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환경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에서 부동산 금융 및 개발, 공유경제 등을 연구하시는 김경민 교수님의 이야기를 가져와 보았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sharingcitylab
환경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에서 포용 도시, 지역 개발, 토지이용, 커뮤니티 개발 등을 연구하시는 박인권 교수님의 이야기를 가져와 보았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https://parkik.snu.ac.kr/
Part.1 박동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님의 이야기
Part.2 송민 Geodikt 데이터 분석 연구원님의 이야기
A.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소속인 대학원생입니다.
먼저, 우리에게 도시와 지역은 일상 생활에 임하는 배경이자 삶의 터전입니다. 하지만 현재 도시와 지역 일대에는 다양한 문제점 (예를 들어 아침마다 찻길이 막혀서 10~20분씩 지각하는 상황, 도시 일대에 존재하는 집의 양보다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주택 가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 , 수도권 일대에 사람이 많이 몰려드는 바람에 비수도권이 쇠퇴하는 문제 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은 도시와 지역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전공입니다. 여기서 해결책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대규모 국토-지역-도시 관련 계획 및 개발 정책 수립 (예를 들어 서울시 00구 일대 대규모 주택 용지 개발 계획), 지역 간의 발전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에 대한 대규모 개발 정책 수립 (예를 들어 혁신도시 계획),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체계 구축 방법 논의, 도시 내부 기반 시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술 개발 및 도입 (예를 들어 정보통신, 도시 디자인 등) 등이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A. 현재 환경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소속 교수님 일곱 분의 중점 연구 분야를 중심적으로 말씀드리면
전상인 교수님: 도시 사회학, 계획 이론 등 (도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도시 내부 사람 간 상호작용 등에 대하여 사회학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는 교수님이십니다.)
김경민 교수님: 부동산 금융, 사회적 경제, 도시 컴퓨팅 등 (부동산의 가격이 어떻게 책정되는가, 어떠한 절차로 부동산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가, 도시 내부 경제 체계 구성 파악 및 개선 방향 도출, 도시 데이터의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 분석 등에 대하여 경제학-지리학-전산학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는 교수님이십니다.)
정현주 교수님: 여성과 공간의 관계, 이주 및 다문화, 도시 공간 구조 이론 등 (도시 내부의 여성은 어떠한 삶을 살아가는가, 도시 내부 이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도시 공간은 어떠한 구조로 만들어졌는가 등에 대하여 지리학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는 교수님이십니다.)
이영성 교수님: 도시 및 지역경제학, 통일과 도시계획 등 (도시 내부에서 일어나는 경제 활동에 대한 이론 도출 및 현장 분석, 대한민국과 북한이 통일이 될 시 공간계획을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가 등에 대하여 경제학 등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는 교수님입니다.)
박인권 교수님: 포용 도시, 토지이용 거버넌스, 커뮤니티 개발, 지역경제 개발 등 (도시 공간에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분석 및 해결책 도출, 지역 발전을 위해서 어떠한 경제-공동체 기반 개발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가 등에 대하여 경제학-사회학 등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시는 교수님이십니다.)
송재민 교수님: 지속 가능하고 스마트한 미래 도시, 회복탄력적 도시 계획, 국제 도시 개발 등 (도시 공간의 미래 예측, 도시 공간 발전을 위해 IT와 같은 스마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기후변화와 같은 위협 요인에 대한 도시의 대응 등을 공학-사회학 등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시는 교수님이십니다.)
Jige Quan 교수님: 에너지 기반 도시계획 및 설계, 인공지능과 도시 계획 등 (도시 공간의 에너지 활용 현황 및 미래 전망 예측, 인공 지능 기술의 도시 공간 적용, 관련 자료의 컴퓨터 기반 시각화 및 시뮬레이션 가동 등에 대하여 공학을 기반으로 도시를 연구하시는 교수님입니다.)
여기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소속 학생들은 1학기 동안 연구 분야 탐색 시기를 거친 후 2학기부터 각 지도 교수님의 중점 연구 분야 지도를 바 탕으로 본인의 '관심 분야' 연구를 열심히 진행하는 중에 있습니다.
A. 일단,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은 4년제 학부에서는 세 갈래로 편성되어 있으며 대학원에서 학부때 학습한 도시 관련 내용을 더 심화적으로 배운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도시공학 (이공계열 소속) -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계획및설계,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대학교 등
도시행정/도시사회/도시계획및부동산 (인문계열 소속)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도시사회학과,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등
교통공학/공간정보공학 (이공계열 소속) - 서울시립대학교, 명지대학교, 아주대학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