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이 도덕적 이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은 EEG 데이터를 통해 도덕을 감각 가능한 형태로 물리 공간에 재현하려 했던 시도이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는 자율주행차나 가상현실의 윤리 문제가 기존에는 증명하지 않아도 되었던 인간의 고유 개념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라고 이해하였다.따라서 본 작업을 통해 도덕을 나름대로 규정해보고, 그것이 가상현실에서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 확인해본다.
이를 위해 도덕적 이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감각, 경험이 도덕적 이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공감능력과 친사회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VR 컨텐츠를 모션 캡쳐, 페이셜 캡쳐, 언리얼 엔진 등을 사용해 제작하였다. VR로 체험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동시에 공감능력, 친사회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뇌파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작품화하고 추후 추가적 연구를 통해 논문화하였다.
An experiment on the effects of VR’s Moral Disengagement' was an attempt to physically manifest morality in a tangible form in physical space using EEG data. Ethical issues of emerging technologies like autonomous vehicles and virtual reality can be understood as errors in defining human intrinsic concepts, which previously did not require validation. Through this work, an attempt was made to define morality in its own terms and explore the essential differences it creates in virtual reality.
To achieve this, research on moral disengagement was conducted, exploring the impact of sensations and experience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on moral disengagement. Using motion capture, facial capture, and Unreal Engine, VR content capable of measuring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studies. The experiment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o experienced VR and those who did not, while also measuring and analyzing brainwaves correlated with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These findings were then transformed into an art piece and further developed into a paper through addition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