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적 기능은 언어, 수리, 추론, 획득한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사고 전략을 말한다.
이 기능은 언어적, 비언어적, 고차적 사고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타인지적 기능은 학습하는 방법에 관한 기능, 자신의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를 인지하는 능력을 포함
자신의 ‘사고에 대한 사고’를 할 수 있는 기능
자기 자신의 학습과 사고 과정을 깨닫게 되면 구체적인 학습 기법을 다른 상황에 의도적으로 적용
(i) 계획 단계에서 학습자는
' 이 주제에 대해 내가 무엇을 알고 있는가?',
'내가 이전에 이런 과제를 수행한 적이 있었는가?',
'지난번에는 어떤 전략이 효과가 있었는가?'와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수 있습니다.
(ii)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학습자는
'나는 어떻게 지내고 있나요?',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다른 전략을 시도해야 할까요?'라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iii) 성과를 평가할 때 학습자는
'내가 얼마나 잘했는가?',
'내가 기대했던 결과를 얻었는가?',
'아직도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있는가?',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었는가?'
다음에는 다르게 할래?' 라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지적, 사회적 기술의 결함에 대한 통찰력
자신의 무능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다양한 학습 상황의 과제와 맥락에 대해 생각하고 이러한 다양한 맥락에서 학습자로서 자신을 생각
공감 / 자아 효능감 / 협력 / 인내심 / 자기조절 능력 / 책임감 / 호기심 / 정서적 안정
사회정서적 기능은 학업환경에서 성공적인 참여와 수행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사회정서적 기능이 부족하면 인지적 기능 사용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사고, 감정 및 행동의 지속적인 패턴에서 드러나는 개인적 정서 능력이다.
정서 능력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개발하고 가정, 학교, 직장 및 사회에서 그들의 관계성을 쌓고 그들의 공공의 책임성을 실천하게 한다.
공감과 같은 사회정서적 기능은 타인의 '관점 수용' 능력과 같은 인지적 기능을 필요로 한다.
교실과 직장에서 인종, 문화 언어가 다양해지면서 공감, 자각, 타인에 대한 의사존중과 같은 사회정서적 기능이 필수
새로운 정보 이용 / 의사소통 기술 / 기기를 사용하는 능력
[신체적 기능]
실제 도구, 작동 방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은 정보통신기술 기기와 새로운 기계를 사용하는 능력, 음악 악기 연주, 수공예품, 스포츠 놀이와 같은 작동 기능(manual skills), 옷을 잘 갖추어 입고 음식과 음료를 준비하고 자신을 청결히 하는 것과 같은 생활 기능, 체력, 근력의 유연성, 원기(stamina)를 관리하는 능력
[실제적 기능]
특정 결과를 얻기 위해 대상 물질, 도구, 기구, 예술 작품을 사용하고 다루는 데 요구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