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시간에 퀴즈의 질문 중 하나였죠? 직접프리킥과 간접프리킥의 가장 큰 차이점을 알겠죠?
그렇다면 직접프리킥과 간접프리킥은 어떤 상황에서 주어지고, 구분되는 지 자세히 알아봅시다.
영상을 먼저 시청하고 아래의 내용을 살펴보세요.
상대 선수를 차거나 차려고 시도했을 때
상대 선수를 걸거나 걸려고 시도했을 때
상대 선수를 때리거나 때리려고 시도했을 때
상대 선수를 밀었을 때
상대 선수를 태클했을 때
상대 선수를 붙잡았을 때
의도적으로 볼을 손댔을 때
골키퍼가 자신의 손에서 볼을 놓기 전에 6초를 초과하여 가지고 있는 경우
자신의 손에서 볼을 놓고 다른 선수가 볼을 터치하기 전에 다시 볼을 손으로 터치할 경우
볼이 팀 동료에 의해 골키퍼에게 의도적으로 킥이 된 후 손으로 볼을 터치한 경우
팀 동료에 의해 실시된 스로인에서 직접 볼을 받은 후 손으로 터치한 경우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페널티킥은 어디에 해당이 될까요?
페널티킥이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직접 프리킥에 해당하는 반칙을 한 경우 선언된다.
키커와 골키퍼를 제외한 선수들은 페널티킥 스팟으로부터 9.15미터를 떨어져야 한다.
간접 프리킥에 해당하는 반칙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고 상대편은 벽을 세울 수 있다. 9.15미터를 벌릴 수 없는 경우에는 골라인에서 벽을 세울 수 있다. 토너먼트에서 연장후반까지 무승부가 될 경우 승부차기로 승부를 결정한다.
•볼 전체가 필드를 넘어갔을 때 어느 팀이 코너킥, 골킥 또는 스로인을 판단
•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선수에게 반칙을 선언할 때 (최종판정은 주심이 합니다.)
• 선수 교체 요청이 들어왔을 때
• 페널티킥에서 볼이 킥되기 전에 골키퍼가 골라인을 벗어나 움직였는지 여부
• 볼이 골라인을 넘었는지 여부. 만약 추가 부심이 임명된 경우에는 부심은 페널티 마크와 동일선상에 위치
• 부심의 도움에는 교체 절차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포함
• 부심은 필드로 들어와 9.15m를 조절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실전 경기에서 부심의 움직임을 확인해보세요.
부심의 시선, 깃발을 통한 수신호 등을 주의깊게 관찰하세요.
여러분 영상을 보고 같이 해봅시다.
공은 꼭 축구공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집에 있는 아무 공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혹시나 집에 공이 없다면!? 걱정마세요~!
2번째 영상을 참고해서 하면 됩니다!
오늘 배운 기본기 동작을 영상으로 찍어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제출하기 바랍니다.
수행평가이니 꼭 제출하기 바랍니다.
15점 수행평가
영상 3회 제출 - A
영상 2회 제출 - B
영상 1회 제출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