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단원을 배우면
□ 여러 가지 거울에 비친 상을 관찰하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거울 : 표면에서 빛을 ______시켜 물체의 상을 만드는 도구
(2) _____ :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
(3)거울의 종류: ______ , ______ , ______
나란한 빛을 거울에 비출 때 반사하는 모습
평평한 평면거울, 면이 볼록하게 나온 볼록거울, 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거울
거울마다 상이 생기는 모습이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기억하자!
거울 앞에 물체를 놓고,
물체를 거울과 가까이 할 때와
거울에서 멀리 할 때 나타난 상을 관찰하고 그린다.
(탐구) 다음 사진을 보고 답하세요. 어느 것이 볼록 거울일까요?
거울 가까이에서 본 모습
거울 멀리에서 본 모습
거울 가까이에서 본 모습
거울 멀리에서 본 모습
1 |볼록 거울에 의한 상|
⑴ 볼록 거울에 의한 상: 실제 물체보다 작고 바로 선 상
⑵ 볼록 거울의 특징
① 볼록 거울에 나란한 빛이 부딪치면 넓게 퍼져 나아간다. ➜ 빛을 퍼지게 한다.
② 평면거울보다 넓은 곳을 볼 수 있다. ➜ 시야가 넓어 진다.
⑶ 볼록 거울의 이용
축소해서 더 넓은 곳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한다.
2 |오목 거울에 의한 상|
⑴ 오목 거울에 의한 상
①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 실제보다 작고 거꾸로 선상
②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 때: 실제 물체보다 크고 바로 선 상
⑵ 오목 거울의 특징
① 오목 거울에 나란한 빛이 부딪치면 한 점에 모인다. ➜ 빛을 모이게 한다.
⑶ 오목 거울의 이용
▲ 화장 거울 확대해서 자세히 보고 싶을 때,
▲ 성화 채화 거울 돋보기처럼 빛을 모으고 싶을 때,
▲ 자동차의 전조등 빛을 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고 싶을 때,
여러 가지 거울에 비친 상을 관찰하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여러 가지 거울 가까이에 물체를 두었을 때 각 거울에 비치는 상의 크기를 선으로 연결해 보자.
⑴ 평면거울 • •㉠ 물체보다 작고 바로 선 상
⑵ 볼록 거울 • •㉡ 물체와 같은 크기의 상
⑶ 오목 거울 • •㉢ 물체보다 크고 바로 선 상
2. 오목 거울을 얼굴에서 멀리 하면 거울에 비친 얼굴이 ( 작고, 크고 ) 거꾸로 보인다.
6월 2일 과학축제에서 우리가 만들었던 요술 저금통이다.
동전은 어디로 갔을까??
사용한 거울의 종류는 무엇이고 거울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