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에 있는 빨간색 상자를 드래그하여 작업평면에 끌어다놓는다.
우측에 있는 원통 한개를 작업 평면에 끌어다놓는다.
빨간색 박스의 크기를 가로 72mm, 세로 27mm, 높이 20mm로 조정한다.
노란색 원통의 크기를 지름 10mm, 높이 27mm로 조정한다.
원통을 그림과 같이 90도 회전한다.
두 물체를 모두 선택한다.
물체를 모두 선택할 때는 마우스로 범위를 지정하거나 'Ctrl + A' 키를 누른다.
물체를 하나 씩 선택할 때는 Shift 키를 누른 채로 선택할 물체를 마우스로 클릭한다.
정렬 버튼 또는 단축키 'L' 을 누른다.
가운데 정렬을 시켜준다.
원뿔이 공중에 떠 있기 때문에 키보드 'D'키를 눌러 바닥에 붙여준다.
원통을 선택한다.
검정색 원뿔을 클릭한 채 들어올려 원통을 바닥으로부터 7mm 정도 띄운다.
원통의 속성을 '구멍'으로 바꿔준다.
정렬을 위해 모든 물체를 선택해준다.
'정렬' 버튼 또는 단축키 'L'을 눌러준다.
가장 오른쪽 동그라미를 선택하여 우측 정렬을 해준다.
우측 정렬하면 그림과 같이 박스 안에 원통이 쏙 들어간다.
'그룹화' 버튼 또는 'Ctrl + G'키를 눌러 박스에 구멍을 뚫어준다.
이 구멍 안에 고압의 공기를 쏘면 차체가 그 반발력으로 앞으로 나간다.
바퀴 축이 들어갈 구멍을 뚫기 위해 작업평면에 원통 하나를 추가로 더 가져다놓는다.
원통의 지름을 3.5mm, 높이를 30mm로 변경해준다.
원통을 그림과 같이 90도 회전해준다.
'D'키를 눌러 원통을 바닥에 붙여준다.
원통 하나 더 복사하기 위해 그림의 복사, 붙여넣기 버튼을 차례로 눌러준다.
또는 원통을 선택한 후 'Ctrl + C', 'Ctrl + V' 키를 차례로 눌러준다.
투시 View로 보면 정확한 위치로 원통을 이동하기 쉽지 않다.
그림의 버튼을 눌러 평면 View로 전환한다.
빨간색 박스의 앞뒤에 원통이 정렬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두 바퀴 축을 원하는 위치로 적절히 이동시켜준다.
편의 상 앞, 뒤를 기준으로 12칸을 이동하였다.
두 원통을 선택한 후 바닥으로부터 1.5mm 떨어뜨려준다.
원통을 들어올릴 때는 검은색 원뿔을 클릭한 후 드래그해준다.
축이 될 두 원통의 속성을 '구멍'으로 바꿔준다.
시점을 다시 투시 View로 바꿔준 후 정렬을 위해 모든 물체를 선택해준다.
정렬을 위해 키보드 'L'키를 누른다.
그림의 가운데 점을 클릭하여 가운데 정렬한다.
빨간색 박스와 두 개의 구멍 축이 가운데 정렬 된다.
박스에 바퀴 축이 끼워질 구멍을 뚫기 위해 모든 물체를 선택해준다.
'그룹화' 버튼 또는 'Ctrl + G'키를 눌러 빨간색 박스에 구멍을 뚫어준다.
바퀴 축이 끼워질 부분에 구멍이 뚫렸다.
바퀴를 끼웠을 경우 예상되는 자동차의 모습
박스 형태의 자동차는 앞에서 받는 공기 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행 시 속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 역학적 설계를 해보자.
TinkerCAD의 구멍 빼기 기능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의 기본 자동차를 공기 역학적으로 조각해보자.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자신 만의 자동차 외형을 디자인한다.
나무를 조각한다는 생각으로 박스 형태의 기본 자동차를 조금씩 깎아나가며 차의 외형을 디자인한다.
기본 박스형태에서 깎고자 하는 모양을 찾아 작업 평면에 위치시킨다.
깎고자 하는 모양으로 기본 도형을 회전시킨다.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시점을 변화시킨다.
기본 박스를 깎을 때 구멍 부분이 깎이는 것을 막기 위해 내부를 투명하게 만들어준다.
구멍 부분에 걸치지 않도록 깎을 부분의 크기를 조정해준다.
깎을 도형의 속성을 구멍으로 바꿔준다.
물체를 모두 선택한 후 그룹화 (Ctrl + G)를 해준다.
이런 식으로 깎을 부분을 계속 추가하여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자동차 외형을 만들어준다.
완성된 자동차 외형의 예시
3D 프린터로 출력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