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water
162x130cm_장지에 백토, 안료 Terra alba, pigment on paper_2019
A lump of desire
120x167cm _순지에 황벽 염색, 먹, 안료 Dyeing paper with phellodendron, ink, pigment on paper_2019
Connected mass
100x100cm_캔버스에 과슈, 아크릴 Gouache, acrylic on canvas_2019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 순
두 종류의 힘 Two kinds of force/ 43x33cm _장지에 금분, 안료 Gold powder, pigment on paper_2019
자기 만의 방 A room of one’s own/ 43x33cm_장지에 안료 Pigment on paper_2019
시작점 Beginning point/ 43x33cm _장지에 과슈 Gouache on paper_2019
잉태하다 Conceive/ 43x33cm _장지에 안료 Pigment on paper_2019
저마다의 생존방식 One’s own way of survival/ 43x33cm _장지에 아크릴, 안료 Acrylic, pigment on paper_2019
낯선 열매 A strange fruit/ 43x33cm _장지에 아크릴, 안료, 진주분 Acrylic, pigment, pearl powder on paper_2019
Connected mass
53x45cm _장지에 백토, 안료 Terra alba, pigment on paper_2020
“매일 접하는 야채와 곡식. 가녀리지만 동시에 강인함. 채식주의자 같은 담백함.
군(群). cluster. 인간관계. 사람살이. 살리다. 살림. 달. 모성. 번식. 흡수. 순환”
나는 생명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한다. 주로 야채, 곡식 등 음식 재료를 작품 소재로 삼아왔다. 햇빛과 물을 섭취하며 주변에 해를 끼치지 않고 살아가는 야채와 곡식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주고 자신은 조용히 소멸해 간다. 마치 어머니 같은 존재다.
야채는 부드럽고 곡식은 단단하다. 부드러운 야채는 수분이 많아 금새 시들기에 저장이 어렵다. 반면 단단한 곡식은 건조하고 외부가 껍질로 덮여 있어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비록 성질은 다르지만 모두 씨앗에서 비롯된 생명들이다. 매일 접하는 이 생명들은 가녀리고 약해 보이지만 동시에 강인하고, 무리를 이루며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흡수하고 번식, 순환한다.
누군가의 말처럼 ‘살림’의 어원이 부엌데기 엄마들의 궂은 일이 아니고 인간이면 누구나 동참해야 할 숭고한 노동, 생명을 살리는 일이라고 본다면, 나는 야채와 곡식에서 진정한 ‘살림’을 만나고 ‘식구(食口)’의 원초적 의미에 관해 생각해본다. 이들이 공생하고 기생하며 커가는 과정을 보면서 인간의 삶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도시에 살면서 씨앗, 식물을 통해 자연의 뿌리를 상상한다. 이들은 소박하면서도 관능적이다. 특히 씨앗이라는 잠재된 덩어리에는 수많은 시간과 기억의 층이 존재한다. 이 작은 입자는 생명이 응축된 덩어리이고 나에게 씨앗은 이것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쪼개어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물을 주고 키워가며 알아내야 하는, 마치 어머니가 아이를 키우듯이 시간이 필요한 잠재된 덩어리이다. 한 톨의 쌀알에서도 우주를 만날 수 있는 것처럼, 땅에서 수확된 생명의 먹거리에서 행성처럼 움직이고 순환하는 우리 일상의 삶을 펼쳐 보려 하였다.
학력
2017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 졸업
199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同 대학원 졸업
1997 Summer Residency Program (drawing, mixed-media, painting)
at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 U.S.A.)
개인전
2019 잠재된 덩어리 (갤러리 도스 기획전)
2017 흡수 (갤러리 담)
2015 A Voyage (Galerie Rhema 기획전, 툴루즈, 프랑스)
2015 점심 (點心) (정부서울청사 갤러리 기획전)
2014 Come & Go (서울대학교 현기순 홀 기획전)
2014 소행성 (갤러리 담)
2013 Life-Go-Round (Galerie Rhema 기획전, 툴루즈, 프랑스)
2012 닮음과 닮지 않음의 사이 (서울대학교 호암 교수회관 기획전)
2008 군집 공간 (공근혜 갤러리) 문예진흥기금 지원전시
2006 식물 기행 (학고재 화랑)
2001 감자 속 사막 (모인 화랑)
1996 두 번째 개인전 (공평 아트 센터 기획전)
1996 첫 번째 개인전 (인데코 갤러리) 외 100 여회 단체전
수상
2020 2019 신소장품 선정 (성남큐브 미술관)
2009 Seoul Open Art Fair 10 Young Artists 선정
2008 문예진흥기금 (예술창작 및 표현활동 분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소마(Soma)미술관 드로잉 센터 제3기 아카이브 등록 작가 선정
2004 제4회 송은미술 대상전 입선 (예술의 전당, 서울)
1996 미술세계 대상전 입선(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1995 MBC 미술대전 입선(예술의 전당, 서울)
1995 대한민국 미술대전 구상계열 입선(국립 현대미술관, 과천)
공공소장
성남큐브미술관, 분당 서울대 병원, 서울대학교 기숙사, 홍콩 Kerry Hotel, 선화예술고등학교
출판물
『우리 그림, 그려볼까요?』, 신하순, 최혜인, 안지연, 최은혜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4
『생각하는 점, 말하는 선』, 신하순, 최혜인, 안지연, 최은혜 공저, 꿈키아트스쿨 발행, 벽산장학문화재단 후원, 2013
교육경력
단국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한성대학교, 서원대학교, 가천대학교, 수원대학교, 안양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 기간제 교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역임
연락처
E-mail: snugmss@snu.ac.kr
Web site: www.hyeincho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