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란 무엇인가

여행은 익숙한 곳에서 이탈하여 어딘가로 떠나는 사건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떠나는 것이 여행의 다는 아니다. 여기저기를 향해 부산스럽게 떠다니는 것만이 반복된다면, 그것은 그저 아무 의미 없는 자극의 연속일 뿐이다. 여행은 하나의 머물기가 다른 머물기로 바뀌는 사건이어야 한다. 여행의 위대한 주인인 여행가는 머무르기 위해 떠나는 모순적 행위를 범하며 고유하고 특별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

고인 물은 썩는다. 고여 있으면 익숙해진다. 그래서 익숙함은 모든 존재를 파괴시키는 중한 병이다.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병든 몸으로라도 떠나는 수밖에 없다. 여행은 이렇게 시작된다. 자신에게 익숙한 자신은 더 이상 자기 자신의 시선을 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아니다. 자기에게 보이지 않는 존재는 없는 존재다. 자기에게 보이는 자기만 자기다. 시선을 끌려면 생경해야 한다. 그렇다면 생경한 자기만 자기다. 진화하는 존재라면 어색하고 생경한 사건을 스스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자신을 익숙하지 않은 환경으로 스스로 내몰아 어색하고 생경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여행이 최고다. 결국 자기를 자기로 존재하게 하는 사건이 여행이라는 이름으로 벌어진다.

생경해진 자기 속에서는 무뎌졌던 호기심이 살아난다. 떠나기를 통해 자신이 생경해지면 보기가 시작된다. 호기심을 가진 자는 판단하지 않고 본다. 판단에만 빠져 있으면 인간은 병든다. 여행의 영혼은 보기에 있다. 판단은 내가 아니라 여러 기억과 관념과 지식과 같이 나 아닌 것들이 한다. 내가 나의 주인이 되어서 하는 일은 판단이 아니라 보기다. 보기의 공력은 나의 전 인격을 대상에 오래 동안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숭고한 일이다. 그래서 영화 <아바타>의 나비 족들은 누군가의 앞에 경이로운 마음으로 다가갈 때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다가갈 때 “나는 당신을 봅니다.”(I see you.)라고 하는 것이다. 생경함과 보기는 떠나기와 머무르기의 변주다. 여행은 떠나기와 머무르기의 경계에 있지만, 그것은 내 안에서 둘이 아니라 하나의 사건이 되어 나를 때린다. 그 매를 맞고 나는 새로 태어난다. 그 순간만큼은 내가 나의 주인이다. 자신이 자신의 주인이면 제우스다.

돌아오는 길에 생각하자. 새로워진 나는 누구인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최진석(건명원 원장/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What is Travel?

Traveling is a matter of leaving a familiar place in order to get to an unfamiliar location. But simply leaving a place doesn’t necessarily make it a travel experience. When you randomly roam about a place, the experience involves a succession of meaningless stimuli. Travel is more than that—it’s a matter of swapping one kind of stay for another. Through the paradoxical act of leaving in order to stay, the traveler—the great hero of the journey—is reborn as a special, unique being.

Text by Choi Jin-Seok

Stagnant water goes foul. Things that are too familiar become stagnant. Familiarity is therefore a chronic illness that can destroy people. The only way to cure this illness is to leave. That’s how travel begins.

The self that becomes too familiar to itself can lose its identity because it can no longer attract its own attention. A being that is invisible to itself is a being that ceases to exist. Only the self that stays visible to itself can preserve its identity. But to attract attention, it has to maintain a measure of unfamiliarity. We can surmise that the unfamiliar self is a true self.

An evolving being must be able to produce new and unfamiliar situations for itself. The best way to put oneself into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create new and unfamiliar experiences is to travel. Traveling is ultimately a necessary experience if the self is to continue its existence.

Blunted curiosity must be revived in the ‘de-familiarized self.’ When you make yourself unfamiliar by leaving a place, you begin to see. The curious person sees without judging. When people get absorbed in judging, they become sick.

The spirit of travel lies in this act of seeing. That which judges is not the true self, but the part of the self which connected to memories, concepts, and knowledge. The judging doesn't make you who you are, but the seeing does. The act of seeing can keep one involved in the things experienced for a long time, which is a great thing. In the film Avatar, when the Na’vi people approach someone with wonder or love, they say “I see you.”

Unfamiliarity and seeing are variations on leaving and staying. Travel straddles the boundary between staying and leaving, but when the two acts become one, they have a huge impact on us. In that moment, we are born again, we become our own masters. And to be your own master is god-like.

Think about it on your way home: Who shall be the new me?

--------------------------------------------------------------------------------------

Choi Jin-Seok is head of the Gunmyungwon, a training center for talented students comprising the greatest scholars in Korea, and Professor Emeritus in the Philosophy Department at Sogang University. He is actively engaged in writing and lecturing about life, providing wise and humanistic 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