점, 그리고 쿨다운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단점은 강력한 데미지와 관통력으로 상쇄합니다.
캐논을 두 개 이상 탑재한 경우라면 번갈아 가면서 쏘는 전략적인 이용도 가능합니다.
레일건 / 터렛
레일건 또는 터렛은 빠른 연사가 가능한 기갑용 무기입니다.
역시나 과열 과정으로 인한 쿨다운이 필요하긴 하나, 캐논에 비해서는 확실히 빠른 쿨다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총기류 중 어썰트 라이플을 사용하는 개념과 비슷하게 이해하면 됩니다.
대신 이 과정에서는 '탄창'의 소모가 아니라 '과열도'라는 용어로 대체하므로, 이 차이점만 유의해둔다면 큰 차이가 없습니다.
과열 임계치는 주로 모델에 따라 20~30발 정도로 넉넉한 편이며, '연사'나 '점사'가 가능합니다.
'연사' 및 '점사' 공격 선언 시에 1d4 를 굴려 나온 값만큼 추가 과열도를 소모하고,
추가로 소모한 탄환 한 발 당 데미지에 1d2 씩 추가로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설치된 레일건 또는 터렛이 한 개 이상이라면, 동시에 데미지를 합산하여 발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동시 발포 여부는 마스터 판단 하에 승인하거나 불허할 수 있습니다.
과열도를 소모하여 과열 임계치에 다다르면, 한 턴을 들여 쿨다운을 위한 선언을 하여 쿨다운을 하고, 그 다음 턴부터 다시 공격이 가능합니다.
런처
런처는 무기 자체의 데미지가 아니라 사용하는 '탄환'의 데미지만큼의 피해를 주는 기갑용 무기입니다.
다연장 런처 같은 경우라면 동시에 여러발을 쏘아 한꺼번에 강력한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연장이건 단발 런처건 '탄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공격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론 다연장보다는 단발에 가까운 런처일수록 사용되는 탄환의 강력함은 더 강한 편입니다.
미사일부터 폭발물 등 탄환으로 사용되는 무기들의 종류는 런처의 모델만큼이나 다양합니다.
다음은 각 제조사별 특징입니다.
델소스 메카닉스 Delsos Mechanics
주로 기동이 빠르고 내구가 좋은 양산형의 메카닉들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공업 현장이나 인명 구조 현장 등을 비롯한 일상 생활 내에 쓰이는 메카닉부터 시작해서,
사설 경비업체용 패트롤까지 만드는 범적인 기업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기본적인 메카닉 무기들을 취급하고 있지만, 주력으로 생산하는 파츠는 장갑 파츠입니다.
파츠들 역시 저렴한 편에 가성비도 나쁘지 않습니다.
오리하르콘 테크 Orichalchon Tech
용병단체나 경호업체등 무력 단체들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삼는 이 기업은,
출력과 밸런스, 그리고 슬롯 확장 면에서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보이는 기갑들을 만들어냅니다.
화력면에서 우세할수록 승산을 잡기 쉬운 전장일수록 오리하크론 테크의 기갑들은 진가를 발휘합니다.
전차와 함선용 무기들도 취급하지만, 주로 배틀수트용 무기들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오리하르콘 테크의 무기들은 대부분 물리 병기 계열이므로, 관통력은 비교적 부족하지만 순수한 피해량 만큼은 상당합니다.
밸로스 컴퍼니 Velos Company
우주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초거대 기업으로 유명한 밸로스사는, 그에 걸맞은 품질의 기갑을 제공합니다.
밸로스의 기갑은 밸로스사의 방어구나 무기보다는 평균적인 편이지만,
역시나 전반적인 성능이 균형적으로 고루 높은, 질이 좋은 기갑으로 유명합니다.
모노크롬 사와 비교하자면 기갑의 자체적인 스펙 면에서는 모자란 편이지만,
보다 많은 슬롯 숫자를 통해 모듈의 범용성을 높인 기갑으로 승부합니다.
장갑 파츠와, 쉴드, 렐릭, 각종 무기까지 골고루 취급하고 있으며, 밸런스도 적절하게 조율되어 잘 나오는 편입니다.
물리 무기, 광선 무기, 입자 무기들 전부를 취급하며, 말 그대로 전반적인 밸런스가 무난하게 잘 잡혀있습니다.
텍트 인더스트리 Tect Industry
주료 의료 기기나 생명 공학 관련으로 기반을 잡고 성장한 초거대 기업인 텍트 인더스트리는,
그간의 기술력 특징을 살려 쉴드 회복력이 뛰어난 기갑을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리고 내구력과 기동력, 쉴드와 장갑에 중점을 맞춰,
보다 오래, 보다 견고하게 기동할 수 있는 기갑들이 많습니다.
쉴드와 광선 무기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덤으로 렐릭과 장갑 역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텍트 인더스트리의 쉴드는 회복력이 빠른 것이 장점이며,
광선 무기 역시 다른 계열 무기에 비해 비교적 순수 데미지는 모자라지만 관통력이 상당히 좋습니다.
모든 기업을 통틀어 광선 무기의 효율이 가장 좋은 기업입니다.
모노크롬 컴퍼니 Monochrome Company
초거대 기업 중 세 번째인 모노크롬 컴퍼니는, 주력으로 삼고있는 기술이 기갑 기술인만큼,
가격대비 성능이 가장 좋게 여겨지며,
출력, 내구, 밸런스, 기동력, 쉴드, 장갑, 슬롯 면에서 확실한 균형을 맞추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른 기업들보다 기갑의 가격이 비교적 비싼 감이 있지만, 성능 면에서 확실히 탁월합니다.
각종 파츠들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나 기갑용 무기 관련으로는 동급의 클래스들에 비해 뛰어난 가성비를 보입니다.
다만 그 가격이 그 성능값만큼 비싸기도 합니다.
엘피림 평의회 성전 무기고 Elfirim Council Holywar Armory
엘핌 사회에서 배틀 수트 계열을 일컫는 '메레프' 기술력과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함선 기술을 통해,
렐릭에 대한 친화력이 높으면서도 균형 잡힌 기갑들이 특징입니다.
밸런스와 기동력, 그리고 쉴드 회복력을 중점적으로 살린 기갑들로, 기동적인 측면에서 탁월한 편입니다.
하지만 역시나 엘피림 평의회의 기갑들은 '렐릭'의 힘을 끌어올리는 상황에서 진가를 발휘합니다.
광선 무기와 입자 무기, 쉴드와 렐릭을 주력으로 삼고 만들고 있으며, 주력으로 삼는만큼 그 성능 또한 뛰어납니다.
쉴드의 경우 쉴드 자체량과 회복력이 뛰어난 편이고, 광선 무기는 텍트에 비해 조금 모자라지만 준수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입자 무기 역시 모노크롬과 비견할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렐릭의 경우는 독보적으로 앞서고 있습니다.
배틀드럼 무기고 Battle Drum Armory
타르칸의 특성에 맞게 자체 장갑과 내구, 출력에 집중 특화된 화력 병기형 기갑들이 특징입니다.
다른 곳에서 제조되는 기갑들보다 장갑과 내구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튼튼하며,
그들이 일컫는 '기동 갑옷'과 '기동 요새'라는 명칭처럼, 개체 하나하나가 '강력함'을 중시하여 만들어집니다.
배틀수트용 근접 무기와 기갑용 장갑이 특히 뛰어나며, 그 외에 기갑용 무기들도 화력 특화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