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작성된 학과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출처: 유튜브 채널: M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안녕하세요 ^^ 저는 2018년도에 입학한 재료공학부 고학번 학생입니다!!
저는 현재 취업 준비와 더불어 앞으로의 진로를 정하는데 저 역시 고민이 많은데 미래의 후배님들 또한 같은 생각을 하실거라 생각하여 간단히 말하보겠습니다.
저희 과는 한 학번에 약 100명으로 남녀 성비는 남자8: 여자 2정도가 됩니다. 학생수가 많은 대형과이다 보니 진로도 다양하게 선택합니다.
대학원: 졸업생의 40%학생이 대학원 진학을 합니다. 학부때 기계재료, 바이오재료, 전자재료, 구조재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과목을 배우는데 학부때의 교육의 목표는 넓은 분야를 다양하게 배우는 것입니다. 이로써 자신이 관심 흥미롭게 배운 분야를 선택하여 대학원때 더욱더 자세히 공부하고 탐구하기 위해 동 대학원에 많이 진학합니다.
취업: 나머지의 30~40%학생이 보통 취업을 합니다. 흔히, 생각하는 대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취직을 합니다. 두 회사는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로 학부에서 배우는 전공 중에 전자 재료 수업들과 연계되어 취업을 하는게 용이합니다. 불과, 10년전에만 하더라도 POSCO 제철이 인기가 많은 회사였는데 지금은 반도체 회사가 인기가 많습니다. 이런 점이 저희과의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대에 따라 인기 있는 산업의 양상이 바뀌는데 대부분의 산업에서 재료공학은 쓰이기 때문에 어느 산업이든지 저희 과는 쉽게 취직을 할 수 있습니다.
변리사: 변리사라는 직업은 전문직으로서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또는 상표에 관한 사항을 대리하고 그 사항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는 것을 업으로 하여 발명자를 대신하여 특허청에 특허를 신청해주는 사람입니다. 이공계가 선택할 수 있는 법률과 관련된 직업이면서 한 학번당 보통 5명정도의 학생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기술고시: 기술고시 시험은 5급 공무원을 뽑는 시험으로 문과의 행정고시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술고시에는 공업직에 일반기계, 전기, 화공이 있고, 농업직에는 일반농업, 시설직에는 일반토목등으로 재료공학부 학생은 화공직을 준비합니다. 아쉽게도, 저희과에 딱 맞는 직렬이 없어서 준비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한 학번당 2명정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로서 재료공학부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진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새는 특히나 친구들이 반도체 관련 수업을 많이 수강하여 반도체쪽 대학원에 가거나 취업을 하는게 유행인거 같습니다. 미래에는 또 무슨 산업이 인기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재료공학부에 있는 학문중에 하나라는 생각은 듭니다. 우리과에 올 후배님들은 전공 수업때 수업을 잘 들은 후에 본인이 관심있어 하는 학문을 선택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