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원 첫번째 시간입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알맞게 속담을 사용한다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해보아요!
즐거운 속담 놀이 시간!!
다음에 제시되는 속담의 한 부분을 보고 나머지 부분을 떠올려 보세요. 내가 떠올린 부분이 맞는지 속담을 클릭하여 확인해보고 뜻도 함께 읽어보세요.
1. 발 없는 말이 ( ).
천리 간다.
<말은 쉽게 퍼지니 말조심하라는 뜻>
2. 하룻강아지 ( ).
범 무서운 줄 모른다.
<아무 경험 없는 사람이 철없이 함부로 덤비는 경우를 이루는 말>
3. 구슬이 서 말이라도 ( ).
꿰어야 보배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다듬고 정리해 쓸모 있게 만들어야 값어치가 있다는 뜻>
4. 소 잃고 ( ).
외양간 고친다.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는 뜻>
5. ( ) 고개를 숙인다.
벼는 익을수록
<속이 꽉 찬 사람은 인격이나 지식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더 겸손해진다는 뜻>
6. ( ) 발등 찍힌다.
믿는 도끼에
<아무리 잘 알고 믿음이 있더라도 잠깐의 부주의나 실수로 큰 피해를 볼 수 있으니 항상 조심하라는 뜻>
7. ( ) 밟으면 꿈틀한다.
지렁이도
<아무리 보잘것없는 사람이나 순하고 좋은 사람이라도 너무 업신여기면 가만있지 않는다는 뜻>
8. 고래 싸움에 ( ).
새우 등 터진다
<힘센 사람들끼리 싸우는 바람에 애꿎은 사람만 낭패를 볼 때 쓰는 말>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속담을 사용하는 까닭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여러분, 속담이 무엇인지 알고 있나요?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오는 격언이나 잠언으로, 우리 민족의 지혜와 해학, 생활 방식과 교훈이 담겨 있는 말입니다.
1. 여러분은 알고 있는 속담이 많나요? 자, 이제부터 내가 아는 속담을 머릿속에 떠올려 봅시다.
모두 떠올렸다면 자신이 알고 있는 속담과 그 뜻을 붙임쪽지(붙임11)에 써서 속담 나무(교과서 146쪽)를 꾸며 봅시다.
2. 그림을 보고 뜻이 같은 속담을 생각해 봅시다.
(1) 그림 2에서 파란색으로 쓰인 속담은 무슨 뜻일까요?
쉬운 일이라도 협력해서 하면 훨씬 쉽다는 뜻입니다.
(2) 파란색으로 쓰인 속담과 바꾸어 쓸 수 있는 속담을 찾아보세요. 인터넷을 활용해도 됩니다.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 <손이 많으면 일도 쉽다> 그밖에 <누
위에서 알아본 것처럼 속담 중에는 같은 뜻을 가진 속담들이 있습니다.
그 밖에 뜻이 같은 속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혹시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라는 속담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이 속담은 <무슨 일을 할 때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해라> 라는 뜻을 갖고 있지요. 이와 비슷한 속담으로는 <식은 죽도 불어가며 먹어라>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