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지구' & '환경'을 공부하는 학문.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공간까지 공부하는 학부
지구는 크게 [대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로 구분할 수 있고, 이들의 순환과 변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학문
화학, 생명과학, 물리를 기반으로 나노화학부터 지구환경 변화, 더 나아가 모델링을 통한 기후변화 예측까지. 넓고 다양한 분야
개론공부 with 전공도서 + 실험과 야외실습 + 코딩을 통한 모델링
전체연구분야:
극지환경, 기후과학, 미세먼지, 생태-생물자원, 위험기상, 지각-맨틀, 지구환경 데이터과학, 지질재해, 해양환경변화, 환경오염
지구환경과학부의 장점/ 힘든점
장점3. 이론공부를 넘어 데이터 관리, 모델링, 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코딩기법을 배울 수 있다.
힘든 점 2. 어떤 부분을 집중해서 전략적으로 공부할 지 학부생활 내내 고민해야 한다.
힘든 점 3. 실험 및 답사를 할 기초체력 필요. 그리고 공학계열과는 달리 실생활에 적용하거나 공학적인 실습을 하지는 않는다.
안진호 교수님 (빙하고기후 연구실) : 빙하/영구동토/현생대기 의 온실기체 거동 및 고기후복원 연구
김종성 교수님(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 박정우 교수님(해양암석지구화학연구실)
심민섭 교수님(지구미생물학연구실), 김상우 교수님(기후환경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