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주도성은 개인의 성격 특성이 아니다.
주도성은 타인과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관계적 과정(relational process)이다. 주도성은 변화하는 사회적 맥락에 간직되어 있는 역동적이고 관계적 과정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학습은 사회적 관계가 없는 상황(social vacuum)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학생주도성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순응성이 있으며 학습 가능한 것이다.(성장 마인드셋)
학생들이 주도성을 실행하고 잠재 능력을 실현하려면 성인으로부터 도움과 안내가 필요하다.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동떨어져 모든 것을 혼자의 힘을 해내는 것이 아니다.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예) 다른 사람에게 지원을 제공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능력이 요구된다.(Seeking help is part of agency)
주도성의 핵심 특징은 변화하는 시간 속에서 학습자가 자발적 개발(self development), 적응(adaptation), 새로운 것의 추구(renewal)가 있어야 한다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계획(initiative),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각(awareness), 목표 설정(setting goal), 자기조절(self-regulation), 인내(perseverance)가 있어야 한다.
주도자(agent)가 된다는 것은 의도성을 가지고 행동하는 능력과,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며 그 사회에서 생산물(product)이면서 동시에 생산자(producer)가 되는 것이다.
학생 주도성은 학생 자율성, 학생의 주장, 학생 선택권과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