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장병(長柄)도 1월 13일(음력) 출생
      • 장병분교 국기게양대 밑에 태가 묻어짐
      • 진절이라 불린 섬 이름을 따라 진절(珍晢)로 불리다 한 획을 더하여 진석(珍晳)으로 이름 지어짐


1967년 (만8세)

      •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서교부락으로 이사
      • 당산나무파 친구들을 사귐
      • 손불동국민학교
      • 향교국민학교


1970년 (만11세)

      • 광주광역시로 유학
      • 월산국민학교 5학년으로 전학 옴


1971년 (만12세)

      • 6학년 교실이 바라던 대로 4층으로 배정되어 좋아함


1972년 (만13세)

      • 사레지오(현 살레시오) 중학교 입학 후 처음으로 외국인을 접함
      • 친구 문용식을 만남
      • 스페인에서 오신 왕 신부님의 트럼펫 연주를 들음
      •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절은 중학교 때 였던 것 같아요. 당시 저는 내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실하게 느꼈으니까요" (살레시오 2016년 7월호(통권 139호)의 8쪽에서 발췌)


1974 (만 15세)

      • 유치환의 <생명의 서>를 외우기 시작


1975 (만16세)

      • 사레지오 중학교 17회 졸업
      • 광주대동고등학교 입학


1978년 (만19세)

      • 광주대동고등학교 졸업


1979년 (만20세)

      • 서강대학교 철학과 입학
      • 유재현 형을 만남


1984년(만25세)

      • 은사 정인재 선생님을 찾아감 (3학년 2학기 학부생)
      • 왕필의 『노자주』로 위진현학에 대한 이해와 한문을 배우기 시작


1986년 (만27세)

      •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졸업 (학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입학
      • "석사 1학기쯤 어느 날 보니까 독일 철학을 공부할 때는 미간이 찌푸려지면서 신경을 곤두세우고 책을 보더라고요. 방바닥에 덜렁 누워 책꽂이를 봤더니 장자가 보이는 거예요. 펼쳐봤죠. 너무 재미있었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었어요. '공부를 하려면 재미있고 좋아하는 것을 해야지'란 생각이 들어 그 길로 동양 철학으로 바꿨죠" (연합뉴스 <인문학 이야기> 철학자 최진석의 '주체적인 삶'에서 발췌 2016월 3월 2일)


1988년 (만29세)

      •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 (동양철학 석사)


1990년 (만31세)

      • 8월 중국 생활 시작


1991년 (만32세)

      • 중국 흑룡강대학교
      • 동포 쉬밍을 만남


1993년 (만34세)

      • 중국 북경대학교 철학과 입학
      • 은사 탕이제(湯一介) 선생님을 만남


1996년 (만37세)

      • 중국 북경대학교 철학과 졸업 (도가철학 박사)
      • <성현영의 장자소 연구(成玄英的 ‘莊子疏’ 硏究)>
      • 9월 미국 하버드 대학 엔칭연구소 방문학자


1998년 (만39세)

      • 2월 미국에서 귀국
      • 3월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부임


2001년 (만42세)

      • 11월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출간


2003년 (만44세)

      • 9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방문교수


2005년 (만46세)

      • 2월 캐나다에서 귀국


2007년 (만48세)

      • 제자들과 동경 철학학습여행을 위해 처음으로 일본 방문
      • 서울대 인문대학 최고지도자 인문학과정[AFP]에서 노자 강의 진행


2009년 (만50세)

      • 4월 한중우호포럼에서 [한중 우호와 사소의 지혜] 발표


2012년 (53세)

      • <(사)수요포럼 '인문의 숲'>에서 '리더,도가에서 길을 찾다' 주제로 40주 강의 진행
      • MBN 지식콘서트 - 최진석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의 숲 강연


2013년 (만54세)

      • 2월 78회 교토포럼 참가를 위해 두 번째 일본 방문
      • 3월 『인간이 그리는 무늬』 출간
      • EBS에서 '최진석의 현대철학자, 노자'를 강연 (총14강)


2014년 (만55세)

      • 7월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출간


2015년 (만56세)

      • ‘건명원(建明苑)’ 초대원장 취임
      • 2월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출간


2016년 (만57세)

      • 스웨덴에서 스칸디나비아 정책연구소(SCIPS)소장 최연혁 교수를 만남
      • <스웨덴 정치를 말하다>(KBS구수환 PD연출) KBS1 방영


2017년 (만58세)

      • 1월 『탁월한 사유의 시선』 출간
      • 2월 <노자와 베토벤> 희로애락 특별출연
      • 3월 섬진강인문학교 교장 취임
      • 7월 『경계에 흐르다』 출간


2018년 (만59세)

      • 서강대 철학과 교수직 사퇴
      • 2월 『경계에 흐르다』 시대의에세이스트상 선정
      • 3월 ~ 12월 <노자와 베토벤> 고주망태 특별출연
      • 서강대 철학과 명예 교수
      • 8월 『탁월한 사유의 시선』 (개정판) 출간
      • 9월 빛고을 철학강의 : 인간적인 삶
      • 11월 KMA 慧明苑 강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