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고등학교
▣ 건축 년도: 1979년 ▣ 연면적: 3,568.00 ▣ 총사업비: 3,655 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 건물: 본관 교사 ▣ 사업 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24)
▣ 건축 년도: 1979년 ▣ 연면적: 3,568.00 ▣ 총사업비: 3,655 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 건물: 본관 교사 ▣ 사업 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24)
▣ 음성고등학교 공사전 사진
음성고등학교 본관 복도
음성고등학교 본관 중앙 현관 계단
본관-후관 사이
본관과 후관 연결통로
음성고등학교 본관 전경
음성고등학교 본관 측면
2022.12.8(목) 공사 진행 사진
2022.12.8(목) 공사 진행 사진
▣ 음성고등학교 사전기획 기획안(배치안)
특화수업-학습체험실/다목적 회의실+외부쉼터
홈베이스+학생자치(폴딩도어)
학생상담+학년교무실
고교학점에 맞는 홈베이스 기능, 전학년 공동 작업실 겸 학생(자치)회의실도 폴딩도어를 활용 개별 또는 대공간으로 음성고의 전체 커뮤니티 존을 형성하는 공간
(출처:The-K 매거진-공간의 재구성)
(출처:뉴스티엔티-대전교육청)
(출처:집데코-집데코안심인테리어)
▣ 음성고등학교 설계도면
음성고등학교 1층 평면도
음성고등학교 2층 평면도
음성고등학교 3층 평면도
음성고등학교 본관 지붕층 평면도
▣ 그린스마트스쿨 핵심요소 반영
▣ 공간혁신(특화)
커뮤니티(홈베이스, AI, 영상미디어실): 학생 자치회실과 공강대기 시간 및 학우간 수업에 지친 일상에서의 대화로 쉬는 공간, 전교생의 커뮤니티로 확장 (사전기획)
온라인 학습실(소인수교실): 공동교육과정 및 특정 과목 보강에 필요한 교실 조성 (사전기획)
상담실 및 회의실(학생부 교무실): 학생 진로, 교내 생활, 감정적 문제점 등 한 분야에 국한된 목적실 보다는 상담실 및 위원회의 회의 공간 (사전기획)
본관 홍베이스 조성 (반영)
▣ 그린
생태쉼터(생태 정원): 본관동, 후관동 사이 수돗가 공간을 도서관 진입로 연결부분까지 생태환경 쉼터 공간, 학년간의 커뮤니티 및 쉼터 공간 환경 조성 (사전기획)
태양광 설비(에너지 절감): 태양광을 활용한 전기에너지 일부 생산으로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환경 조성, 본관동 옥상 지붕, 농구장 그늘막 스탠드를 태양광발전설비로 조성 (사전기획)
야외 휴식공간(야외 갤러리, 외부 야외데크): 학생 및 교사가 전출입이 용이한 동선 구성으로 커뮤니티 공간, 야외 공간을 쉼과 기분전환의 공간으로 조성 (사전기획)
외벽단열, LED 고효율 자재 (반영)
▣ 스마트
스마트 커뮤니티(홈베이스, 디지털 액자, 연결통로): 스마트 디지털 액자를 설치,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접목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다양한 간접 경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 공간 조성 (사전기획)
홈베이스 - 개인 학습 기기(스마트기기)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 (반영)
▣ 학교시설복합화
도서관: 리모델링을 통한 현대화, 지역주민과 도서관의 정보검색 및 도서대여 기능 확대 (사전기획)
도서관 개방 (반영)
▣ 안전
미반영
▣ 음성고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완료 후 사진
▣ 음성고등학교 모듈러 교실
모듈러 교사 사진
모듈러 교사 출입구
모듈러 교사 출입구 비가림지붕
▣ 음성고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홍보영상
▣ 음성고등학교 사업 후 사진
홈베이스 내 계단형 좌석 배치, 멀티미디어 장비 설치 등을 통해 수업시간에도 시청각 자료를 다방면으로 활용한 수업 진행 가능
융합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서 학생 활동 학습 등 다양한 교육과정 설계가 가능함
홈베이스 개인 학습공간
홈베이스 모둠학습공간
▣공사완료후 교육활동 공간 활용 사진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세계 주요 이슈를 탐구하고 발표함으로서 자신의 미래상과 역할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 마련
대한민국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탐구력과 발표능력을 갖춘 미래세대 리더십 역량 함양
학생들이 제2외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역사, 전통을 이해하며 세계시민의식 함양
경쟁과 참여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높이고, 평소에 배운 제2외국어 지식을 실전에 적용 기회 제공
홈베이스 내 계단형 좌석 배치, 멀티미디어 장비 설치 등을 통해 수업시간에도 시청각 자료를 다방면으로 활용한 수업 진행 가능
융합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서 학생 활동 학습 등 다양한 교육과정 설계가 가능함
학생들의 휴식과 소통을 위한 쉼터 공간
복도 포켓공간을 활용한 학생 휴게공간 활용
MBL 활용 과학탐구 실험
스마트티비 활용 과학탐구
SW·AI 중심의 창의융합형 교실 구축
전자칠판을 활용해 교과과정 중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