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치매환자 규모 증가 -> 총인구 중 노인인구 비율 증가, 치매 유병률 10.3%
치매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부담->1인당 치료비 연간 298만원, 연간 장기요양비 약 1천4백만원
가족에 의한 돌봄 기능 약화 및 치매환자 가족의 치료.돌봄 부담 상존
치매 관련 인프라의 지속적 확충 필요
<핵심 과제>
* 치매환자 가족 상담수가 도입
* 치매 검사비 지원확대
*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대상자 확대
* 초기 치매환자 집중관리 경로 개발
* 초로기 치매환자 지원 강화
<핵심 과제>
* 한국형 치매선별검사도구 개발
* 치매 조기발견•검진을 위한 다양한 협력체계 구축
* 전 연령층 대상 인지건강 프로그램 개발•보급
* 치매예방 실천지수 확대
* 산림•농업•해양자원을 활용한 야외 치유프로그램 발굴
1. 수시 돌봄을 위한 순회방문서비스 도입
2. 주야간보호기관을 통한 단기보호서비스 제공 확대
3. 통합형 재가서비스 제공 추진
4. 치매환자 주거안전 및 주거복지 지원
-유관자원 연계를 통한 지원체제 강화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과 연계
2. 노인돌봄 전달체계를 활용한 돌봄 지원
3. 노인일자리 연계를 통한 치매노인 돌봄 강화
4. 지역사회 협의체 운영 활성화
5. 지역 단위 계획 수립 시 연계
-지역기반 치매환자 가족 지원 서비스 다양화
1. 치매환자 가족 돌봄자의 휴식 및 근로 유연성 지원 확대
2. 치매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
3. 치매환자 및 가족 대상 교통 편의 서비스 제공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역량 강화 지원
1.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기능 지원
2. 노-노 학대 예방 교육 강화
3. 문화, 여가 생활 지원서비스 강화
4. 치매환자 돌봄경험 보유가족의 사회활동 참여지원
<핵심과제>
-치매안심센터의 총괄 코디네이터 역할 강화
-치매환자 맞춤형 서비스 계획(케어플랜) 수립 및 제공
-지역자원 발굴 및 민관 협력 우수사례 확산
1)-1 치매관리 주요 수행기관의 기능 정립 및 강화
-중앙치매센터의 정책 지원기능강화
-광역치매센터에 지역치매관리 조정기관으로서의 기능 강화
-치매안심센터의 총괄 코디네이터 역할 강화
1)-2 유관기관 연계와 협력응 통한 치매 전달체계 개선
-치매 케어플랜 및 지역사회 연계 가이드라인 개발
-동원 가능한 공공과 민간 자원 발굴 및 우수사례 확산
<핵심과제>
-치매전문교육 개편을 통한 양질의 전문 인력 양성
-장기요양 등급판정체계 개편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확충 및 서비스 질 향상
-치매전문병동 확충 및 치매안심병원 지정 확산
2)-1 치매 의료/요양기관의 서비스 전문화
-치매 관련기관 종사자 전문성 강화 및 교육 지원체계 개선
-치매안심병원 지정 확산 지원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제공인력의 품질 제고
2)-2
-장기요양 등급판정체계 개편
-치매 전담형 장기요양기관 확충 활성화
-치매전문병동 및 치매안심병원 지속 확충
1. 치매환자 DB 품질 관리 및 연계를 통한 데이터 활용성 강화
2. 치매환자 임상 정보 수집 및 연계로 임상연구 기반 강화
3. 전주기적 치매극복연구개발 사업 추진
4. 근거 기반 치매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확대
1. 치매 인식도 조사 기반 마련 및 인식개선교육 개선
2. 치매 파트너즈 양성 및 활동기반 강화
1. 비대면 기술을 통한 예방•검진•인지강화 프로그램 확산
2. 치매증상 지연 및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및 실증
3.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강화
4. 고령친화기술 조사•평가 및 확산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