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은 왜 다시 펴졌을까?
냉장고에 넣어둔 페트병이 찌그러지는 것, 햇빛에 놔 둔 과자 봉지가 부풀어 오르는 것, 이건 모두 같은 이유일까?
그림의 플라스크를 따뜻한 물에 넣으면 물방울은 어느 쪽으로 움직일까?
찬 물에 넣으면 어느 쪽으로 움직일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적어보자.
20℃의 풍선을 가열하여 80℃로 변화시키면 풍선의 부피는 증가한다. 풍선 속 입자가 보인다고 가정하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입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다음 그림과 같이 표현하였다.
1. 각 모형의 문제점을 적어보자.
영희 -
철수 -
순이 -
2. 기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설명해보자.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관찰하고,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를 입자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실생활의 예를 찾을 수 있다.
탐구 ①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
–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관찰
탐구 ②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
–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자료 해석
다음은 공기 75.0 mL가 들어 있는 주사기의 마개를 막은 다음, 20 ℃의 물이 들어 있는 비커에 넣고 물의 온도를 변화시켰을 때 주사기 속 공기의 부피를 측정한 결과이다.
온도가 20 ℃ 높아질 때 기체의 부피는 얼마나 증가하는가?
탐구정리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
1. 기체의 온도를 높였을 때 주사기에 들어 있는 기체를 입자 모형으로 나타내 보자.
2. 기체의 온도와 부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 보자.
(핵심어: 온도, 부피, 입자 운동, 충돌)
탐구 ③오줌싸개인형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일정한 압력에서 일정한 양의 기체의 온도를 높이면 기체의 부피가 ( 늘어나고 ), 기체의 온도를 낮추면 기체의 부피가 ( 줄어든다 ).
기체의 온도와 부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온도가 높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일정한 비율로 감소한다.
스스로 확인하기 p.149
1.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에 작용하는 온도가 커지면 기체의 부피는 (줄어든, 늘어난)다.
2. 일정한 압력에서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 입자가 ( )하게 운동하여 용기 벽면에 약하게 충돌하므로 기체의 부피가 줄어든다.
3. <과학적 사고력> 냉장고에 보관했던 달걀을 바로 삶으면 달걀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그 까닭은 무엇인지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로 설명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