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은 한 가지 상태로만 존재할까?
물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상태 변화가 일어나도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음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 주변에서 상태 변화의 예를 찾을 수 있다.
1. 물질은 한 가지 상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 )라고 한다.
상태 변화
2. ( )란? 물질의 상태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현상
( )란? 물질의 상태가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현상
기화, 액화
3. ( )란? 물질의 상태가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현상
( )란? 물질의 상태가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는 현상
융해, 응고
4. ( )란? 물질의 상태가 고체에서 액체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변하는 현상
( )란? 물질의 상태가 기체에서 액체를 거치치 않고 고체로 변하는 현상
승화, 승화
5.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물질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까닭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물질을 이루는 입자 자체는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1. 물질의 상태가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것을 ( )라 하고, 고체에서 액체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변하는 것을 ( )라고 한다.
융해, 승화
2.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서 얼어 있던 빨래가 마르는 것과 관련 있는 상태 변화는 무엇인가?
승화
3. 음료 용기로 사용하는 금속 캔의 재활용 과정을 상태 변화로 설명해 보자.
금속 캔을 융해시킨 다음 덩어리로 만들고(응고), 이 금속 캔 덩어리를 다시 녹여(융해) 용도에 맞는 캔을 만든다(응고). 이처럼 캔의 재활용은 응고와 융해를 활용한다.
얼음물이 든 유리컵의 바깥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까닭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기 중의 물방울이 기화된 것이다.
② 공기 중의 물방울이 액화된 것이다.
③ 공기 중의 수증기가 기화된 것이다.
④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화된 것이다.
⑤ 컵 안에 들어 있는 얼음이 융해된 것이다.
다음 그림은 물이 들어 있는 주전자를 가열할 때 물이 끓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위 (가)~(다)에서 물의 상태를 쓰시오.
(가): (나): (다):
https://seoultu3.padlet.org/SunnyLee/g89hscswksiqbc91
https://seoultu3.padlet.org/SunnyLee/3wk1xz7ossgseblv
https://seoultu3.padlet.org/SunnyLee/6opbjbqbv6i21tw4
https://seoultu3.padlet.org/SunnyLee/rymfh4wmf2lye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