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x145.5cm_장지에 수묵(주묵)_2020
116.6×90cm, 장지에 수묵(주묵), 2020
133×133cm_장지에 주묵_2020
140×72cm_장지에 수묵(주묵)_2020
91×91cm_장지에 수묵(주묵)_2017
“Good luck in 꽈리”
꽈리는 빛을 밝히는 등과 비슷하고, 복주머니 모양과 닮았다 하여 예로부터 복과 행운, 성공을 상징한다. 그리고 아기를 품고 있는 모습과 같고, 씨앗을 많이 품고 있다고 해서 다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줍은 소녀를 상징하기도 하고, 화려한 색감으로 옛날에는 결혼식에 머리장식으로도 쓰였다. 또한 꽈리의 잎과 뿌리, 열매 등 현재 약재로 활용되고 있다.
남녀노소와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소통과 공존, 화합을 상징한다.
꽈리작품이 나오게 된 계기를 살펴보면..
먼저, 씨앗 열매를 통해 생명의 순환,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며 마음으로 느끼는 자연을 작업으로 하던 중 주황색 꽈리가 눈에 들어왔다.
2008년 가을이 무르익어 갈 때 쯤 주말, 작업실로 가는 길은 등산을 즐기는 인파들로 분주했다. 도로 주변 인도에는 각자 키운 채소와 과일 등을 파시는 행상들로 줄지어 있었다. 그 중 맨 끝에 주황색 더미의 꽈리를 파시는 할머니를 보고 잠시 멈추어 ‘너무 예쁘네요..이게 뭐에요?’ 했더니, 할머니는 ‘느 것 들은 몰라..’ 하며 대뜸 화를 내셨다. 나는 ‘왜요?’ 하며 쭈그리고 앉아서 할머니에게 물러보았다. 어려웠던 옛날 어릴 적 뒷동산에서 친구들과 꽈리만 있으면 하루 종일 놀았다는 동화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요즘의 우리들은 먹거리, 놀거리 등 문화적인 해택이 풍부하다 못해 넘쳐나는 시기라 조금은 낯설었지만 더욱 새롭고 신선했다.
예쁜 꽈리를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지만 살짝 벌려 안에 있는 방울토마토 같이 생긴 열매를 씹으면 꽉꽉 소리가 나고, 새콤 달콤 쌉싸름한 맛에 배를 채우고, 부셔질 것 같은 얇은 껍질을 조심스럽게 피리를 불며 재밌게 놀았다는 이야기는 시각, 미각, 촉각, 후각, 청각 등 오감을 만족시키는 현대에도 풍부한 문화예술의 소재가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추억어린 꽈리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서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고, 현대를 살아가는 남녀노소간의 교감과 소통, 공존과 화합을 상징 할 수 있는 소재라고 느꼈다.
둥근 열매나 씨앗을 소재로 작업하던 나에게 꽈리는 대자연의 순환의 상징적인 연결고리로 나갈 수 있기에 충분했다. 둥근 열매의 형상에서 생을 읽고, 열매를 이루고 있는 선적인 요소는 삶의 기록으로 우리를 둘러싼 광활한 우주의 무한한 세계, 그리고 그 세계를 유지하는 질서를 상징한다.
즉, 생과 멸, 유와 무, 음과 양 등 서로 다르지만 복합적인 양상으로 순환하면서 우주를 이루고 생명을 이루고 정신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급변하고, 각박한 현대사회에서 인간과 자연이 서로 둥글게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꽈리를 통해 행운과 행복을 꿈꾼다.
2018년 가나, 프린트 베이커리와의 협력으로 롯데 호텔 본점 신관 이그제티브타워 스위트룸에 실크스크린 판화 60점과 Le Salon 다이닝 럭셔리 라운지에 원화 2점이 소장되었고, 2019년에 롯데호텔 제주 로비에 100호가 소장되었다. 2020년 10월에 제주 그랜드 하얏트 복합 카지노 리조트호텔, 스위트룸에 메인으로 소장되었다.
평면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으로, 2019년 광명 국제무역 센터에 4.5M 크기의 꽈리 조형물이 설치되었고 더 다양한 조형물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꽈리 이미지를 단순화시켜 소파, 조명 등 인테리어 업체와의 콜라보와 의류업체, 가구업체 및 자동차업체와의 다양하게 콜라보가 진행 중이다.
그 외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에 4점 등 청와대, 관공서 및 여러 주요 기관 및 다수의 개인에 소장되었다.
현재 갤러리 앤아트 소속으로 지금까지 67회 개인 초대전과 660여 회 단체전 등 여러 국내 외 아트페어에 출품하였다.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 전공 및 동 대학원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미술학 박사(Ph. D.)
개인전 66회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서울, 경기 등)
2020 Good Luck -오늘의 당신에게- 초대전 (소노아트갤러리, 서울)
2020 초대전 (갤러리아백화점 광교 VIP라운지 12층, 경기)
2019 초대전 (롯데백화점 영등포 MVG라운지 4,5층, 서울)
2019 초대전 (상해 Liu Gallery-중국)
2018 초대전 (한국경제신문사 한경갤러리, 서울)
2018 초대전 (국방대학교 갤러리, 충남 논산)
2017 초대전 (SPOON아트쇼-중국 明福堂 Gallery, 경기)
2017 초대전 (갤러리 훈, 서울)
2017 초대전 (갤러리 아트리에, 경기)
2017 초대전 (장은선갤러리, 서울)
2017 초대전 (미구스타 갤러리, 서울)
2017 초대전 (갤러리 위, 서울)
2016 초대전 (갤러리 피치, 서울),
2016 금오공과대학교 초대전 (KIT갤러리, 구미)
2015 초대전 (Ginza artist space, 일본)
2014 초대전 (Gallery CHUN NewYork, 미국)
2014 초대전 (Space Womb Gallery NewYork, 미국)
2014 초대전 (Amelie A. Wallace Gallery SUNY College at Old Westbery in NewYork, 미국)
2008 초대전 (세종호텔갤러리, 서울)
2007 초대전 (긴자 artist space, 일본)
2004 초대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3 개관기념 초대전 (취옹 예술관, 가평)
1998 초대전 (서호 갤러리, 서울)
1995 초대전 (예일화랑, 서울)
1994 초대전 (삼정 아트스페이스, 서울)
아트페어
스콥마이애미비치아트페어, ARTPLUS 상해 아트페어, 홍콩 컨템포러리 아트쇼, 아트포모사 타이페이, 홍콩하버아트페어, 아트오사카, 상해아트페어, 뉴욕아트엑스포, 어포더블 아트페어, 아시아호텔아트페어, 대구아트페어, 화랑미술제, KIAF, SOAF, BAMA, 아트아시아, 아트부산, 아트제주, 조형아트쇼 등
단체전 660 여회
2020 상하이아트페어 (상해EXPO, 중국)
2020 강남 인테리어 디자인위크 특별전 (강남 기획관, 서울)
2020 최영욱, 이애리 초대전 (갤러리위, 경기)
2020 청담이전 기념 특별 재개관 전 (갤러리 앤아트, 서울)
2020 행복팔경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20 Lucky7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20 9명의 여성아티스트 전 (피처링갤러리, 뉴저지, 미국)
2019 오로라2020 (소노아트갤러리, 서울)
2019 I Dream 전 (강동 미즈메디명원 갤러리, 서울)
2019 두 겹의 그림자 노동 전(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19 Art Home styling (갤러리O, 서울)
2019 서울.뉴욕 교류전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2018 Hellow전 (아산병원갤러리, 서울)
2018 문방과 작가의 만남전 (아리수갤러리, 서울)
2018 여름날의 하모니 (DGB갤러리, 대구)
2018 5인5색전 (아트스페이스H, 서울)
2018 제1회아트슈퍼마켓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7 사랑나눔전 (아트G&G갤러리, 대구)
2017 아쿠아 아트 쇼 (MOKAH Museum, 뉴욕, 미국)
2017 한식문화 미술대전 초대전 (청와대 사랑채 기획전시실, 서울)
2016 군포문화예술회관 초대전 (군포문화예술회관, 경기)
2016 아름다움을 소통하다 기획전 (모란미술관, 경기)
2016 와유-일상과 풍경에서 노닐다 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15 예술, 공감의 코드 (제주문화예술회관, 제주특별자치도)
2015 겸제정선미술관 기획전-타임머신 (겸제 정선미술관, 서울)
2014 뉴욕, 뉴욕, 뉴욕 (space womb gallery, 뉴욕)
2013 기획초대전 (팔레 드 서울 미술관, 서울)
2011 작은 그림 열린 마당전 (조선화랑, 서울)
2010 문인화 정신과현대회화의 어울림전 (한국미술관, 서울)
2009 한국현대회화100인전 (우림화랑, 서울)
2007 한·중 미술 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한일현대미술 감동과 상승의 투영전 (긴자갤러리, 일본)
2005 오선오색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5 서울-시카고전 (시카고 포스터갤러리, 미국)
2005 서울의 바람, 서귀포의 꿈 (이중섭미술관, 제주도)
2005 Best Star & Best Artist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5 한국화! 변용을 위한 모색전 (현대예술관, 울산)
2005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 인간의 숲, 회화의 숲 (광주)
2005 새천년 대한민국의 희망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등
수상
2013 제33회 올해의 최우수예술가-심사위원선정 특별예술가상, 제10회 한국미술정예작가상,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및 입선2회, 의왕시여성상, 한국미술대전 최우수상 등
심사
2019안양공공예술(APAP6) 집행위원, 2018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미술작품 선정위원
충남미술대전, 세텍, 서울아트쇼, 아트서울 운영위원
대한민국 회화대전, 환경미술대전, 백제문화예술대전, 서울메트로 전국미술대전, 나혜석미술대전, 세계창작미술 공모대전, 서울미술대전, 전국 춘향 미술대전, 용산 국제 미술대전, 한국미술 국제공모대전, 농산물유통정보 공모전 등
저서
지금 한국의 화가를 만나다 (고려원북스, 2015)
워크숍
2014 올드웨스트버리 뉴욕 주립대, 미국
칼럼
일간투데이, 이애리의 그림읽기
레지던시
골드 창작스튜디오, 갤러리 아트리에
현 소속 및 직위
협성대학교 겸임, 초빙교수
숙명여대 회화과 초빙교수
(사) 국제청년예술가협회 이사
(사) 한국미술협회 한국화분과 이사
(재) 안양문화예술재단 이사
작품소장
복합카지노 그랜드하얏트호텔(제주), 롯데호텔(서울, 제주), 홍콩 하버시티그룹,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영동세브란스병원, 의왕시청, 과천시청, 청와대, Gallery CHUN(뉴욕), 현대예술관, 취옹예술관, 한국경제신문사, 세종호텔, (주)대명, (주)글로벌 유명, (주)스웨코,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등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