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이 9개 찍힌 우측 상단의 버튼을 클릭한다.
'프리젠테이션' 앱을 선택한다.
좌측 상단의 '+' 버튼을 누른다.
새 문서가 열리면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좌측 상단의 '제목 없는 스프레드시트' 부분을 클릭해서 새로 작성할 문서의 제목을 입력한다.
제목 옆의 '이동' 아이콘을 클릭하여 작성한 문서를 저장할 위치를 설정한다.
새로 작성할 문서가 저장될 폴더를 선택한 후 '이동' 버튼을 누른다.
만약, 폴더를 새로 만들 경우에는 좌측 하단에 위치한 폴더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구글 프리젠테이션은 수시로 자동 저장된다.
하지만, 가끔씩 저장이 안될 경우도 있으니 확실한 저장을 위해 좌측 제목 옆의 노란색 아이콘을 눌러준다.
구글 프리젠테이션은 여러 개의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상단의 +(새 슬라이드) 버튼을 눌러 필요한 만큼 슬라이드를 추가한다.
각 슬라이드 별로 주제에 맞는 제목과 내용을 입력한다.
이 때, 가독성을 위해 내용은 문장형이 아닌 개조식으로 작성한다.
프리젠테이션은 하나의 슬라이드 안에 많은 양의 내용을 담지 않는 것이 좋다.
핵심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여 작성하고, 글자 크기는 가능하면 최대로 키워준다.
슬라이드 안에 오로지 글자만 입력되어 있다면 전달력이 매우 떨어지므로 이미지도 함께 삽입하여 준다.
이미지 버튼을 누르거나, 상단 메뉴의 '삽입-이미지' 를 선택한다.
컴퓨터에서 업로드 또는 웹 검색을 눌러 필요한 이미지를 검색한다.
삽입한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한다.
한 슬라이드에서 다른 슬라이드로 넘어갈 때 전환 효과를 줄 수 있다.
좌측에 위치한 슬라이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를 연다.
중간 쯤에 위치한 '전환' 항목을 선택한다.
우측에 '슬라이드 전환' 메뉴가 보이는데 여기에서 '없음' 옆의 화살표를 눌러 일곱 가지 항목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좌측의 슬라이드 숫자 아래에 전환 효과가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이 표시되었다.
우측의 노란색 동그라미 위치를 조정하면 전환 효과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통 전환 효과는 한 장의 슬라이드에만 적용된다. 하지만 '모든 슬라이드에 적용' 버튼을 누르면 방금 적용한 전환 효과가 모든 슬라이드에 일괄적으로 적용된다.
'전환' 이 두 장의 슬라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효과였다면 '애니메이션' 은 한 장의 슬라이드 안에서 발생하는 효과이다. 보통은 이미지와 글자에 적용한다.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객체(이미지 또는 글자)를 선택한 후 우측에 있는 '애니메이션 추가' 버튼을 누른다.
원하는 애니메이션 유형(15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시작 조건을 선택한다.
클릭 시 :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면 애니메이션이 시작된다.
이전 애니메이션 완료 후 : 하나의 슬라이드에 두 가지 이상의 애니메이션이 있을 때, 이전 애니메이션이 끝난 직 후, 적용한 애니메이션이 시작된다.
이전 애니메이션 시작 시 : 하나의 슬라이드에 두 가지 이상의 애니메이션이 있을 때, 이전 애니메이션이 시작함과 동시에 적용한 애니메이션이 시작된다.
시간을 선택한다.
노란색 바를 움직이면 애니메이션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하나의 슬라이드 안에는 '애니메이션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두 가지 이상의 애니메이션을 집어넣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