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간판에 우리말 사용보다 외래어 사용이 많다는 내용의 뉴스였습니다. 간판의 외래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도 계시다고 하네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판을 보면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 알 수 있지요.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 접할 수 있는 방법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말 사용 실태를 찾아보고 조사할 내용을 생각해 봅시다.
(가) 는 어떤 내용인가요?
외국어 간판이 많은 모습입니다.
(나) 는 어떤 내용인가요?
욕설이나 비속어를 사용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뉴스입니다.
(다) 는 어떤 내용인가요?
우리 토박이말을 다룬 사전(책)입니다.
(라) 는 어떤 내용인가요?
욕설을 하는 습관을 고치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입니다.
(마) 는 어떤 내용인가요?
국립국어원 누리집의 순화어입니다.
(바) 는 어떤 내용인가요?
우리말을 가꾸자라는 내용의 00어린이 신문입니다.
(가) ~ (바) 를 보고 우리말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문제점을 말해 봅시다.
우리말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바르고 고운 우리말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위 그림의 내용처럼 우리말 사용 실태를 다룬 자료들은 거리의 간판, 뉴스, 책, TV 프로그램, 인터넷, 신문 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지원이네 반 친구들의 우리말 사용 실태 조사 내용을 살펴보고 여러분도 각자 조사 계획을 세워 봅시다.
(교과서 27쪽)
(1) 대화를 보고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각 무엇을 조사했는지 생각해 봅시다.
여학생은 잘못된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서, 남학생은 좋은 언어문화에 대해 조사했네요.
(2) 여학생은 잘못된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서, 남학생은 좋은 언어문화에 대해 조사했네요.
(2) 그럼 이제 우리도 우리말 사용 실태를 어떻게 조사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고 계획을 세워 볼까요? 아래 예시자료를 참고하여 조사 계획을 세워 봅시다.
오늘의 과제!!
교과서 248쪽 활동 결과를 사진으로 제출해주세요.
다음 시간에는 우리말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를 하고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을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