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선교사는 자신이 사역하는 나라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BEE 사역을 현지화하여 부형의 단계에서 동역의 단계로 전환한다.
각 선교사는 자신이 사역하는 나라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BEE 사역을 현지화하여 부형의 단계에서 동역의 단계로 전환한다.
현지화를 위해 다음 사항이 준비되어야 한다.
학습서
인도자
사역
행정
재정
현지화를 위해 담당 선교사는 다음의 사항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사역 계획) 모든 그룹은 처음 2년 동안 적어도 DPM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사역계획을 수립한다.
(학습서 번역 계획) 사역 계획과 연계하여 필요한 학습서의 구체적인 번역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재정 계획) 오랜 사역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사역 시작 단계에서 현지인들에게 제공하는 재정은 궁극적인 재정적 현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담당 선교사는 재정적 현지화를 염두에 두고 재정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즉, 사역을 현지화했을 때 현지인들이 담당할 수 있는 재정을 고려해야 한다.
올바른 학생 선발은 현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학생을 선발한다.
1세대: 현지화를 염두에 두고 40%는 사역자가 될 수 있도록 선발한다.
2세대 이상: 10%는 사역자가 될 수 있도록 선발한다.
본부가 사역비를 지원하는 버스나 기차 등의 공공교통수단을 이용한 인도자의 이동 시간과 그룹당 최소 학생수는 다음과 같다.
1시간 이내: 2명
1-3시간: 6명
3시간 이상 또는 항공기 이용: 10명
현지인 선교사가 2/3세계 출신으로 자체적으로 후원금 모금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정 사례비를 지불한다. 이는 현지에서 사역하는 선교사가 모금하도록 한다.
정의
기본 사례(Base Salary[BS]): 그 지역 목회자의 평균 사례비를 고려하여 책정
세미나 수당(Incentive[I]): 세미나를 마칠 때 마다 받는 수당(수당[Incentive, I] = BS의 10%이하로 정한다.)
지부 선교사 생활비
정 선교사: BS만 받는 경우(100%*BS), 세미나 수당을 받는 경우(80%*BS+I)
준 선교사: BS만 받는 경우(50%*BS), 세미나 수당을 받는 경우(40%*BS+I)
본부지원
BS = min(BS/2, $150)
I = min(I/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