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중학교
▣ 건축년도: 1974년 ▣ 연면적: 1,859.50 ▣ 총사업비: 2,332 백만원
▣ 사업년도: 2021년 ▣ 대상건물: 본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11)
▣ 건축년도: 1974년 ▣ 연면적: 1,859.50 ▣ 총사업비: 2,332 백만원
▣ 사업년도: 2021년 ▣ 대상건물: 본관 교사 ▣ 사업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11)
▣ 대소중학교 공사 전 사진
대소중학교 본관동 전경
대소중학교 본, 후관 연결 통로
대소중학교 본관 중앙현관
대소중학교 본관동 계단참
대소중학교 본관동 복도
대소중학교 본, 후관 사이
대소중학교 본관 후관 사이 공간
1층 학생 휴게공간 마련+ad학생자치회실 2층 본교무실+탈의실+각교실 다문화 이해환경 조성
▣ 대소중학교 사전기획 기획안(배치안)
다문화 교육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실별 교실벽을 이용한 이미지 연출과 학생쉼터와 야외공간으로의 연계 등을 특화, 학생이 학업을 하면서쉴 수 있는 공간과 학생간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획함
3학년 중심의 학생쉼터에서 외부데크 공간+외부 생태쉼터 공간과 연계 내부와 외부의 영역확장으로 후면의 생태쉼터와 자연스러운 연계로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재구획화
(학교의견) 현재 2층으로 공간이 협소하고, 향후 5년이내 주변 인구 증가로 인한 학급수 변동 가능성 있음.
몇 학년이 사용할 것인지와 학년교무실 학생휴게공간에 학생자치회실을 같이 마련하여 학생의 휴게공간과 자치활동 공간을 인접한 공간에 배치
▣ 대소중학교 설계도면
대소중학교 본관 1층 평면도
대소중학교 본관2층 평면도
대소중학교 옥탑층 평면도
▣ 그린스마트스쿨 핵심요소 반영
▣ 공간혁신(특화)
복합기능 교실을 설치하여 다양한 수업에 활용, 교실 간 폴딩도어를 설치하여 가변성있는 교실 조성, 홈베이스 공간 조성(사전기획)
학생쉼터: 학우간의 수다방 겸 수업에 지친 일상에서 대화를 통한 쉼 공간 조성(사전기획)
다문화교육장: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적 특성으로 위화감 해소 및 학생 유대감 강화(사전기획)
열린공간(학생쉼터 야외 쉼터 연계): 학생 쉼터를 정원과 연계하여 공동 커뮤니터로 활용, 건물안과 건물 밖의 소통을 원활히 하여 정서 함양, 유연한 사고의 쉼터로 조성(사전기획)
학생쉼터 (반영)
▣ 그린
생태정원: 본관, 후관 사이, 본관과 운동장 사이의 정원을 정돈, 학교 구성원이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 조성, 습기 조정 및 공기정화를 통한 쾌적한 환경 조성(사전기획)
에너지 절감을 위한 태양광설비: 본관 옥상 및 주차장 지붕을 태양광발전설비로 조성(사전기획)
야외 정원: 쉼터에서 외부와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접근성이 좋은 정원(사전기획)
LED, 고효율 자재 사용 (반영)
▣ 스마트
알림터: 학교일정, 공지사항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방송제작, 원격수업까지 진행할 수 있는 다기능을 수행하는 공간 조성 (사전기획)
스마트 커뮤니티 공간: 학생쉼터에 스마트 멀티기기를 설치하여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공간조성(사전기획)
▣ 학교시설복합화
지역주민과 도서관 개방, 운동장(씨름장) 개방을 통한 지역주민과 공유(사전기획)
학생 휴게실, 야외쉼터, 개방형 복도 (반영)
▣ 안전
내진 보강 및 석면해체 연계 (반영)
▣ 대소중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완료 후 사진
▣ 대소중학교 모듈러 교실
▣ 대소중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홍보영상
사업후 사진
사업후 전경사진
방송부 보이는 라디오 활동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새학년 교육활동에 관하여 고려해보는 시간을 통한 학생 자치 능력 향상
학생 주도적인 교육과정 실행을 통한 학생주도적인 학교문화 조성
교육과정, 학교문화, 생활 등 학교 전반적인 부분에 관하여 논의, 토론, 발표하며 자주적인 학교생활 능력을 향상하고, 통합적인 사고력을 증진
내부와 폴딩도어로 연결된 휴식 공간
텃밭만들기 그린교육
화단꽃길 조성
반려식물키우기 그린환경교육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새학년 교육활동에 관하여 고려해보는 시간을 통한 학생 자치 능력 향상
학생 주도적인 교육과정 실행을 통한 학생주도적인 학교문화 조성
교육과정, 학교문화, 생활 등 학교 전반적인 부분에 관하여 논의, 토론, 발표하며 자주적인 학교생활 능력을 향상하고, 통합적인 사고력을 증진
본관 1층 학생 쉼터 운영
근력강화시스템, 온라인스튜디오, 쉼터 의자, 책상 등 비치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한 공간 마련
학생 자유로운 토론 및 협의회 운영 가능
독서교육, 문화교육 등 다양한 교육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성을 통한 학생 학습의 질 향상
사업전
사업후 학생 휴게공간 및 학생회 공용 부스
본관 1층 본교무실, 휴게실 공간을 학생쉼터 공간, 학생안전부 교무실로 리모델링
본관 2층 본교무실 조성 및 교실, 탈의실 재배치
학생 쉼터 및 생태교육, 디지털 교육, 자치활동 등 다양한 교육활동 공간으로 변화
본관 1층 학생 쉼터 운영
근력강화시스템, 온라인스튜디오, 쉼터 의자, 책상 등 비치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한 공간 마련
학생쉼터 옆 학생 회의 공간 마련
학생 자유로운 토론 및 협의회 운영 가능
환경중점생태교육
반려식물 키우기 활동
급식잔반줄이기 학생회 캠페인 활동
마을 환경 지도 만들기 및 학교 인근 마을 정화 활동
새로운 공간 그린마일리지 장터 운영
생태텃밭운영-장사관 뒤편 학생 생태체험장을 구성하여 스스로 생명을 길러보는 기회 마련
본관 앞 화단 가꾸기 활동을 통한 생태 체험 실시
학생쉼터 앞 데크 공간을 활용한 반려식물 키우기 활동 등 다양한 생태 체험 교육 실시
학생 쉼터 앞 데크
에듀테크 활용 수업
1인 1태블릿 활용, 앱을 활용한 연표 만들기 수업 등
디지털 방송장비 활용을 통한 학생주도적인 방송프로그램 진행
보이는 라디오를 통한 학생 에듀테크 능력 향상
소규모, 중규모 학생활동 공간 마련
학생쉼터 스마트TV 설치 및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