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초등학교
▣ 건축 년도: 1977년 ▣ 연면적: 2,976.42 ▣ 총사업비: 5,264 백만원
▣ 사업 년도: 2022년 ▣ 대상 건물: 후관 교사 ▣ 사업 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0)
▣ 건축 년도: 1977년 ▣ 연면적: 2,976.42 ▣ 총사업비: 5,264 백만원
▣ 사업 년도: 2022년 ▣ 대상 건물: 후관 교사 ▣ 사업 유형: 리모델링 ▣ 사업 현황: 완료(준공)-모듈러(0)
▣ 서원초등학교 공사 전 사진
1층 복도
1층 중앙계단
2층 예절실
과학실 / 화장실
다목적실 출입구
다목적실
본관과 후관을 연결하는 연결복도
본관과 후관 사이
연결복도 내부
후관 출입구
▣ 서원초등학교 사전기획 기획안(배치안)
후관 1층 평면 배치도
공간의 축소와 확장이 가능한 유연한 공간 형성, 개별수업과 협력수업/ 각 교실의 독립적인 수업을 보장할 수 있는 가변벽체, 스마트츨핀, 가변형 벽체, 독립 냉난방기 등 설비지원, 교실과 다른 놀이공간이자 교실의 공간 확장을 위한 공간 배치
이동을 위한 단순 공간에서 휴식과 놀이, 자율독서 가능한 복도로 계획, 2층 열린도서관과 동선, 기능상 연계, 자유로운 독서와 휴식 공간, 친환경 바닥재와 벽재료 사용 계단과 복도의 독특한 공간 체험, 본관과 후관을 오가는
이동 통로로서의 연결복도 단순 기능을 확장, 도석관 이외 공간 활용과 더불어 복도 등 일상적인 공간을 탈피한 재미있는 공간 체험, 자율독서와 휴식, 휴게 연결복도 벽체를 활용한 간이 전시활동 등 다양한 문화활동 체험
열린 도서관은 자유 독서 공간과 연계되어 체험, 독서, 세미나 등의 학습활동 기대, 벽체 스크린, 빔 프로젝트, 타블렛 충전 스테이션, 컴퓨터, 전자 게시판 등 장비 구입, 소규모 다목적실(무한상상실)은 음향장비, 간이무대, 벽체스크린 등으로 동아리 활동 및 간이 공연 지원
독서, 스마트 수업, 놀이학습, 소그룹 토론을 위한 열린 도서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정보검색 및 습득, 자유 독서와 북카페의 연결복도 이동 후 독서와 휴게 놀이공간 활용, 기존 기둥은 그린타워 및 충돌방지 패드와 앉을 수 있는 바닥 쿠션 설치, 무한상상실과 공간확장과 분할로 다양한 활동 지원
▣서원초등학교 설계도면
▣ 그린스마트 스쿨 핵심요소 반영
▣ 공간혁신(특화)
놀이교실 복도 벽면 개방, 교실내 수납공간 설치, 실내 놀이터 공간 조성 (사전기획)
열린 도서관, 소규모다목적실(무한상상실): 독서, 스마트 수업, 놀이학습, 소그룹 토론을 위한 열린 도서관 조성 (사전기획)
2-3층 연결복도: 자율독서, 놀이, 휴식, 생태환경 체험 공간으로 조성 (사전기획)
교실과 교실 사이 공유공간 조성 (사전기획)
▣ 그린
태양광 패널 설치(학교 옥상) (사전기획)
LED 전등, 전기효율 1등급 전자기기 구비, 이끼 식물 관리 체험 공간 조성(사전기획)
▣ 스마트
VR 전용실 설치, AI, VR 용품 구비, 빔프로젝트 설치 (사전기획)
▣ 학교시설복합화
주민들과 같이 운동할 수 있는 운동장 및 다목적실 개방 (사전기획)
▣ 안전
내진 연계 (사전기획)
▣ 서원초등학교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완료 후 사진
본후관 연결복도
교실 복도
화장실
도서관
도서관
다목적실
다목적실
통합지원실
도서관
도서관
다목적실
WEE 클래스
과학실
도서관
도서관
다목적실
WEE 클래스
과학준비실
▣ 서원초등학교 공사 완료 후 교육활동 활용
학생 개개인이 발표 준비, 실행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학습 내용을 자신의 개성과 연계하여 표현하는 창의성을 기름
교과와 연계한 학습발표회를 통해 교과 간 연계 및 통합적 사고력을 기르며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포용성을 함양함
학년의 특성에 맞게 몸활동 놀이에 참여하며 정서를 순화하고 학습 동기 향상
다양한 협력 놀이를 통해 함께 어울리며 배우며 포용력을 키우는 동체 역량 함양 및 긍정적 학급 분위기 조성
교과 연계 작가님과의 만남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고, 함께 책을 읽으며 몰입도와 집중도가 향상됨에 따라 책 읽기에 대한 내적 동기를 유발
이야기의 결말을 다양하게 생각해 보는 등 풍부한 읽기 방법을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학생의 삶과 연계하여 문화 소양 능력 함양
다양한 교내·외 행사를 통해 문화를 향유하며 문화예술을 즐기는 기쁨을 체험하고 평생 독자로서의 발판 마련
문화예술 체험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협력적 소통 역량 등 미래 핵심 역량 함양의 장 마련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예술 교육 생태계 조성 및 창의적 표현 기회 제공
서원책숲 및 책나래관, 과학실 등 특별실 활용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여 학습자 주도적 참여형 학습 진행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학습 내용 실생활 적용을 위하여 다양한 특별 공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하고 학습의 내용을 삶과 연계하여 깊이 있는 학습 실행
재능키움실
넓은 모둠형 테이블, 개수대를 이용하여 만들기, 조작활동 등 교육 실습 활동 및 메이커 교육 등의 운영에 편리함 제공
미디어실
넓은 공간 및 무대 장식, 악기 등을 활용하여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다양한 창의적 표현 활동, 체험 수업 진행
서원책숲 + 책나래실
공간 통합을 통해 복도까지 활용되는 서고에 장서를 보관할 수 있고, 오픈형 구조로 복도에도 이어지는 학생 휴게 공간으로 책과 함께 휴식을 할 수 있고, 토의 토론형 참여수업, 도서관 활용 교육, 교과 연계 활동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도서관 본연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목적으로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
강연, 소규모 발표 등 다양한 교육 및 문화 행사를 유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지역 연계에 기여
과학실
모둠형 책상 배치, 안전한 실험을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실험도구 정돈으로 조작형,실험형, 체험형 활동 등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으로 다양하게 활용
튼튼체력실
벽면 활용 체력단련 및 몸활동 흥미 유발 가능한 어린이용 클라이밍존 구성
바닥 전체 안전한 활동을 위한 공간 마련으로 창의적인 몸 표현 활동, 협력적 단체 활동으로 활용
책나래실
서원책숲과 책나래실은 연결 및 단독 사용 가능 공간으로 독서 및 행사, 휴게 공간 등 다양한 활동에 활용
학생 교육 및 학부모 연수, 마을 연계 교육 등 지역 연계 활동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하여 소통 공간으로 운영
미디어실
무대형 공간 조성해 발표, 꿈끼 발표 연습 및 실행, 학생 모임 등 다양하게 활용
넓은 공간 및 프로젝터 스크린 설치로 학생자치활동 및 자율활동을 통한 소통실로 이용
튼튼체력실
벽면 어린이용 클라이밍존 구성 및 바닥 전체 안전한 넓은 공간, 매트 등을 구비하여 학생들이 자유로이 표현하고 체력을 증진하며 휴게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