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점수에 따라 성취도(A, B, C, D, E)를 달리하여 표시하고자 한다.
성취도 란에 ' =if ' 를 적어준다.
if 함수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표시해준다.
if 함수는 아래와 같은 형식을 가진다.
if( 조건, 조건이 맞을 경우 실행,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실행)
if 함수 괄호 안에 첫 번째 조건(평균이 90점을 넘으면...)을 설정한다.
조건이 맞을 경우 표시될 문자(성취도 A)를 설정한다.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두 번째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또 다른 if 함수를 집어 넣는다.
두 번째 조건(평균이 80점을 넘으면...)을 입력한다.
두 번째 조건이 맞을 경우 표시될 문자(성취도 B)를 설정한다.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세 번째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또 다른 if 함수를 집어 넣는다.
세 번째 조건(평균이 70점을 넘으면...)을 입력한다.
세 번째 조건이 맞을 경우 표시될 문자(성취도 C)를 설정한다.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네 번째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또 다른 if 함수를 집어 넣는다.
네 번째 조건(평균이 60점을 넘으면...)과 네 번째 조건이 맞을 경우 표시될 문자(성취도 E)를 설정한다.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마지막 성취도인 'E' 를 설정한다.
'Enter 키'를 누르면 평균 점수에 따른 성취도가 셀 안에 표시된다.
사각형 우측 하단의 네모난 점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 아래로 드래그 한다.
그러면 나머지 셀들도 방금 전에 설정한 if 함수 형식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최소값을 표시할 셀을 선택한 후 MIN 함수를 선택한다.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최소값을 구할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해준다.
데이터의 범위가 맞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Enter 키를 누른다.
사각형 우측 하단의 네모난 점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 오른쪽으로 드래그 한다.
그러면 나머지 셀들도 방금 전에 설정한 MIN 함수 형식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최대값을 표시할 셀을 선택한 후 MAX 함수를 선택한다.
데이터의 범위가 맞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Enter 키를 누른다.
사각형 우측 하단의 네모난 점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 오른쪽으로 드래그 한다.
그러면 나머지 셀들도 방금 전에 설정한 MAX 함수 형식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차트를 생성할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한다.
상단 메뉴의 '삽입 - 차트'를 누른다.
우측의 '차트 편집기'에서 세부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
화면에 나타난 차트를 확인한 후 제목을 바꾸어준다.
크기 및 세부 설정을 목적에 맞게 다듬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