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사회 | 1단원 | 3차시 구성
[활동 내용]
디지털 중심 사회에서 행복한 삶의 조건을 현실 사례에서 분석하기
디지털 중심 사회에서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제안하기
조사 내용을 공익 광고로 만들어 소셜미디어에 공유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디지털 중심 사회에서 행복한 삶의 조건을 위한 현실 사례를 온라인에서 찾아 분석하기
모둠별 분석 내용에 대해 온라인으로 토의하기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소영역별 제안을 공익광고로 만들어 소셜미디어에 공유하기
[수업 흐름]
1차시 : 디지털 중심 사회에서 행복한 삶을 위한 조건을 4가지 소영역(역할)로 나누어 우리나라 또는 지역 사례를 활용해 분석한 내용과 행복도(삶의 질 수준)를 높이기 위한 제안을 정리, 공유한다.
[역할1]: 행복한 삶을 위한 질 높은 정주 환경의 조성
[역할2]: 행복한 삶을 위한 경제적 안정
[역할3]: 행복한 삶을 위한 민주주의의 발전
[역할4]: 행복한 삶을 위한 도덕적 실천
2차시 : 공익 광고 제작과 공유의 의미를 토의하고, 온라인 도구(파우툰) 활용 방법을 익힌다.
3차시 : 온라인 도구(파우툰)를 활용하여 공익 광고를 만들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한다.
통합사회 | 6단원 | 3차시 구성
[활동 내용]
지역 간 공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지역 축제 관련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탐색한다.
홍보할 지역 축제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 관광 계획을 수립한다.
관광 계획을 발표하며 동료들이 가고 싶어 하도록 홍보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지역 특성에 대한 디지털 정보 탐색 및 분석 (정보의 분석과 표현)
지역을 홍보할 수 있는 방법 및 디지털 맵을 통한 관광 상품 만들기(소프트웨어 활용 및 디지털 콘텐츠 생성)
디지털 기기를 통한 팀 협업을 통해 지역 관광 팜플렛을 제작하고 발표하는 과정(디지털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디지털 윤리)
[수업 흐름]
1차시 : 디지털 자료를 기반으로 배정된 지역 내 상품 개발 지역을 선정한다. 이 때, 팀원들은 각자의 관심분야 및 진로희망을 기준으로 개인 역할을 갖고 팀 협업에 임한다.
[역할1] 경제성 분석: 지역내총생산, 산업구조, 주요 기업 등 파악
[역할2] 사회성 분석: 지역 내 인구구조, 교통, 교육 등
[역할3] 자연 환경 분석: 특산물, 기온, 지형, 지리적 특성 등
[역할4] 문화 분석: 지역 내 축제, 지역의 역사, 지역의 위인 등
2차시 : 1차시에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 관광 상품을 기획하고 시각적인 자료로 제작한다. 이 때, 팀원들은 각 자의 역할에 맞게 자료를 조사하고 함께 협업하여 관광의 테마를 결정한 후 발표문을 제작한다.
[역할1] 경제성 분석: 관광 상품의 비용 확인 및 가격 책정
[역할2] 사회성 분석: 이동 수단 확인 및 관광 상품의 사회적 책임 고민하기
[역할3] 자연 환경 분석: 방문할 자연물 확인 및 관광에 배출되는 탄소 줄이기
[역할4] 문화 분석: 지역 내 축제 및 상품의 테마 고민하기
3차시 : 2차시에 제작한 관광 상품 발표하고, 다른 팀과 서로의 생각 나누기
통합사회 | 8단원 | 3차시 구성
[활동 내용]
세계화 시대에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확인한다.- 국제 사회 이슈 중 하나를 선택하고 기사를 탐색한다.
선택한 이슈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외신 기사를 선택하고 번역한다.
두 기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해당 이슈에 대해 발표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국제 이슈에 대한 디지털 정보 탐색 및 분석 (정보의 분석과 표현)
디지털 번역기를 활용한 기사 번역 및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소프트웨어 활용 및 디지털 콘텐츠 생성)
기사 내용을 정리하여 국제 이슈에 대해 발표(디지털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디지털 윤리)
[수업 흐름]
1차시 : 디지털 검색 엔진을 활용하며 팀의 국제 이슈를 선정하고 해당 이슈의 당사국, 원인, 과정, 현 상황에 대해 정리한다.
2차시 : 1차시에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당사국 언론사의 기사를 검색한 후, 번역기로 번역하고 번역이 부자연스러운 부분을 보완한 후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을 나누어 이슈에 대한 발표문을 만든다.
[역할1] 당사국1 사실 판단: 첫 번째 국가의 언론사가 보도하는 사실 관계 확인
[역할2] 당사국1 가치 판단: 첫 번째 국가의 언론사의 가치 판단 확인
[역할3] 당사국2 사실 판단: 두 번째 국가의 언론사가 보도하는 사실 관계 확인
[역할4] 당사국2 가치 판단: 두 번째 국가의 언론사의 가치 판단 확인
3차시 : 2차시에 만든 발표문을 발표하고, 다른 팀의 이슈에 대해 들으며 가치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