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내가 치대에 가고 싶은데 서울대학교는 왜 치의학대학원밖에 없지? 치대랑 다른 건가?"라는 궁금증이 생길 수 있는 분들을 위한 깨알 상식!
현재(2022년) 우리나라에서 치대는 11개 대학에 존재합니다. 원래 의대나 치대의 커리큘럼은 예과2년+본과4년으로 6년 과정입니다.
하지만,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3개의 대학은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운영되어 약간은 독특한 커리큘럼을 가집니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에 오기 위해선 학석사 통합과정과 전문석사과정으로 나뉘는데요,
학석사 통합과정: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입학!
예과 3년 + 본과 4년과정
졸업후 석사 학위 취득
전문석사과정:
대학교에서 다른 전공으로 학부 4년 졸업 후 입학!
본과 4년 과정
졸업 후 석사 학위 취득
간략히 말하면 3+4년 또는 4+4년을 공부하여, 졸업 후 치과의사 선생님이 되는 것입니다. 이름이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이지만 다른 치과대학의 본과과정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을 "서울치대"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답니다. 고등학생분들이 "치대에 가고 싶어!"라고 생각하신다면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학석사 통합과정에 지원하시면 된다는 것을 알아두시면 됩니다:D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다루고 있어 서울대학교 치대에 관심있는 학생들은 한 번쯤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출처: 유튜브 채널 Center for Future Dentistry, SNUSD )
서울대학교 치대 본과생이 알려주는 치대에선 무엇을 공부하고 배우는가!
(공부와 실습은 endless...)
(출처: 유튜브 채널 Center for Future Dentistry, SNUSD )
예과 시절(혹은 다른 전공 학부시절)부터 본과 4년까지 기나긴 시간을 공부하는 치의학전공인 만큼 다양한 과목을 수강하게 됩니다.
예과 시절에는 여러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본과 시절부터 본격적인 치의학 공부에 돌입합니다.
본과1학년: 기초 치의학 관련한 교과목을 듣게 됩니다. ex. 생명현상의 이해, 인체의 구조와 기능 등등
본과2학년: 1학년 때 공부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임상치의학에 활용되는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 수업을 듣게 됩니다. (실습양이 엄청나요..!)
본과 3-4학년: 병원 실습을 하게되는 기간입니다. 치대에서는 조금 특별하게 "원내생"이라는 제도가 있어 교수님의 감독 하에 직접(!) 환자를 진료하게 됩니다. 이 기간을 통해 간단한 치주치료인 스케일링부터 신경치료까지 임상경험을 쌓게 됩니다.
치대에서 배우는 자세한 과목들은 아래 첨부한 1,2학년 시간표를 확인해보세요!
치대를 졸업하면서 치과의사 국가고시를 통과한다면 "치과의사" 면허를 받게 됩니다.
이때부터 대부분의 경우 임상치과의사로서 살아가게 됩니다.
졸업 후 크게 두 갈래의 방향이 있는데요,
첫번째는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거치며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받아 세부전공의 전문의가 되는 것
두번째는 일반치과의사로서 페이닥터, 혹은 개원을 하는 것 으로 나뉩니다.
참고로, 21년 기준으로 3만여명의 치과의사중 1만5천여명이 전문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전보다 수련을 받고 전문의가 되는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이지만 두가지 진로 모두 장단점이 존재하여 치대 학생들에게 고민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기초치의학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분야의 연구를 더 지속해나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야의 박사 과정을 밟게 되고, 졸업 후 교수나 연구원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에 재직중인 교수님은 100분이 넘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교수님의 연구 분야를 파악할 수 있어요!
여기를 클릭!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