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초의 굳은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까닭은 무엇일까?
상태 변화 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탐구1. 아세톤의 상태 변화에 따른 질량과 부피 변화
질량변화
부피변화
질량변화
부피변화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세톤의 상태가 변할 때 입자 배열의 변화를 입자 모형으로 나타내 보자.
1. 상태 변화에 따른 성질, 질량, 부피 변화
가.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물질을 이루는 입자의 ( 종류, 크기, 개수 ) 등은 변하지 않고, ( 입자배열 )만 달라진다.
나. 성질, 질량 그대로(입자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
다. 부피변화(입자배열이 달라지기 때문)
2. 상태 변화에 따른 입자 배열의 변화
일반적으로 융해, 기화, 고체에서 기체로의 승화가 일어날 때는 입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부피가 늘어난다.
응고, 액화, 기체에서 고체로의 승화가 일어날 때는 입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부피가 줄어든다.
1. 물질의 상태가 변해도 ( 질량, 부피 )은(는) 변하지 않는다.
질량
2. 물질의 상태 변화 중 부피가 늘어나는 경우를 모두 쓰시오.
융해, 기화, 고체에서 기체로의 승화(단, 물은 제외)
3. 우리 선조들이 금속 활자를 만들기 위해서 글자 모양의 주조 틀에 금속을 녹인 액체를 부어 굳혔다. 원하는 크기의 금속 활자를 얻으려면 주조 틀의 글자 크기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설명해 보자.
액체에서 고체로 응고할 때는 부피가 줄어든다. 녹인 금속이 주조 틀에서 굳을 때는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주조 틀의 크기는 만들려는 금속 활자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야 한다.
4. 다음 그림은 어떤 물질의 상태 변화를 입자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1) 위 모형으로 나타내는 상태변화는 무엇인가?
(2) 위 모형이 나타내는 상태변화의 예를 한가지 쓰시오.
5. 다음 중 입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변하는 상태 변화는?
① 나프탈렌의 크기가 작아진다.
② 드라이아이스의 크기가 작아진다.
③ 라면을 계속 끓이면 국물의 양이 줄어든다.
④물을 냉동실에 두니 얼음이 되었다.
6. 물질을 가열하면 물질을 이루는 입자의 운동이 ①( )해지고, 입자 사이의 거리가 ②( ) 져, 부피가 ③( )한다.
교과서 174풀이
https://seoultu3.padlet.org/SunnyLee/gfj2ukqvxaym5o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