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3단원 | 4차시 구성
[활동 내용]
ZEP을 활용해서 우리나라의 세계 자연유산인 제주도 메타버스 만들기
제주도 메타버스에서 매력적인 자연경관을 학습하기
제주도 메타버스의 자연경관 학습 후 ZEP에서 O.X 퀴즈 참여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ZEP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제주도 맵 구성하기 (소프트웨어의 이용과 활용)
ZEP을 활용하여 제주도의 각 지형별 학습 내용 구성하기 (디지털 콘텐츠 기획과 창작)
ZEP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제주도를 여행 및 학습하고 O.X 퀴즈에 참여하기 (디지털 정보와 데이터의 분석)
ZEP상에서 상호 간의 학습활동 진행 시 디지털 예절을 실천하기 (디지털 예절의 실천)
[수업 흐름]
1차시 : 교사가 제주도의 매력적인 자연경관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제주도의 다양한 자연경관을 2인당 1개씩 분배한다. (학생 수가 20명이라면 10개의 자연경관이 분배된다.)
교사가 사전에 ZEP의 제주도 섬을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개별 자연경관으로 이동하는 포털을 만들어 둔다.
2차시 : 학생들은 각자 분배받은 지형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ZEP상에 각자의 자연경관 공간에서 타일과 벽 등을 이용해 자연경관의 모습을 꾸미고 해당 자연경관을 방문하는 학생들에게 해당 자연경관의 특징과 형성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자신의 자연경관을 제작한다. 이때 2인의 학생 중 1명은 ZEP의 맵을 꾸미는 역할을 맡고 다른 1명의 학생은 해당 자연경관의 설명 내용을 구성한다. 1차시에 이어서 각 학생은 분배받은 자연경관을 연속해서 제작한다.
3차시 : 2차시까지 완성된 각 학생의 자연경관을 학생들이 서로 방문한다. 이때 각 자연경관을 만든 2명의 학생 중 1명은 다른 자연경관을 돌아다니며 설명을 듣고 이해하는 역할을 맡으며 남은 1명의 학생은 각자가 완성한 자연경관에 대기하며 방문하는 학생들에게 해당 자연경관의 특징과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역할을 맡는다.
4차시 : ZEP에 만든 중심 섬인 제주도 공간으로 모든 학생이 모인다. 교사는 ZEP의 O.X 퀴즈 기능을 활용하여 분배한 제주도의 매력적인 자연경관에 대한 퀴즈를 실시간으로 출제한다. 퀴즈의 결과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각 학생이 퀴즈를 많이 맞출수록 점수가 높아지며 동시에 각 학생이 담당한 자연경관의 퀴즈에 맞힌 응답자가 많을수록 각 자연경관을 담당한 학생들의 점수가 높아지는 방식이다.
사회 | 5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다양한 종류와 그 피해에 대해 학습하기
유튜브 shorts를 통해 일상의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응 방안 영상 제작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디지털 기기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영상 제작하기 (하드웨어의 이해와 활용)
유튜브 shorts 활용하여 일상의 자연재해 대응 방안 구성하기 (디지털 콘텐츠 기획과 창작)
일상의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 계획 수립하기 (문제 해결 방안 도출)
유튜브 shorts 제작 시 디지털 콘텐츠를 윤리적으로 생산하고 소비 및 공유하기 (디지털 예절의 실천)
[수업 흐름]
1차시 : 일상의 자연재해와 자연재해의 피해를 줄일 방안을 소개하는 1분 이하의 영상을 유튜브 shorts를 통해 제작한다.
2차시 : 다른 학생이 만든 유튜브 shorts 영상을 공유받아 시청하고 내용의 적절성과 디지털 윤리성 두 가지 측면에서 상호 평가한다.
사회 | 9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민주주의를 위한 정부 형태의 종류와 특징 이해하기
각국의 정부 형태와 특징적인 정치 운영 방식 조사하기
각국의 정부 형태를 색 구분을 통해 보여주고, 특징적인 정치 운영 방식 내용을 알려주는 QR 코드를 담아 정보 전달 목적의 지도를 제작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세계 여러 나라의 정부 형태 조사 (디지털 자료 수집 및 선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담은 카드 뉴스와 QR 코드 제작 (자료의 재구성, 디지털 콘텐츠 제작)
[수업 흐름]
1차시 : 모둠별로 조사할 대륙을 배분하고 모둠 내에서 각국의 정부 형태를 조사한다. 조사한 나라 중 특징적인 정치 운영 방식을 심화 조사하여 미리캔버스를 활용하여 카드 뉴스 및 그 링크를 담은 QR 코드를 제작한다.
2차시 : 각국의 정부 형태를 색깔을 달리하여 백지도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나라에 QR 코드를 부착하여 작품을 만든다. 정부 형태마다 해당하는 나라가 얼마나 있는지와 조사한 나라의 정부 형태에 대해 발표하고, 퀴즈를 통해 확인한다.
사회 | 12단원 | 2차시 구성
[활동 내용]
인권의 중요성 이해하기 - 인권 침해 사례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 탐구하기
나와 관련된 인권에 대해 생각해보고 의견 나누기
국가인권위원회의 기능과 역할 이해하기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및 상담 사례 조사하기 (디지털 자료 수집 및 선별)
홍보 자료에 필요한 디자인 구성 및 카드 뉴스 제작하기 (디지털 콘텐츠 제작, 디지털 기획)
[수업 흐름]
1차시 : 모둠별로 역할을 나누어 국가인권위원회 홍보 카드 뉴스 제작을 위한 자료를 조사한다. 조사한 자료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를 구상한다.
2차시 : 미리캔버스를 활용하여 디지털 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카드 뉴스를 제작한다. 작품을 패들렛에 공유하여 발표하고 다른 모둠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 보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