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의 공유/동선의 분리/ 공간의 가변성
학교와 지역사회가 하나 되도록!
(지역과 공유하는 복합시설) - 지역과 공유할 수 있는 학교 복합시설로
도서관, 체육시설, 메이커 공간, 컴퓨터실 등 공유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지자체 재원으로 설치, 운영
학습환경 침해 방지, 안전사고 예방 및 이용자 편의를 위해 학생과 이용자 동선 분리
(효율적인 운영, 다양한 프로그램) - 운영은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학교 일과 중에는 학생이 이용하고, 이외에는 주민이 이용하는 등 시설의 효율성을 높일 운영 계획 적용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원을 학교 내에 도입하고 학생의 활동을 외부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접점 제공
핵심요소별 공간 조성 방향 및 특화 방안
1. 학교복합화(개축시 최대반영)
가. 학교시설 지역사회와 공유사용
나. 도서관, 체육시설(강당, 수영장, 테니스장), 주차장, 메이커 공간, 컴퓨터실(학생주민공동활용시설)(다양한 체육활동이 가능한 대강당)
다. 국고, 지자체 재원지원(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지자체 재원으로 설치 운영)
라. 복합시설 블록화: 이용자 편의 및 학생안전을 위한 출입이용동선 분리
마. 공동육아나눔터를 활용한 생활 SOC시설(학부모 대기공간 및 주민 활용공간), 학생주민공동활용시설
바. 지하 주차장 계획은 교직원과 지역주민이 공동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하고, 교사동과 복합화 시설 진입시 출입구는 분리하도록 계획
2. 학교복합화 운영 방향
가. 시설의 공유, 동선의 분리, 공간의 가변성(아동의 안전을 위해 동선을 명쾌하게 계획하고, 공용공간에서 내부공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계획)
나. 학교일과중에는 학생이 이용하고, 이외에는 주민이 이용하는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는 운영계획 적용
다. 마을공동체 지원: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학교 내에 도입하고 학생의 활동을 외부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접점제공
라. 학교부지 내 복합화 시설을 포함한 학교시설 계획으로써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 및 문화, 예술, 체육 등 역량강화를 증진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교육문화 공간을 조성
마. 운영은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은 다양하게(학생과 지역주민 보건위생 고려 공용공간 계획)
동탄중앙이음터
동탄중앙이음터 도서관 내부
서울 금호초등학교 수영장(학교+지역주민)(사진출처:중앙일보.22.7.26)
동탄중앙이음터 ICT실(메이커 교육)(자료출처: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