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출처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chemedu.snu.ac.kr)
출처 : RUSSEL MEGASTUDY (Youtube)
화학교육과는 학과 이름에도 적혀 있듯이 화학과 교육을 함께 배우는 학과입니다. 그 중에서도 화학의 비중이 훨씬 크기에, 화학 공부에 흥미가 있고 화학 연구를 진행하고 싶은 학생들이 많이 입학을 합니다.
'사범 대학' 이라고 하면 중고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서울대학교의 화학교육과는 과학 교사라는 진로 외에도 매우 다양한 진로를 꿈꾸는 학생들이 있고 실제로 그 꿈을 실현한 다양한 졸업생들이 있답니다.
제 경우에도 단순히 과학교사만을 꿈꾸지는 않았어요. 어렸을 때부터 교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범 대학에 진학하겠다고 다짐하였지만,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거치며 다양한 화학 실험들을 하다 보니 화학 연구도 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어요. 그래서, 대학교를 다니며 제가 하고 싶은 연구를 우선적으로 해본 후, 연구에 꾸준히 흥미를 갖게 될 경우 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 생활을 이어나가기로 결심했답니다. 연구 활동에 흥미를 잃게 된다면, 제가 항상 꿈꿔왔던 교사의 진로를 그대로 이어나가기로 결정했어요.
이처럼 화학교육과는 단순히 과학 교사만을 진로로 선택해야 하는 과가 아니며,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나갈 수 있는 매력이 있다고 보면 좋을 것 같아요 :)
화학교육과 졸업생들은 과학 교사 외에도 다른 진로를 펼쳐나가는데요. 졸업생들은 어떠한 진로를 향해 나아갔는지 천천히 안내해드릴게요!
중등 화학교사 및 교육 전문직 : 24%
국공립/사립 중고등학교 교사나 교육청의 장학사, 연구사, 장학관, 연구관등의 진로로 나아가기도 한답니다.
화학관련 정부/기업 연구소 : 25%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KRISS(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정부 연구소나 공기업의 연구원이 되신 분들도 많으며,
LG화학, 삼성전자, 한화 등 사기업의 연구소에서 취업하시는 분들도 많답니다.
화학관련 직종 : 21%
연구원 외에도 화학 전공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직업이 있는데요! 변리사, 벤쳐사업가, 의약품 및 화학제품 제조업자, 화합물 검사원 등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대학교수 : 11%
서울대,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국교원대, 경인교대, 경북대, 공주대, 경상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교수로 계시는 졸업생들이 많답니다!
기타 : 19%
고위공직자, 의사, 약사, 감정평가사, 회계사, 유명학원강사, 신문기자, 아나운서 등 화학 전공을 이용한 직업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진로로 나아가는 분들도 있습니다!
화학교육과는 화학을 주 전공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자연과학대학의 화학과와 비슷한 교육과정을 갖고 있어요. 화학 공부에 기본이 되는 일반화학을 시작으로 화학에 대한 세부 전공을 배우고 시작합니다. 더불어, 교육에 대한 학습으로서 교직 수업도 같이 배우고 때문에 다양한 교직 수업을 듣게 됩니다.
유기화학
분석화학
물리화학
무기화학
나노화학
화학교육과에서는 가장 먼저 화학에 대한 전반적인 과목인, 일반화학 수업을 듣습니다. 일반화학 교과를 배우면서 실습 수업인 실험도 함께 진행을 하는데요! 거의 매 학기마다 실험 실습을 하면서 이론도 함께 배운답니다.
그 이후에는, 화학의 세부 분야인 유기화학, 분석화학, 물리화학, 무기화학, 나노화학 등을 순차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화학에 대한 세부 전공을 배우면서 자신에게 흥미가 가는 분야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갈 수 있어요!
사범대에 속한 모든 과들이 공통적으로 듣는 교직 수업을 이수하게 되며, 그 외에도 화학 분야에서 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시간도 갖게 됩니다.
교직이론
교육학개론 수업을 시작으로, 교육사회, 교육심리 등의 수업을 이수하게 되는데요! 보통 다른 학과에서는 주 전공으로 배우는 '사회학', '심리학' 등의 과목을 교육과 연관지어서 조금씩 배워 나갑니다. 저는 교직이론 수업을 들으며, '사회학' 등의 분야에 깊이 있는 지식을 얻기는 어렵지만, 전반적인 지식과 더불어 교직에 나갔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을 배운다고 느낍니다!
교직소양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교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실습하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현재까지 '교직실무, 특수교육학개론,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총 3가지 과목을 배우는데요! 학생의 입장이 아닌, 예비교사의 입장으로 이러한 지식을 배우는 경험이 색다르고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교육실습
흔히 '교생'이라고 부르는 학교현장실습과 더불어 교직 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하도록 교육봉사 실습을 진행합니다.
화학교육
사범대학의 모든 학과들이 배우는 교직 수업과 별개로, 화학 분야에서의 교육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고민하는 시간도 갖게 됩니다.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누리집을 참고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