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출처: 연미디어스튜디오
출처: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출처: 동아사이언스
출처: 한국고등교육재단
안녕하세요! 전기‧정보공학부 17학번 문지우입니다.
현재 대학원에서 광전자소자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입시 당시에 제 진로 설계를 생각해 보면, 이미 <대학원-대기업> 루트를 정한 상태였습니다.
그것은 아무래도 현명한 조언을 주고 같이 고민해주는 사람이 주변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제 이야기도 고민이 많으신 후배님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전기‧정보공학부에서 배울 수 있는 분야는 매우 넓습니다.
좋게 보면, 습득할 수 있는 지식도 많고 선택의 폭도 넓은 편입니다.
조금 깊게 생각하면.. 매일 밤새 공부해도 모든 것을 완벽하게 이해할 보장은 없습니다.
물론, 서울대생이라면 이런 말을 도전으로 받아들이겠죠? ㅎㅎ
전기‧정보공학부는 크게 3가지 전공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어와 로봇, 통신, 전기에너지를 다루는 시스템 분야, 반도체와 전자물리를 다루는 디바이스 분야, 그리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VLSI를 다루는 컴퓨터 분야입니다.
개인적으로 디바이스 분야의 전자물리가 제일 재미있어서 고학년 때 전자기학, 양자역학, 반도체, 광학, 레이저를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인 정보가 궁금하시면 학부에 있는 연구 그룹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연구 그룹: 나노포토닉스 및 분자전자물리, 디스플레이 및 유연소자,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무선 및 전파공학, 비쥬얼 컴퓨팅,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플랫폼, 반도체 물리 및 소자, 생체전자정보, 스마트 임베디드 시스템, 스마트 자동차,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양자전자공학, 전기에너지 시스템, 전력 시스템 및 경제, 제어공학, 지능 및 로봇 공학, 집적회로, 차세대 컴퓨팅, 통신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회로 및 시스템, MEMS...
전기‧정보공학부 학생들은 동아리 활동도 열심히 합니다.
그중에서 중앙 동아리는 물론, 학부만의 축구 동아리, 밴드 동아리, 로봇 동아리 등이 있습니다.
로봇 동아리 회원들은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멋진 전시회를 진행하곤 합니다!
저도 학부 때 전공 공부에 집중하면서도 해보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았거든요.
그래서 수영 동아리, 원어 연극 동아리, 봉사 동아리, 국궁 동아리, 다도회까지.. 정말 다양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ㅎㅎ
졸업하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하실 텐데, 제 주변에는 국내/해외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대기업에 취업한 사람이 제일 많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학부를 졸업하자마자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을 시작했고 졸업 후에는 연구개발 직무로 대기업에 취업할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게임/VR 회사를 차리거나 변리사 자격증을 따거나 아예 의대로 전공을 바꾼 친구도 있습니다.
아무튼, 전공을 살리든 말든 전기‧정보공학부에서 보낸 시간은 졸업생 모두에게 무척 소중합니다.
여러분도 지금 당장 보이는 길 하나를 선택해서 자기만의 길로 만드시면 어느새 저희와 같은 입장이 되실 겁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니까요~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