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을 분류하는 목적과 분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차림표를 알아보기 쉽게 만들려면 먼저 기준을 정하고, 기준에 따라 공통점을 지닌 음식끼리 나누어 정리해야 한다. 이처럼 어떤 것을 기준에 따라 나누는 일을 분류라고 하는데, 지구의 다양한 생물도 기준을 정하여 분류할 수 있다. 생물을 분류하면 생물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어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생물을 분류할 때에는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정하거나 사람의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생물을 사람의 편의에 따라 사람이 키울 수 있는 것,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 등을 기준으로 정하여 분류하면 분류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과학에서는 생물을 몸의 구조, 광합성 여부, 번식 유전자 방법, 유전자 등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정하여 분류한다.
1. 실험: 가상 생물 분류하기 p.101
가상생물 분류하기 잼보드
⑴ ( ) : 공통점과 차이점에 따라 무리지어 보는 것
⑵ 생물을 분류하는 목적: 생물을 분류하면 생물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어 생물 ( 다양성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⑶ 생물 분류 기준:
① 사람의 편의에 따른 기준: 사람이 키울 수 있는 것,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 등
➡ 분류하는 사람에 따라 분류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과학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지 않는다.
② 생물 고유의 특징에 따른 기준: 몸의 구조, 광합성 여분, 번식 방법, 유전자 등
➡ 분류하는 사람에 관계없이 분류 결과가 같기 때문에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된다.
기준 을 정하여 비슷한 생물 끼리 무리지어 나눈다.
생물 고유의 특징 을 관찰한다. → 공통점 과 차이점 을 찾는다. →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분류기준 을 정한다. → 분류 기준에 따라 공통점 을 지닌 생물끼리 무리를 지어 나눈다. → 이러한 과정을 반복 한다.
1. 생물을 ( )하면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과학에서는 생물을 광합성 여부, 유전자 등 ( )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3. <과학적 사고력> 식물을 약의 재료로 쓸 수 있는 것과 쓸 수 없는 것으로 분류한 것은 과학적인 생물 분류라고 할 수 없다.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2) 생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물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② 분류를 통해 생물이 다양해진 과정을 알 수 있다.
③ 분류를 통해 생물 사이의 가깝고 먼 관계는 알 수 없다.
④ 과학에서는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생물을 분류한다.
⑤ 사람의 이용 목적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것은 과학적인 생물분류라고 할 수 없다.
(참고)
3) 다음 중 과학적 분류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척추가 있는 동물과 없는 동물
② 뿌리가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
③ 생김새가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④ 꽃이 피는 식물과 피지 않는 식물
⑤ 날개가 있는 동물과 날개가 없는 동물
4) 다음 중 과학적 분류 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몸집이 크다.
② 광합성을 한다.
③ 세포에 핵이 있다.
④ 꽃이 피어 씨를 맺는다.
⑤ 몸이 균사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