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여자고등학교
▣ 건축 년도: 1978년 ▣ 연면적: 1,925.00 ▣ 총사업비: 2,000 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 건물: 별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0)
▣ 건축 년도: 1978년 ▣ 연면적: 1,925.00 ▣ 총사업비: 2,000 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 건물: 별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0)
▣ 충북여자고등학교 공사 전 사진
가사실습실
글로벌실(4층)
미술실
대상동 건물 외벽
역지사지실
음악실
▣ 충북여자고등학교 사전기획 기획안(배치안)
스마트 음악실 가변적 가구요소
스마트 음악실 벽체 방음마감
스마트 미술실
수학교과액션러닝_가변적 디자인 예시
Active Learning Classroom
▣ 충북여자고등학교 설계도면
▣ 그린스마트 스쿨 핵심요소 반영
▣ 공간혁신(특화)
액션러닝공간: 자율적 활동, 도전정신, 탐구력 기를 수 있는 공간 (사전기획)
융복합 가변형교실(다붓다붓): 다목적 가사실습 교육활동 가능 공간 (사전기획)
스마트 미술(음악)실: 가변적인 가구 사용과 소그룹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한 공간 (사전기획)
학생회실: 교직원+학생과 협의를 통해 리더십을 키우는 공간 (사전기획)
가사실습실 겸 학생 휴게 공간, 계단 및 복도 휴게 공간, 수납공간 (반영)
▣ 그린
에너지 절약(열손실방지) 창호 (사전기획)
외벽마감재 교체로 인한 누수방지 및 단열 (사전기획)
채광 및 환기 확보(다붓다붓-다목적 가사실습실) (사전기획)
본관 태양광 패널 이용한 수익금 일부 장학금 지원 (사전기획)
야외휴식공간(학년별로 휴식이 가능한 정자, 경사진 대지를 이용한 야외광장) 조성 (사전기획)
친환경자재 사용, 노후 냉난방기 교체, 단열 외벽 및 창호 (반영)
▣ 스마트
뉴스페이스 혁신공간과 연계된 시설 인터넷 네트워크(스마트 미술실, 스마트 음악실, 스마트 컴퓨터실, 액션러닝공간, IT기기를 활용한 독서모임의 도서실 등 (사전기획)
DID 모니터 (반영)
▣ 학교시설복합화
뉴스페이스 혁신공간과 연계된 자유로운 독서공간 도서실 개방, 지역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다붓다붓-다목적 가사실습실), 주말, 방학에는 학년별 정자를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 경사진 대지를 야외 광장으로 개방 (사전기획)
미반영
▣ 충북여자고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완료 후 사진
2번 계단 4층 출입구
2번 옥상 계단 파라펫
2번 옥상 계단 파라펫
3번 계단 4층
3층 복도
4층 복도
가사 실습실 앞 복도
가사 실습실 앞 복도
가사 실습실 앞 복도
가사 실습실 앞 복도
가사 실습실 옆 창고
가사 실습실
가사 실습실
가사 실습실
가사 실습실
미술실
미술실
미술실
미술실
배면 출입구
별관 배면 출입구
별관 배면
별관 배면
별관 배면
별관 우측면
별관 정면 우측 하부
별관 정면 출입구 외부
별관 정면
별관 좌측 배면 하부
별관 좌측면
우측 옥상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융합수업실
음악실 외부
음악실
음악실
음악실
음악실
음악실
음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정독실
좌측 옥상
중앙계단 2-3층
▣ 사업완료 후 교육활동 활용
사용하지 않음 ( 0 개)
교육과정 연계 독서·인문소양교육을 위한 연계 도서구입, 학교 맞춤형 독서교육 운영, 자유로운 토론 환경 조성
∙ 인문고전 활용 독서활동을 통해 온전한 독서의 즐거움과 인문학적 소양 및 문해력 향상을 위한 지원
평소에 만나기 힘든 작가를 직접 만나 소통 시간을 가지고 독서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향상시키고 작가와의 만남과 소통을 통해 학생들에게 책 읽는 즐거움 제공
도서관 DAY’행사와 ‘무한고전’행사 부스를 함께 운영하여 ‘독서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독서 친화적 분위기 조성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 및 정서 순화에 기여함은 물론 독서 습관을 정착시켜 평생 교육의 기반을 구축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한 개인ㆍ국가적 노력 실천과 지속 가능한 목표를 통해 현시대의
문제 인식 및 진로 탐색
학급ㆍ학년 특색활동을 SDGs 및 교과, 동아리, 수업량 유연화와 연계하여 탐구
다양한 진로 분야 탐구 과정에서 자신과 지역, 국가, 세계 문제에 대한 이해
꿈별실 공간 확보를 통해 야간 및 주말, 시험 기간 등 다양한 시간대에 자기주도적 학습 공간으로 활용
책다락 공간을 활용하여 교과 연계 수업 활동 및 토론 및 발표 공간과 독서 활동, 학생 동아리 활동 등으로 활용
챗GPT 활용 수업 방법 연수
데이터랩 동아리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