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런치뱅 리눅스를 깔았는데 엄청 좋다! 커뮤니티가 매우 친절하게 잘 알려주는 편이라 자주 들어가게 된다. 문제가 있을때 쉽게 해결할수는 없지만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여기서는 설치 및 문제해결 등을 다룬다.
usb드라이브를 이용해서 인스톨 하려면 unetbootin, live-usbcreator를 쓰지말고 win32diskimager를 깔아서 쓰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나도 live-usbcreator를 써서 한번 실패하고 포럼에서 알려준대로 win32diskimager를 깔아 인스톨에 성공했다.
최근 버전인 waldorf가 gcc4.7을 쓰고 있어서 고민했는데 후디니 인스톨에 문제가 없었다. (후디니 버전은 4.6을 쓰면 에러가 나고 4.4버전을 써야 한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스스로 깔아줘야 하는데 Nvidia는 여기, Ati는 여기를 클릭해서 방법을 알아보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smxi를 써서 깔았는데 문제 없이 잘 깔렸다. smxi를 쓰면 일단 그래픽인터페이스를 끄고 터미널로 내려가라고 한다. 터미널로 내려온 후에 smxi를 실행하면 이것 저것 물어보는데 그래픽카드만 깐다는 옵션을 선택했다. 한번에 깔리지는 않았고 재시작후에도 터미널로 부팅이 되어서 당황했는데, 한번 더 똑같이 실행했더니 성공했다는 메시지가 뜨면서 x로 부팅이 되었다.
sudo su -
cd /usr/local/bin
apt-get install unzip dkms linux-headers-$(uname -r)
wget http://smxi.org/smxi.zip
unzip smxi.zip
smxi
(터미널로 내려옴)
sudo su -
smxi
(전원종료, 30초 기다린 후 부팅)
sudo su -
smxi
ati 드라이버의 경우 최신버전에서는 후디니 실행에 문제가 있을수 있다. 일단 깔아보고 문제가 있다면 이전 버전의 드라이버를 깔아보자. 역시 smxi를 통해 할수 있다.
한글
한글이 써지지 않는다면 ibus를 깔자.
apt-get install ibus-hangul
크런치뱅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vi는 제한적인 버전이다. 글자를 지울 때 화면 버퍼가 바로 지워지지 않는 버그도 있는것 같다. vi를 재설치 했더니 많은 문제들이 사라졌다.
apt-get install vim
애니메이션에 키를 줄때나 익스프레션을 작성할 때 alt키를 사용할때가 많다. 하지만 리눅스에서 alt+마우스왼쪽버튼이 프로그램 창 이동키로 설정이 되어있어 사용할수가 없다. 보통 다른 리눅스에서는 그 세팅을 바꿔주는 환경설정 창이 있는데, 크런치뱅 리눅스는 약간 불편하게 수동으로 파일을 수정해줘야 된다.
이 파일을 수정하려면 마우스오른쪽버튼 > Settings > Openbox > Edit rc.xml 을 차례로 선택한다.
vi를 쓸수 있는 분들은 셸에서 직접 들어가 고쳐도 된다.
vi ~/.config/openbox/rc.xml
파일이 뜨면 아래를 붙여넣어 검색한다. (Ctrl-F , vi에서는 / ) 우리 집 컴퓨터 기준으로는 482번째 줄부터 시작이었다.
<mousebind button="A-Left" action="Press">
<action name="Focus"/>
<action name="Raise"/>
</mousebind>
<mousebind button="A-Left" action="Click">
<action name="Unshade"/>
</mousebind>
<mousebind button="A-Left" action="Drag">
<action name="Move"/>
</mousebind>
앞뒤로 <!-- 와 -->를 넣으면 이 부분이 실행되지 않는다. (주의 : 뒤쪽엔 !가 없다)
<!--
<mousebind button="A-Left" action="Press">
<action name="Focus"/>
<action name="Raise"/>
</mousebind>
<mousebind button="A-Left" action="Click">
<action name="Unshade"/>
</mousebind>
<mousebind button="A-Left" action="Drag">
<action name="Move"/>
</mousebind>
-->
저장하고 로그아웃/로그인 한다.
설치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문서를 작성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하드가 꽉차서 저장할수가 없다고 떴다. 별로 한것도 없었기에 당황했는데, 찾아보니 홈디렉토리에 .xsession-error라는 파일이 100기가 가까이 먹고있는것을 발견했다. 이에 대해 찾아보다 우분투포럼에서 좋은 답을 얻었다. 이 파일은 지워도 소용이 없고 (링크만 삭제되기때문에?) 이 파일을 쓰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어느정도 해결할수 있다고 한다.
텍스트 에디터로 /etc/X11/Xsession 파일을 열자. (이 파일을 고치려면 루트권한이 필요하다.)
sudo vi /etc/X11/Xsession
60번째 줄 즈음에 보면
ERRFILE=$HOME/.xsession-errors
라고 적혀있는 줄이 있는데, 이것을
ERRFILE=/tmp/$USER-xsession-errors
이렇게 고치고 재시작하자. 이렇게 하면 에러로그를 쓰는 위치가 /tmp로 바뀌어서 재시작 할 때마다 파일이 지워진다.
절전모드에서 깨어나기
나는 서브로 씽크패드 노트북을 쓰고 있는데, 최근에 여기에도 크런치뱅 리눅스를 깔았다. 하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었다. 노트북을 닫았다가 열었을때 노트북은 잠에서 깨어나는데 모니터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사실 이문제는 다른 리눅스를 깔았을 때도 동일하게 있었던 문제다.
다행이 이것저것 해보다가 한가지 방법을 찾아냈다. 파워매니저의 '랩톱 뚜껑이 닫혔을 때' 옵션을 절전(suspend)에서 최대절전(hibernate)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노트북이 깨어날 때 재시작과 동일한 절차를 거쳐 느리게 깨어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만족스럽다.
씽크패드 e335에서 wifi 적용시키기
내가 가지고 있는 모델은 아직 wireless모뎀이 자동으로 잡히지 않는 모델이었다. (그런 모델이 종종 있는것 같다.) 새벽에 홀로 절망하던 중.. 아래 포스트를 운좋게 찾아 해결하였다.
http://crunchbang.org/forums/viewtopic.php?id=11504
https://wiki.debian.org/wl#Squeeze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etc/apt/sources.list에 다음 구절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추가한다.
deb http://http.debian.net/debian/ wheezy main contrib non-free
그런 다음 아래를 차례로 붙여넣고 실행한다.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linux-headers-$(uname -r|sed 's,[^-]*-[^-]*-,,') broadcom-sta-dkms
# modprobe -r b44 b43 b43legacy ssb brcmsmac
# modprobe wl
로그아웃/로그인 후 확인한다.
내 노트북에서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한 후 후디니의 뷰포트가 redraw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다시 smxi로 들어가서 예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로 바꾸어 설치했더니 이 문제가 사라졌다.
씽크패드에서 touchpad끄기
코드를 쓰는 사람이라면 touchpad는 생각보다 꽤 불편한데, 윈도우에서는 thinkvantage라는 툴이 이런 제어를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크런치뱅에서는 그런게 없다. 대신 다음 커맨드가 같은 기능을 한다.
synclient TouchpadOff=1
위 커맨드를 부팅과 동시에 적용하려면 ~/.config/openbox/autostart 에 추가하면 된다.
크런치뱅에서 비디오 레코더는 둘 중 하나인것 같다. gtk-recordmydesktop과 kazam이 있다. 사실 둘 다 썩 만족스럽진 않다. 써보고 kazam을 남겨두었다.
apt-get install kazam
크런치뱅의 기본 웹브라우저인 iceweasel을 사용할 때 짜증나는 것 중 하나는 주소창에서 한단어로 검색할 때 거의 대부분 넷피아로 넘어가버린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DNS서버를 바꿔서 해결할수 있었다.
네트워크아이콘>연결편집>Wired connection 1>IPv4 설정 :
자동(DHCP) -> 주소만 자동(DHCP)
DNS 서버 주소를 추가 : 8.8.8.8 (구글도메인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