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하는 글
세계시민교육을 함께 하고 계시는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생님이 실천하신 세계시민교육은 어떠했나요?
우리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나누는 시간에 초대합니다.
-일시: 11월 13일 19:00 ~ 21:00
-방법: 온라인 zoom 세미나
-준비: 패들렛의 질문에 답변하기
성찰 모임과 기록 살펴보기
질문1.
세계시민교육을 알게된 것은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가지면서였어요. 평소 다문화이해교육 관련해 교사 연구회와 교원 동아리 활동 같은 것을 했었는데 그때 항상 국제이해교육, 세계시민교육과 함께 다문화교육에 대한 차별성을 논의하면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관심을 가졌어요..... - 박00
아태교육원 <선진학교 국제교사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이란 개념을 만났어요. .... - 배00
국제이해교육, 개발교육, 시민교육 등 흥미있는 분야를 하나씩 찾아나가다보니 세계시민교육 분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 천00
질문2.
교직을 준비하면서 꿈꾸었던 것이 학생들에게 '세상은 함께 살아가는 곳이란걸 알려주기'였습니다. 그 목표와 가장 알맞은 것이 세계시민교육이라 생각했습니다. - 천 00
외재적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이 교사가 가진 역량을 발휘하는 기회로 연결이 되었기 때문에 '도전과 배움'이라는 측면에서 흥미를 느꼈던 것 같아요. 새로운 기관을 통한 새로운 만남이 있기도 했고요.
내재적으로는 아마 늘 "사랑의 분배"에 대해 의식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시민교육에 이끌렸을 거라 생각합니다. - 배00
...함께 다문화지원단 활동하던 선생님이 세계시민 중앙선도교사로 활동하는 것을 옆에서 듣게 되면서 이듬해에 같이 하자고 하더라구요. 갑자기 그렇게 중앙선도교사가 되어서 아태에 갔어요..... -박 00
질문3.
.....읽고 쓰는 교육을 통한 자기 발견과 공감 능력 높이기, 지역 사회와 손잡고 읽고 쓰기, 동네 책방에서 지속적인 고전 읽고 쓰기 교육을 하면서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어린이로 성장할 수 있게 돕고 있어요. - 배00
주로 5학년, 6학년 담임을 주로 했기 때문에 사회 수업과 다른 과목들(국어, 수학, 창체, 미술, 실과, 음악 등)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했었습니다. ....... 환경 주제는 관심이 있던 분야라서 학교에서 환경 관련하여 자율 동아리를 운영했습니다 .......... - 천00
....먼저 ‘시민’이 무엇인지 물어본다. 그럼 아이들은 보통 ‘대구시에 사는 사람’이라고 대답한다. ‘국민’에 대해서도 물어본다. 너무 쉽게, ‘대한민국 사람’이라고 답한다. 국민과 시민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시민을 “자기 삶에 자율성을 가지고 공동체의 일에 책임을 실천하는 사람”이라고 정교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 정의에서 시민이 갖춰야 하는 덕목을 찾아보게 한다. 자율성, 공동체를 위하는 마음, 책임과 같은 덕목을 학생들과 충분히 공유한 후에 드디어, 세계시민을 도입한다. “세계시민에게 공동체의 범위가 어디까지일까?” 물어보며 지구, 세상의 범위로 확대해가는 것이다. ...... - 박00
질문4.
세상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 삶을 살면서 다시 세상의 책무를 실천하는 시민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런 것이 세계시민의 역할인 것 같구요. 그래서 앞으로는 세계시민교육과 진로교육이나 윤리인성, 도덕교육과 접목하여 자기 삶을 설계하고 세상에 어떤 기여를 해나갈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교육을 해보고 싶네요..... - 박00
학생들과 제 스스로의 일상적 삶에서 지속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에 관심이 있어요..... - 배00
스위치 활동을 하면서 다른 선생님들의 수업 나눔을 보고 배웠던 것들(그림책 활용, 전자기기 활용, 학급 나눔 등)을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 천00
질문5.
질문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