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린더와 각종 부속장치가 설치가능한 기관 본체/냉각수가 흐르는 통로와 엔진오일이 순환하는 윤활통로로 구성.
상부-실린더 헤드 조립.
하부-클랭크축, 윤활유실 조립.
내열성, 내마모성이 큰 재료 사용(열팽창계수가 작아야함).
윤활유를 저장하는 공간실린더 블록 하단에 위치.
윤활유실 또는 오일 팬이라 불림.
크랭크축이 회전할 때 윤활작용하는 비산식과 오일펌프를 이용한 압송방식을 동시에 적용한 비산-압송식 윤활시스템 구성.
실린더 블럭 상부에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조립.
피스톤이 상사점일 때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공간을 연소실이라함.
점화플러그, 흡기*배기밸브시스템 등의 장치가 조립 되어있음.
오일통로와 냉각수 통로 형성되어 있음.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며 연소가스의 압력과 열을 일로 바꾸는 역할.
열전달이 우수하고 가볍고 견고한 재료 필요.
➡ Y합금(알루미늄), 로엑스합금 사용/ 비중량이 작고 내마모성이 크며 열팽창계수가 작음.
피스톤 상부(pistion head)에 피스톤 링 조립.
➡ 피스톤 상단에 피스톤 핀을 설치하는 핀 보스(pin boss)부 존재 - 이 부분에 커넥팅 로드 조립(커넥팅 로드 소단부).
고온,고압의 연소가스가 연소실에서 크랭크실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시킴.
실린더 벽에 윤활유막을 형성하고 피스톤의 열을 실린더 벽으로 방출시키는 방열작용을 함.
커넥팅 로드 소단부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부품.
고정방식에 따라 고정식, 반부동식, 전부동식으로 구분.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평행추가 장착되어 크랭크축 회전 시 발생하는 회전 진동 발생을 억제하고 원활한 회전 가능하게함.
팽창행정에서 피스톤이 받은 동력을 크랭크축으로 전달하고 다른 행정 때는 역으로 크랭크축의 운동을 피스톤에 전달하는 역할.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대단부와 피스톤과 연결되는 소단부, 본체로 구성.
크랭크축 끝단에 설치되어 클러치로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
기관의 기통수가 많을수록 작아지며 간헐적인 피스톤의 힘에 대해 회전관성을 이용하여 기관 회전의 균일성을 이루도록 설계.
열팽창계수 : 금속과 같은 고체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변한 길이(부피) 변화율을 나타내는 값. 길이 변화량은 전체 길이와 온도 변화량에 비례한다. (온도 증가가 클수록 길이가 길수록 변화량이 큼)
비산식 : 크랭크실 내에 항상 일정량의 윤활유를 넣어 놓고 커넥팅로드 큰 끝에 붙어 있는 주걱(dipper)으로 크랭크케이스 안의 윤활유를 각 윤활 부분에 뿌려서 실린더 벽이나 피스톤 등에 급유하는 방법.
압송방식 : 캠 축이 구동하는 오일펌프에 의하여 오일 팬(oil pan)안의 윤활유를 흡입하고 오일의 압력을 3~6 bar 정도로 높여서 오일 순환통로를 따라 각 윤활부로 압송하는 방식.
비산-압송식 : 비산식과 압송식을 조합한 방식. 크랭크축 베어링, 캠축 베어링 밸브 기구 등은 압력식에 의해 윤활되고, 실린더 벽, 피스톤 핀 등은 비산식에 윤활된다.
Y합금 : 알루미늄을 주 성분으로하는 합금. 순수 알루미늄은 부드러운 금속이기 때문에, 구리, 망간, 규소, 마그네슘, 아연, 니켈 등과 합금하여 강도 등 금속 재료로서의 특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로엑스합금 : 로엑스 합금 성분원소 표
비중량 : 단위 체적 당 무게 또는 단위 부피 당 중량/참조
고정식 : 피스톤 보스에 핀을 고정하고 커넥팅 로드에 걸어둔 형태 (하단 사진).
반부동식 : 커넥팅 로드에 핀을 고정하고 피스톤 보스내에서 핀을 회전시키는 형태 (하단 사진).
전부동식 : 피스톤 보스와 커넥팅 로드 모두 연결되어있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 (하단 사진).
፠ 온도 1℃ 상승할 때 팽창한 길이를 0℃의 길이로 제한 값을 선팽창계수라 한다. (물질의 열팽창에 대한 성질을 기술하는 계수)
중요 금속의 평균 선팽창계수 = β *10^5(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