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출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_GLmaV452rjKMO2E5D0jw)
4대 역학(고체역학, 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기계공학부에서는 2학년 때 고체역학, 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등의 4대 역학을 모두 배웁니다. 역학이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고등학교 때 배운 물리과목을 기반으로 확장됩니다. 뿐만아니라, 수학적인 공식들도 많이 사용되죠. 역학 분야에서의 공부 범위가 매우 넓은 덕분에 다른 학과의 공부를 할 때 시너지가 좋습니다.
고체역학 : 딱딱한 물체가(쉽게 변형되지 않는 물체) 힘을 받을 때 특정부위에서는 얼마의 압력을 받는지, 또는 총 면적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하여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소재들의(플라스틱, 철, 알루미늄)특성을 파악하고, 얼만큼의 힘을 받느냐의 따라 필요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열역학 : 기계에서 제일 중요한 분야입니다. 처음은 냉장고나 에어컨에 들어가는 열기관에 대하여 배웁니다. 어떻게 열을 흡수하는지, 열의 원리에 대하여 배우며 열역학 0법칙-2법칙을 배웁니다. 알려진 통계 값을 바탕으로 적절한 문제를 풀 수 있으면 열역학은 잘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동역학 : 토크에 대하여 아시나요?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 모멘트라고도하는 토크에 대하여 배웁니다. 2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지만, 심화과정에서는 3차원 좌표계도 사용합니다. 동역학을 배우고 나면, 물체의 마찰력이나, 회전력에 대한 이해도가 커질 것입니다.
유체역학 : 유체란 무엇일까요? 유체는 우리가 아는 액체와 기체와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힘을 가했을 때, 저항 없이 변형이 가능한 물체를 말합니다. 즉 액체와 기체를 포함하는 단어죠. 유체역학은 유체와 관련한 개념은 모두 배웁니다. 밀도가 다른 유체사이에서의 부력이나, 흐르는 유체에서 고체를 위치했을때 바뀌는 유체의 거동에대해서 배웁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의 모양을 설계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물리과목 내에서도 굉장히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2학년때 이 4과목을 배우며, 나에게 어떠한 과목이 맞는지 찾고, 3,4학년의 진로를 미리 설계할 수도 있겠습니다.
실습 과목
앞서 설명을 읽으면 알겠지만, 4대역학은 이론과목입니다. 그럼 우리는 언제 기계를 만지고 만들 수 있을까요??
기계공학부는 실습과 이론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좋은 학과입니다. 1학년부터 3학년까지 끝없는 팀프로젝트와 제작 과제가 주어지니까요.
1학년 : '창의공학설계'라불리는 과목은 기계공학부에서 필요한 인내심과 끈기를 기르게 해줍니다. 아무것도 배운것 없는 1학년에게 교수님들은 기술적인 지식보단, 팀원과의 화합을 도모할 수 있는 능력, 안되더라도 꾸준히 시도하는 끈기를 과목의 목표로 정합니다. 주제는 매년 바뀌지만, 크게, 아두이노와 모터로 조작이 가능하고,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2학년 : 4대역학을 배우느라 바빠, 실습 과목은 없습니다.
3학년 : '메카트로닉스'본격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펼칠 시간입니다. 아두이노에 대하여 배우며, 물리적인 제품과 소프트웨어 적인 코드를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템을 제작하는 과목입니다. '기계공학실험' 2학년때 배운 4대역학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는 과목입니다. 4과목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며 매주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기계제품설계' 기계작동에 필요한 원리에 대하여 배웁니다. 이론보다는 실습위주의 과목으로 시제품을 구매한 후 분해하여 배운 내용에대하여 어떠한 기술이 적용되었는지 분석하는 과목입니다. '재료와 제조공정' 귀여운 제품을 실제 제작해보는 과목입니다. 이 또한 주제가 매년 바뀌지만, 플라스틱 제품을 설계하고, 몰드를 제작한 후 100개의 제품을 찍어보는 과목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 기계공학부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실습 과목이 많은 만큼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실습을 통해 어떤 학과와 결합하면 좋을지, 기업에 취직하는 것이 좋을지 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를 하는 것이 좋을지 결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학사과정 이후의 진로
오른쪽 표처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를 대학원에서는 진행하게 됩니다. 지금은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들도 있겠지만, 모두 역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연구분야들입니다.
매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01동에서 기계공학부 연구실 openlap이 개최됩니다. 이는 우리학교 재학생뿐아니라, 외부 대학생도 방문하여 기계공학과의 연구실들을 둘러보고 질문할 수 있는 공개된 시간입니다. 본인의 흥미를 잘 모르겠다면, 이 행사에 방문하여 현재 랩실에 근무중인 대학원생 선배님들과 대화를 나눌 수도 있고, 연구실에 방문하여 어떠한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상시 열려있는 아래 게더타운에 들어가 간략한 소개를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