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창초등학교
▣ 건축 년도: 1980년 ▣ 연면적: 1,723.94 ▣ 총사업비: 3,418(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건물: 후관교사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 (모듈러 -11.5)
▣ 건축 년도: 1980년 ▣ 연면적: 1,723.94 ▣ 총사업비: 3,418(백만원)
▣ 사업 년도: 2021년 ▣ 대상건물: 후관교사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 (모듈러 -11.5)
▣ 오창초등학교 공사 전 사진
오창초등학교 본 후관 사이(공사 전)
2022년 2월 공사 직전 모습
▣ 오창초등학교 사전기획 기획안(배치안)
후관1층 유희실 -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즐겁게 놀며 장난할 수 있게 편안한 원색 사용 벽면 오르고 내리는 공간변화 높낮이 변화를 주어 다양한 눈높이의다름 교육을 할 수 있는 놀이터 겸 체험실로 재구획화
후관2층 열린도서관-열린도서관(키즈 카페)은 놀이/쉼터/ 열린독서공간/학생자치의 기능을 통합, 오랫동안 머물러도 지루하지 않고 늘 가고 싶어하는 친근한 공간으로 개방감 있는 대공간으로 구성 재구획
후관3층 음악실+교육공동체실 - 음악실은 학생들의 다양한 음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악기와 작은 가구를 들여 실을 구성하고, 학부모실은 상담공간, 대기공간 기능과 학부모들간의 커뮤니티가 되도록 재구획화하여 구성
▣ 오창초등학교 설계도면
2층 평면도(변경후)
3층 평면도(변경후)
▣ 그린스마트 스쿨 핵심요소 반영
▣ 공간혁신 (특화)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확장형 교실 조성, 빈교실 활용 체험 놀이공간으로 조성, 휴식 및 소통 공간 조성, 놀이 공간과 공부 공간의 분리, 폴딩도어를 설치하여 유연성 확보 (사전기획)
1층 유치원실: 유아들이 편안히 수업을 할 수 있고 이동 할 수 있는 공간과 기타 필요 시설을 인접배치, 자연스러운 연계로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재구획화 (반영)
1층 유희실 교실: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즐겁게 놀며 장난할 수 있게 편안한 원색 사용, 벽면 오르고 내리는 공간 변화, 높낮이 변화를 주어 다양한 눈높이의 다름 교육을 할 수 있는 놀이터 겸 체험실로 재구획화 (반영)
2층 열린도서관: 열린도서관(키즈카페)은 놀이/ 쉼터/ 열린독서공간/ 학생자치의 기능을 통합하여 오랫동안 머물러도 지루하지 않고 늘 가고 싶어 하는 친근한 공간으로 개방감 있는 대공간으로 구성 재구획 함 (반영)
▣ 그린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태교육(학교텃밭) 운영, 야외 공간에 산책로를 조성하여 활용 (사전기획)
친환경자재 사용, 고기능 단열재 창호 사용, 공기순환기, LED등, 생태학습장, 산책로 (반영)
▣ 스마트
교실 스마트 환경 구축을 위한 전자칠판, 1인1디바이스 보급에 따른 학교 전 구역의 초고속무선망 구축 (반영)
▣ 복합화
야외 공간에 무대를 설치하여 활용, 실내체육관, 도서관 개방하여 활용, 주차 공간 공유 (사전기획)
미반영
▣ 안전
내진연계 (반영)
▣ 오창초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완료 후 사진
1,2학년 교실(위)
2층 열린 도서관(위)
2층 열린 도서관(위, 아래)
외부 생태학습장/산책로(아래)
▣ 오창초등학교 모듈러 교실(아래) 저학년교실+유치원+위탁급식실
▣ 오창초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홍보영상
▣ 오창초등학교 공사 후 교육활동 활용
후관 공사 완료 후 전경사진
[배움 중심의 수업실현]
주제중심 교육과정 및 프로젝트 학습을 운영함.
체험, 표현, 협력 중심의 수업을 운영을 위하여 리모델링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학생 중심, 배움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함.
학생 다모임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치회의실을 활용한 학생회 수시 회의실시 및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학생회 전용 게시판 및 학교 방송들을 통한 활동 내용 정기적 공유 및 생활협약 및 공동 양속 실천 점검 및 문제 해결
[학교 자치 역량 강화를 위한 학생의 자치 역량 키우기]
학생회 활동을 위한 예산을 확대하여 학생회 중심의 학교 행사 운영 계획 및 실시함.
학생회의 이름을 2022년 네이클로버 학생회, 2023년 별빛 학생회로 명명하고 별빛 마켓(아나바다 나눔장터), 학생 장기자랑주간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학생회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함.
후관 2층에 다락(多樂)방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놀이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램펄린, 암벽등반, 그물망 등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함.
열린도서관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도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
후관 1층 역사관을 학생들이 실내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다목적공간을 변경하여 실내 체육활동(요가, 민속놀이 , 움직임 포착 빔프로젝터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여 다양한 수업에 활용함.
1층 역사관을 실내체육다목적실로 변경하여 아이들의 몸활동 공간 마련
2층 일반 교실을을 다락방(복합놀이공간)으로
3층 공간에 교육공동체실을 구성하여 학교수업과 상관없이 학부모 회의, 학부모 연수, 학부모 모임에 활용함으로 학부모회를 활성화 함.
벽면은 열린 도서관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읽을 수 있는 책과 다양한 놀이감(보드게임 등)을 구비하여 여유시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
벽면에 학생들이 숨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휴식을 취하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활용함.
2022학년도에는 '생태'라는 큰 주제를 가지고 각 학년이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면서 생명 존중이나 환경의 중요성 등을 학년 수준에 맞게 운영하고 다음 학년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결국 배움이 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배움과 삶이 하나가 되는 행복한 배움이 일어나도록 함.
오창초 곳곳에는 메밀, 조롱박, 오이, 상추, 수박, 참외, 옥수수 등의 다양한 작물이 있어 학교가 마치 작은 농장과 같다. 교사와 학생은 함께 교과서를 살펴보며 일 년 동안 이루어질 생태교육를 미리 준비한다.
2학년 통합교과와 연결하여 아이들이 열매 관찰하기를 책이 아닌 자신이 키운 열매로 직접 관찰하고 먹어보는 활동을 실시함.
겨울동안 보리와 밀의 씨를 뿌려 추수하고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을 과학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함
후관 식생활관 앞 생태체험장에 수박을 심어 자라나는 과정을 탐구하고 수박을 수확하여 잘라보며 같이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