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것일까? 지진과 화산은 관계가 있을까?
□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화산대, 지진대의 분포를 조사하여 판의 경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활동1] 최근 10년 동안 세계에서 규모 6.0이상의 지진이 2번 이상 일어난 곳 조사하기
기상청 사이트(지진목록을 규모와 기간을 설정하여 검색할 수 있음)
https://www.weather.go.kr/w/eqk-vol/search/worldwide.do
실시간 지진활동을 볼 수 있는 곳
[활동2]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곳과 화산대, 판의 경계와 비교하여 생각하기
[활동3] 우리나라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의 원인 토의하기
2016년 우리나라 경주에서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
과학자들은 2011년 후쿠시마 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고
다음 자료를 읽고 우리나라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의 원인을 토의해보자.
1. 화산 활동과 지진
⑴ 화산 활동
① 화산 활동: ( )가 지각의 약한 틈을 뚫고 지표로 빠져나오면서 분출되는 현상
② 화산 분출물:
⑵ 지진: 지구 내부에서 생긴 ( )이 사방으로 전달되어 땅이 ( ) 현상
① 발생 원인:
② 세계 곳곳에서는 크고 작은 지진이 ( ) 일어나고 있다.
(3) 진원과 진앙
① ( ) : 지진이 처음 발생한 지점
② ( ) : 진원 바로 위 지표 위 지점. 지진파가 가장 먼저 도달한다.
2. 화산대와 지진대
⑴( ):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으로, 띠 모양을 이룬다.
⑵( ):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으로, 띠 모양을 이룬다.
⑶ 화산대와 지진대: 대체로 판 ( )와 ( )한다.
지진이 일어나는 지역을 표시해보면 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을 지진대라고 합니다.
화산이 일어나는 지역을 표시해보면 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을 화산대라고 합니다.
다음은 지난 50년간 지진이 일어나는 곳으로 표시한 지도와 화산이 일어난 곳을 표사한 지도에요. 그 둘을 겹쳐보면 어떤 모습이 나타날까요? 이 둘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것으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구글어스를 활용한 탐구_공공데이터 활용하기
구글어스 열기_지도스타일 /정보표시안함
공공데이터 받기
=> 화산이나 지진발생 지역을 표시한 KML지도 데이터 받기
검색: vocano kml, earthquake kml
구글어스로 KML지도 데이터 가져오기
=> 구글어스/프로젝트/열기/컴퓨터에서 KML파일 가져오기
*KML:지형정보를 모델링하고 표현하는 역할의 파일 종류, 키홀 마크업 언어
화산을 가져오면 화산데이터가 지도위에 표시됨
새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지진대도 만들기
두 프로젝트를 따로 혹은 함꼐 보이게 할 수 있음
https://c11.kr/t5um
구글어스를 사용하면 지구의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더 깊은 조사를 하고 싶은 학생을 위해 구글어스 활용법 영상자료를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