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벌초등학교
▣ 건축 년도: 1980년 ▣ 연면적: 1,613.70 ▣ 총사업비: 3,686(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건물: 별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 (모듈러-6)
▣ 건축 년도: 1980년 ▣ 연면적: 1,613.70 ▣ 총사업비: 3,686(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건물: 별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 (모듈러-6)
▣ 한벌초등학교 공사 전
건물 배치현황 및 대상동 건물(노란색)
한벌초 식당 2층 구름다리 운동장 연결 : 본관에서 급경사로를 내려와 식당으로 이동하는 불편함 있음
공사전
▣ 한벌초등학교 사전기획안(배치안)
후관 1층
후관 2층
후관3층
후관4층
:::금차 사업의 공간 변화
리모델링을 통한 재구조화를 진행, 대상동이 한정, 공간자체의 큰 변화가 어려움, 교실자체의 기능강화, 외부와 연계되는 공간의 극대화, 공용공간의 다기능성을 통해 창의 공간 창출
실내 공간을 휴게공간, 커먼스+러닝허브 등의 다목적 창의학습 공간으로 변모, 조닝이 되지 않는 성격별 실들을 재정비, 실들의 병합과 공동사용을 통한 다목적화를 꾀함
▣ 한벌초등학교 설계도면
기존 학교 공간을 활용한 공간의 재구성, 연관 실들의 그룹화 (사전기획)
휴게 공간 외 무대, 자율학습 공간 활용, 가변화를 통한 공간 고려 (사전기획)
모듈 변화를 통한 공간 획득, 다양한 리듬과 감성을 위한 가구와 연계 (사전기획)
일반교실(독서공간), 한국어 학급 다목적 이야기방 및 책놀이터, 계단참 놀이공간(3~4층) (반영)
옥상녹화, 구석 정원 등 활용도가 없는 또는 위험지역의 정원화, 옥상 텃밭, 학급 정원, 밧줄 놀이터, 내부 유희공간은 야외와 연계된 위치에 우선, 접이식 창호를 통한 연속적 공간 획득 (사전기획)
친환경 자재 사용, 고기능 단열재 창호, 공기순환기, LED 등, 노후냉난방기 교체, 벽면녹화(식당) (반영)
원격 학습 및 강의 녹화, 스마트화와 더불어 공간을 극효율화 시키는 수납과 다목적 가구 배치, 모듈 일부 변형을 통한 공간의 스마트 기기 배치 및 VR 등 스마트기기 활용 (사전기획)
학생 수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초고속 무선망 구축, 전자칠판 (반영)
학교 친환경 공간 조성 및 순환 동선을 통한 지역 소통 공간 창출(공원화를 통한 지역소통), 가변형 공간 및 다목적 기자재를 통한 여러 활동및 지역주민 활용 사용을 극대화 (사전기획)
(미반영)
내진 연계 (반영)
별관 교사 전경(준공 후)
▣ 한벌초등학교 모듈러 교실
▣ 공사완료후 교육활동 공간 활용
1, 2학년 슬생, 즐생시간 연계 다양한 놀이교육 실시
학생의 소질과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전통놀이, 국악교실 운영
상호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상호존중 교육 활동
학교 규칙 및 학급규칙 등 상호 존중하는 체험교육활동
전래동화 연극놀이 교육활동 장면,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연계 교육활동
다문화가정 한국어학급 운영, 방과후 이중언어교실 운영
한국어학급과 다목적공간을 활용한 중점교육활동으로 공간 활용
오전에는 한국어학급, 오후에는 교직원 연수장소 활용(교직원 생명존중)
다양한 수업과 놀이, 휴식이 가능한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공간으로 구성
교육공동체 협의회 모습,새학년도 교육과정 수립 3주체 교육공동체 협의 장소 활용
수업중 동영상 시청을 통해 실제사례 중심 교육 실시. 교실에서 모둠 활동을 통한 문제를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수준에 진도에 따라 콘텐츠를 조정하며 언제 어디서든 학습할 수 있는 인더랙티브 자료를 제공하였다.
전자칠판을 활용한 한국어교실, 전자칠판을 활용한 교원연수 및 교육공동체 협의회 실시
전자칠판을 활용한 한국어교실
전자칠판을 활용한 교원연수 및 교육공동체 협의회 실시
교원대 교육기부단, 교원대 학생 연계 한글 읽기 프로그램
한국문화 체험활동으로 학교생활 적응력 강화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 한국 사회 및 학교생활 긍정적인 인식 확대
전자칠판 교실환경 구축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