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빛과 파동 1. 빛
01. 물체를 보는 과정
연구에 따르면 13세 정도에 추상적인 사고가 시작된다고 함
빛에 대한 학습은 이 시기 학생들의 사고발달에 적합하다고
빛은 구체적이면서도 매우 추상적인 존재
본인의 경험과 과학의 설명을 연결시켜 보기
빛을 표현하는 방법
빛을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빛의 특성
광선추적법
한 쪽 눈을 가리고 못의 위치를 맞힐 수 있을까?
못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시선의 개수는 최소 몇 개일까?
빛의 법칙송
빛의 성질송
□ 물체를 보는 과정에서 빛의 경로를 표현할 수 있다.
내가 사과를 보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자. 빛을 화살표로 나타내어 진행 방향이 드러나도록 한다.
< 해보기 > 물체를 보는 과정 표현하기(p.192)
전등을 볼 때와 책을 볼 때 각각 빛의 경로를 화살표로 그리고, 전등과 책을 보는 과정을 글로 표현해 보자.
1 |빛의 직진|
광원 : 빛을 내는 물체 레이저, 태양, 반딧불이
빛의 직진 : 광원에서 나온 빛이 모든 방향으로 곧게 나아가는 현상
빛의 직진 현상
그림자가 생기는 이유는 빛의 직진 때문이다.
빛이 직진하기 때문에 바늘구멍사진기의 상은 상하좌우가 뒤바뀐다.
2 |물체를 보는 과정|
물체를 본다는 것은 빛 이 눈 에 들어왔다는 뜻
광원에서 나온 빛, 혹은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서 반사 되어 눈으로 들어오면 물체를 볼 수 있다.
광원을 보는 과정: 광원에서 나온 ( ) 이 우리 ( )에 들어오면 광원을 볼 수 있다.
광원이 아닌 물체를 보는 과정: 광원에서 나온 ( )이 물체에서 ( )되어 ( )에 들어오면 물체를 볼 수 있다.
◀ 촛불에서 나온 빛이 눈에 들어와 촛불을 본다
◀ 햇빛이 책에서 반사된 후 눈에 들어와 책을 본다.
1.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를 ( )이라고 한다.
2. 낮에 자동차를 볼 수 있는 까닭은 햇빛이 자동차에서 ( )된 후 ( )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3. <과학적 사고력> 스마트 기기의 화면 (가)를 볼 때와 테두리 (나)를 볼 때 빛의 경로를 설명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