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와 관련된 영화와 문학 작품을 감상해보고 미디어와 텍스트 속의 명장면, 기억에 남는 인물과 특성, 탁구에 관한 다양한 관점 이해하고 자신의 문화적 소양을 키워요
영화 + 탁구 = 독립영화 탁구공
어둡고 조용하던 세상에 찾아온 기적같은 선물 l 영화 탁구공
귀가 들리는 않는 선천적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 오늘도 아이는 아이들의 괴롭힘에 시달리는 학교를 벗어나 집으로 향한다. 터벅거리며 걷는 아이의 발끝으로 다가온 탁구공. 아이는 톡톡 튀는 탁구공의 모습이 신기하기만 한데...
소설 + 탁구 = 장편소설 핑퐁
왕따들, 라켓 하나로 인류역사를 좌우하다.
빼앗기고 얻어맞기만 하는 왕따 중학생들이 폭력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탁구를 선택한다는 스토리 이면에서, 작가는 소외된 존재들의 동작 하나하나가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면서 은폐된 세계의 부조리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주인공들은 오로지 생존을 위해서 탁구에 길들여진 인류의 대표들과 지구의 운명을 건 마지막 탁구경기를 벌인다. 승자에게는 인류의 유지와 폐기에 대한 선택권이 주어지는데...
만화 + 그림 + 탁구 = 애니메이션 핑퐁
"탁구만이 청춘이었다"
독특한 연출과 넘치는 생동감으로 가득한 핑퐁! 애니메이션
3.하루하루 알아가는 탁구 용어
에지(Edge) : 코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에지·볼(Edge ball) : 볼이 코트의 가장자리에 맞고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유효하다.
엑스피다이트 시스템(expedite system) : 촉진 룰이라고 한다. 1게임이 10분 경과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일단 중지하고 그 게임 및 그 이후에 하게 되는 게임에는 이 촉진 룰을 적용한다. 촉진 룰을 적용하는 방법은 서브한 볼을 리시브하는 선수가 최고 13회 반구 했을 때는 리시브한 쪽의 득점으로 한다. 촉진 룰의 경우 서비스는 한 개씩 한 뒤 교대한다.
엔드(End) : 네트로 양분된 2개의 코트의 각각을 말한다. 또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서비스를 하느냐, 리시브를 하느냐를 가위 바위 보등으로 정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엔드라는 말을 사용한다.
엔드 체인지(end change) : 코트를 바꾸는 것 체인지 앤드와 같다. 한 게임이 끝날 때 또는 매치를 결정하는 최후의 게임 때 쌍방 중 어느 쪽이든 5점을 선취했을 때 앤드 체인지 한다.
엔드라인(endline) : 코트의 뒤쪽 가장자리에 그어진 선으로 양방향으로 무한정 확대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오도독스·러버(Orthodox rubber) : 한 장으로 된 러버를 말한다.
올 라운드·플레이어(All-round player) : 공수에 걸쳐 어떠한 기술이라도 폭넓게 구사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말한다.
인터피어(Interfere) : 상대가 게임을 못하게 하는 방해 행위, 고의적인 방해는 삼가야 함.
인·플레이(In play) :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서, 서비스의 순간부터 득점이 되는 순간까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