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음료수가 더 시원할까?(10개, 6개, 8개)
(복습)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무엇일까?
열! 열 흡수(융해, 기화, 승화), 열 방출(응고, 액화, 승화)
열을 흡수하는 데도 온도가 오르지 않을 수 있을까?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해석하여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을 찾을 수 있다.
탐구1.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의 온도 변화
물이 얼 때
물이 녹을 때
(실험토의)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의 온도 변화 실험을 하면서 알게 된 점은?
물의 어는점과 녹는점이 0°C로 같다는 것
어는점과 녹는점이 같다.
소금과 얼음만 있어도 물이 언다는 것
온도가 큰 폭으로 작은 폭으로 움직이고, 얼음이 어는 것에 대한 것
어는 점, 녹는 점이 있어서 얼거나 녹을 때 온도가 변하지 않는 때가 있다.
(실험토의)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의 온도 변화 실험을 하면서 궁금했던 점은?
불은 고체,기체,액체 중 무엇인가요?
소금이 왜 물이 응고되는 것을 더 빨리 진행하는 이유가 궁금했어요.
소금을 넣으면 무슨 원리로 물이 얼까?
드라이 아이스를 넣고 실험하면 어떻게 될까..
시험관에 있는 투명한 물이 비커 벽에 닿으면서 갑자기 하얘지고 어는 게 어떻게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왜0.5돈데 얼음이 얼까?
실생활 속의 예
1. 물이 어는 온도는?
0 ℃
2. 물이 녹는 온도는?
0 ℃
3.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구간이 있는가? 왜 온도가 변하지 않는가?
있다. 상태가 변하는 동안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 왜??
1. 상태 변화와 온도변화
가. 물질의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에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나.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 ____에서____로 될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
2. 상태 변화와 가열곡선, 냉각곡선
p.179 해보기: 에탄올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자료 해석하기
액체가 응고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를 ( )이라 하고, 고체가 융해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를 ( )이라고 한다.
어는점, 녹는점
2. 녹는점이 -97.8 ℃, 끓는점이 64.7 ℃인 어떤 물질이 있다. 25 ℃에서 이 물질의 상태는 무엇인가?
액체 상태, 25 ℃가 이 물질의 녹는점보다 높으므로 융해가 일어나고, 끓는점보다는 낮으므로 기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25 ℃에서 이 물질은 액체 상태이다. (이 액체는 메탄올이다.)
3. 176쪽 탐구 ①에서 물의 양을 늘려 동일한 실험을 한다면 물의 어는점은 어떻게 변할까? 또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물의 양을 늘려도 물의 어는점은 0 ℃로 같다. 탐구 1 에서 물이 완전히 어는 동안 0 ℃가 유지되었으므로 물의 양이 늘어나도 물이 얼 때까지는 같은 온도가 유지될 것이다.
물의 양에 상관없이 물이 어는 동안에는 열에너지가 방출되므로 계속해서 냉각을 해도 온도가 낮아지지 않고 물이 완전히 얼 때까지 0 ℃로 유지되는 것이다. 즉, 물질의 양이 늘어나도 어는점은 변하지 않고 완전히 어는 데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다.
[4,5] 다음 그래프는 얼음의 가열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4. 각 구간의 물질의 상태를 쓰시오.
(가):
(나):
(다):
(라):
(마):
5. 위 그래프의 (나) 구간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까닭을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