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 9단원 | 4차시 구성
[활동 내용]
인터넷에서 마음에 드는 동시 검색하고 감상하기
겪은 일이나 대상을 정해 느낌 떠올리기
생각이나 느낌을 시로 표현하기
내가 쓴 시 읽어보고 고쳐쓰기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게 시 낭독하기
친구의 낭독 감상하고 소감 나누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마음에 드는 동시 검색하고 감상하기
내가 쓴 시 패들렛에 공유하기
음성녹음 기능 이용하여 동시 낭독 녹음하고 공유하기
친구의 낭독 감상 및 감상평 남기기
[수업 흐름]
1차시 : 검색 도구를 사용해 다양한 동시 작품을 찾아 감상하고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2차시 : 자신이 겪은 일이나 대상을 정해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게 동시를 창작한다.
3차시 :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게 동시를 낭독하여 패들렛에 게시한다.
4차시 : 패들렛에 공유된 친구들의 낭독을 감상하고 소감을 남긴다.
수학 | 3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모둠별 그래프로 표현할 조사 주제 정하기
조사를 위한 설문지 작성하고 공유하기
조사 결과 그래프로 발표 자료 만들고 발표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온라인 설문지 작성하기 (소프트웨어의 융합적 활용)
조사 결과 클라우드 문서로 작성하기 (클라우드에 조사 결과 작성 및 공유)
[수업 흐름]
1차시 : 모둠별 주제를 정한 후, 조사를 위한 항목을 정리하여 구글 설문지를 제작한 후 공유한다.
2차시 : 구글 설문지 결과 그래프를 구글 프레젠테이션으로 정리하고 이를 해석하여 발표한다.
사회 | 3단원 | 4차시 구성
[활동 내용]
11월 11일과 관련된 뉴스 찾아보기
네이버 데이터 랩을 통해 빼빼로 데이와 가래떡 데이의 관심도 알아보기
가래떡 데이를 홍보할 수 있는 방법 생각하기
나만의 홍보 방법 발표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11월 11일 관련 뉴스 검색 (디지털 자료 수집 및 문제 파악)
네이버 데이터 랩으로 관심도 검색 (디지털 자료 저장 및 분해)
빼빼로 데이와 가래떡 데이 관심도에 따른 홍보 방법 떠올리기 (데이터의 판단)
나만의 홍보 방법 발표 (디지털 문제 해결)
[수업 흐름]
1차시 : 정보화로 달라진 일상생활의 모습을 알아보고,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정보를 어떻게 사용할지 이야기를 나눈다.
2차시 : 인터넷 포털 사이트(네이버 등)에서 빼빼로데이와 가래떡 데이와 관련된 뉴스를 검색하고 관련된 문제를 파악한다.
3차시 : 네이버 데이터랩을 이용하여 관련 주제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을 패들렛에 업로드한다.
4차시 : 학급원들과 서로 공유한 문제 해결 방법을 평가하고 성찰하여 해결 방법을 미술 작품으로 표현하여 완성한다.
과학 | 1단원 | 1차시 구성
[활동 내용]
지층의 생성 과정을 살펴보고, 지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하기
AR, VR 활동자료를 캡처하여 지층의 생성 과정 온라인 보고서 만들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AR, VR 자연관찰 콘텐츠로 지층의 생성 과정 살펴보기 (소프트웨어 활용)
AR, VR 활동 내용 캡처 후 공유 (캡처 기능 활용, 패들렛에 이미지 공유)
디지털 보고서 제작 (보고서 제작에 필요한 디지털 자료 수집, 디지털 의사 표현)
[수업 흐름]
1차시 : 지층의 생성 과정을 관찰하고 과정을 설명한 뒤, AR앱 활동 과정을 캡처하여 온라인 보고서를 만든다.
과학 | 3단원 | 4차시 구성(총 11차시 과정 중 디지털 리터러시 과정은 4차시)
[활동 내용]
그림자극, <뉴욕뉴욕>보기 - 그림자극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활동 개관
그림자극 준비하기 (스토리 만들기, 소품 만들기)
그림자극 동영상 촬영 및 편집, 밴드에 탑재하기
그림자극 동영상 감상하고 평가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그림자극, <뉴욕뉴욕> 바른 자세로 보기 (유튜브)
그림자극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활동 개관 (유튜브 자료 활용)
그림자극 준비하기 (스토리 만들기, 소품 만들기)
그림자극 동영상 촬영 및 편집, 밴드에 탑재하기 (스마트폰, 동영상 편집앱, 네이버밴드)
그림자극 동영상 감상하고 평가하기 (네이버 밴드 댓글)
[수업 흐름]
1, 2차시 : 재미있는 동물 그림자 만들기, D 그림자극 보기, <그림자극 만들기> 프로젝트 활동 개관 안내, 프로젝트 팀 구성하기
3차시 : 그림자가 생기는 조건 알아보기, 그림자극 주제 정하기
4차시 : 불투명한 물체와 투명한 물체의 그림자 차이 이해하기, 물체 모양과 그림자 모양이 비슷한 까닭 생각해보기
5차시 : 그림자 크기 변화 요인 살펴보기, 그림자극 역할분담, 스토리 다듬기
6차시 : 거울에 비친 모습과 실제 모습의 차이 알아보기, 거울에 부딪힌 빛의 반사 살펴보기
7차시 : 생활에서 거울의 이용 상황 발표하기, 단원 정리, 그림자극 스토리 다듬기
8, 9차시 : 빛을 이용한 재미있는 놀이(1), 그림자극 소품, 준비물 만들기, 무대에서 연습하기, 촬영 연습하기
10, 11차시 : 빛을 이용한 재미있는 놀이(2), 동영상 편집하는 방법 배우기, 그림자극 연습 후 실제 하기, 촬영하기, 편집하기, 편집한 동영상 밴드에 올리기, 밴드에 올린 그림자극 감상, 소감 나누기, 단원 정리
영어 | 8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음식을 권하고 이에 답하는 문장 듣고 따라 읽기
음식을 권하는 표현 듣고, 그림에 알맞은 메뉴 선택하기
그림에 알맞은 낱말 연결하고 쓰기
친구와 기본 표현 묻고 답하기
여러 나라의 음식 사진 찾기
음식 사진으로 친구와 음식 권하는 표현 묻고 답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음식을 권하는 표현 듣고, 그림에 알맞은 메뉴 선택하기 (디지털교과서)
그림에 알맞은 낱말 연결하고 쓰기 (디지털교과서)
여러 나라의 음식 사진 찾기 (디지털 자료 검색 및 수집)
패들렛(오디오 레코더) 활용하여 친구와 묻고 답하기 녹음하기
친구와 음식 사진 교환하기 (태블릿 NFC 기능 활용)
[수업 흐름]
1차시 : 음식을 권하는 기본 표현을 익히고, 패들렛(오디오 레코더)을 활용하여 친구 기본 표현 묻고 답하기를 한 후 오디오 파일을 패들렛에 업로드(upload)한다.
2차시 : 여러 나라의 음식 사진을 검색하여 태블릿에 저장하고, 친구와 음식 권하는 표현을 묻고 답한 후 해당 사진을 태블릿 NFC 기능을 활용하여 교환하고 발화 활동이 모두 끝난 후 자신이 모은 음식사진을 패들렛에 업로드(upload)하고 활동 소감을 이야기 한다.
미술 | 3단원 | 3차시 구성
[활동 내용]
주제 정하기
사진 찍기
디지털 협업도구로 사진첩 만들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표현하고 싶은 사진첩 기획 (디지털 콘텐츠 기획)
사진 촬영 및 선택 (디지털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 선택)
디지털 협업도구로 사진첩 편집 및 제작 (문서, 사진, 이미지, 음성, 영상 등 편집 및 제작)
[수업 흐름]
1차시 : 모둠별로 디지털 사진첩에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결정하고,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내용과 촬영장소, 모둠원의 역할을 정한다.
2차시 : 사진 촬영 방법을 익혀 모둠별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사진을 촬영하고, 표현 주제에 적합한 사진을 선택한다.
3차시 : 북크리에이터로 편집하여 모둠별 디지털 사진첩을 완성한다.
음악 | 1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악기소리 듣고 어떤 악기인지 맞추는 게임하기
노래에 나오는 리듬꼴을 리듬 음절로 익히기
‘크롬뮤직랩-리듬’으로 리듬 만들고 합주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크롬뮤직랩-리듬’을 활용하여 노래에 나오는 리듬 음절 익히기
‘크롬뮤직랩-리듬’으로 리듬 만들기
‘크롬뮤직랩-송 메이커’ 로 리듬 만들고 패들렛에 공유하기
[수업 흐름]
1차시 : ‘악기소리’를 듣고 어떤 악기인지 맞춘 후 악기를 흉내내는 활동으로 시작한다. ‘리듬 악기 노래’ 를 듣고 노래에 나오는 리듬꼴을 익히는 활동을 실시한다.
2차시 : 디지털도구(크롬뮤직랩-리듬)으로 제재곡의 리듬꼴을 리듬 음절로 표현하는 활동을 실시한다. ‘크롬뮤직랩-송 메이커’ 로 리듬 만들고 패들렛에 공유하는 활동을 실시한다.
체육 | 4단원 | 4차시 구성
[활동 내용]
몸으로 리듬 표현할 노래 정하기
음악에 맞는 동작 구상하고 모둠원과 연습하기
완성된 동작을 발표하고 이를 녹화하기
녹화된 영상을 편집하여 인터넷에 업로드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동작 발표 결과 녹화 (카메라-동영상 녹화 기능 활용)
완성된 동작 편집 (디지털 자료 편집)
동영상 공유 및 성찰 ( 디지털 의사 표현, 디지털 자료 생산 및 공유)
[수업 흐름]
1차시 : 모둠을 구성하고, 동영상 녹화 및 편집/업로드 방법을 설명한다. 모둠원과 함께 몸으로 리듬을 표현할 노래를 선정한다.
2차시 : 각 모둠별로 노래와 함께 연습을 한다.
3차시 : 각 모둠별 발표 시간을 가지면서 동영상 녹화를 진행한다. 각 모둠별로 편집 방향에 대하여 의논한다.
4차시 : 편집을 하고 인터넷에 업로드한다. 다른 모둠의 영상에도 댓글을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