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액체와 기체)의 운동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지상태에 있는 유체에 대해 연구하는 유체 정역학, 운동중에 있는 유체에 대해 연구하는 유체 동역학으로 나뉜다. 또는 유체에 따라서 액체일 때는 수역학, 기체일 때는 기체역학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전산유체역학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 유체 : 공학적으로 유체가 연속체라는 가정하에 이러한 유체를 전단응력에 따라 변형력을 수리적 또는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체
• 밀도(p) : 단위 부피 당 질량 (유체의 무거움과 관련 있음)
• 압력 : 힘/면적 … … … … 스칼라 값
• 크기 : 어떠한 물리량의 단위
• 유체의 속도장 (변수 x,y,z,t 시간)
가속도 a = (속도)'
• 점성(μ ) : 유체의 끈끈한 정도, 유체가 얼마나 빠르고 느리게 흐르는 지에 대한 기준이 되는 물리량
동적 점성도 : 점성 ÷ 밀도
• 레이놀즈 수 : 무차원 수(단위가 없는 수)
*출처 : 위키백과, 네이버 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