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진배경
─ ‘첨복단지 특별법’에 따라 복지부.과기부.산업부 등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시행 → 첨복위원회 의결
*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소속이 국무총리에서 보건복지부장관으로 변경
2. 이전 종합계획과 차이점
제1차 종합계획(조성기) : 핵심 인프라 조성, 첨복단지를 컨트롤할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을 단지별로 설립
제2차 종합계획(정착기) : 공동연구 및 기업 지원서비스를 본격 추진, 제도 및 지원시스템 정비 추진
제3차 종합계획(성과 창출기) : 연구개발,제품화 지원& 전략적 기업지원을 통한 성과 창출 유도
제4차 종합계획(성과 확산기) : 우수성과를 창업이나 사업화로 연결 지원, 성과 극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추진
3. 주요내용
1) 첨단의료기술 R&BD 성과 창출 및 확산
○ 기술단계별 공동 R&D 수행을 통해 제품화, 사업화 지원 강화
○ 신약 및 의료기기 전주기 지원 (혁신신약 후보물질 확보 지원, 의료현장 아이디어 신속 제품화 등)
─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 감염병 치료제 개발 지원 플랫폼 구축 추진
2)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 고도화 및 서비스 강화
○ 창업 및 사업화, 시장진출 지원, 인프라 고도화 등 보건산업 성장동력 확보
─ 창업기업 등 밀착지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연구성과를 제품화, 사업화 성과로 연결 지원
○ 기술서비스 확대 및 고도화, 인프라 고도화
3) 생태계 고도화를 통한 클러스터 활성화
○ 국내외 클러스터 간 네트워크 강화 등 첨복단지 생태계 고도화
─ 첨복 생태계 기반 확립, 생태계 성과확산, 네트워크 강화 등 클러스터 내실화
4) 첨복단지 안정적 운영기반 마련
○ 재단 자립화 계획 이행 및 안정적 예산 확보 및 제도 개선
4. 소요재원(예상)
➊ 5년간 정부 및 지자체 투자계획
○ 첨단의료기술 R&BD 성과확산 : 2,390억 원 ※ 첨단임상시험센터 구축비(660억) 포함
○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 고도화 : 2,086억 원
○ 혁신생태계 기반 클러스터 활성화 : 209억 원
➋ 재원 확보 방안
○ 공공성, 지역파급효과, 성과공유 등을 고려하여 국비와 지방비, 민간 등의 투자로 소요 재정을 분담
5.비전과 전략
목표
바이오헬스산업 전주기 지원 거점기관으로의 위상 확립
-> 혁신신약기술 이전 및 임상진입 성공지원(건): 61건
-> 혁신의료기기 기술 이전 및 시장진출 성공지원(건): 48건
신성장동력 선도기업 육성 허브 실현
-> 신규 창업기업 육성(건): 36건
자생적 생태계 정착을 통한 혁신 클러스터 도약
-> 바이오헬스 전문인력양성 : 2,595명
전략과제
❶ 첨단의료기술 R&BD 성과확산
-신약 전주기 지원 성과확대
-의료기기 사업화 성과확대
❷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 고도화
-창업·벤처·중소기업 밀착 지원
-기술서비스 확대 및 고도화
-입주기업 특화 지원프로그램 강화
❸ 혁신생태계 기반 클러스터 활성화
-첨복단지 기반 확립
-산.학.연.병 상생협력체계 구축
-국내외 클러스터 간 네트워크 강화