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면거울에 생기는 상의 위치를 말할 수 있다.
□ 평면거울에 상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첫시간 돌아보기)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이해 필요한 시선의 수는 최소 몇개 인가?
모눈 종이 가운데에 거울을 세우고, 거울 앞 10cm위치에 못을 세워놓는다.(종이에 거울과 못의 위치를 표시해 놓는다.)
2. 한쪽 눈을 가리고, 몸을 탁자 높이로 낮춘 후, 거울 속에 보이는 못(이것을 “상”이라고 한다)을 본다.
3. 눈의 위치를 바꿔가며 ‘못의 상’의 위치를 찾고, 그 위치에 두 번째 못을 놓는다.
4. 시선을 바꿔가며 두 번째 못의 위치가 ‘못의 상’의 위치가 맞는지 확인한 후, 종이에 ‘못의 상’의 위치를 표시한다.
5. ‘못의 상’은 거울의 앞에 있는가, 뒤에 있는가, 표면에 있는가?
‘못의 상’의 위치에 대해 알아낸 것을 설명해보자.
1) 실험에서 얻은 종이에는 못, 거울, 상의 위치가 그려져 있을 것이다. 맞게 그려져 있는지 짝과 비교하며 확인해보자.
2) 실험에서 눈의 위치를 바꿔가며 상의 위치를 알아보았다. 각각의 눈의 위치와 상, 실제 못을 어떻게 연결하면 좋을까? 실제 못에서부터 거울까지 빛이 지나간 경로를 그려보자.
눈은 상을 보고 있다.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빛은 거울을 뚫고 지나갈까? 그 빛은 어디에서 왔을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빛의 경로를 그려보자. 빛이 움직인 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선에 화살표(→--)를 그려 넣자.
지금까지 그린 선들을 기초로, 빛이 거울에서 반사될 때, 어떤 원칙을 따르는지 말할 수 있을까?
평면거울에 상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평면거울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5cm이면 이 거울과 상 사이의 거리는 얼마인가?
2. 물체의 한점에서 나온 빛이 평면거울에 반사된 후 눈으로 들어올 때 반사 광선의 연장선이 만나는 곳에 ( )이/가 생긴다.
3. <과학적 사고력> 모눈종이 위에 평면거울을 수직으로 세우고 글자 ‘곰’을 그림과 같이 썼다. 거울에 비친 상은 어떤 모양인지 써 보자.
2개의 거울이 만드는 상의 갯수는?
아래는 지난 과학축제(5/31)에서 학생들이 만든 PPT에 있던 내용이다. 만화경은 어떻게 수많은 상을 만들어 내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